-
1.
公开(公告)号:KR102234169B1
公开(公告)日:2021-03-30
申请号:KR1020180165750A
申请日:2018-12-20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C04B14/303 , C04B14/022 , C04B14/06 , C04B14/307 , C04B14/308 , C04B28/02 , G01J3/00 , G01N21/31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응력 측정이 가능한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및 응력에 반응하여 스펙트럼 이동이 발생하는 응력 센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33368B1
公开(公告)日:2021-03-29
申请号:KR1020190031528A
申请日:2019-03-20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C01B32/16 , B01J19/088 , B01J2219/00051 , B01J2219/00162 , C01B2204/04
Abstract: 아크 방전법을 이용한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아크 방전시 분위기 가스는 질소 및 산소를 포함한다. 산소를 포함하는 분위기 가스에 의해 방전 영역 부근의 산소는 고온의 활성 산소로 변화되고, 비정질 탄소와 화학적으로 결합한다. 이를 통해 음극에서의 탄소나노튜브의 형성시, 비정질 탄소의 생성은 억제되어 높은 결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27820B1
公开(公告)日:2021-03-12
申请号:KR1020190070476A
申请日:2019-06-14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프린팅 노즐 장치는, 콘크리트 재료를 이용하여 건축물과 같은 구조물을 3D 프린팅 방식으로 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물의 형상 데이터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콘크리트 재료를 토출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콘크리트 재료를 설정 적층 길이로 적층하여 상기 구조물의 수직 구조물 또는 수평 구조물을 시공하는 콘크리트 노즐, 상기 콘크리트 노즐의 옆에 배치되고 상기 콘크리트 재료보다 급결성이 높은 급결 지지 재료를 토출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수평 구조물의 시공시 상기 급결 지지 재료를 적층하여 상기 수평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 지지 구조를 형성하는 서포트 노즐, 및 상기 콘크리트 노즐에 마련되고 상기 콘크리트 노즐에서 토출된 상기 콘크리트 재료의 자가 지지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상기 콘크리트 재료의 강도를 보강하는 콘크리트 보강 수단을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2227296B1
公开(公告)日:2021-03-12
申请号:KR1020190041718A
申请日:2019-04-10
Applicant: 권희문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C04B16/02 , C04B14/06 , C04B20/026 , C04B28/02 , C04B2201/50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 개질용 혼화재에 관한 것으로서, 실리카 입자가 성장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가 파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시멘트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a) 25%암모니아수와 에탄올을 혼합하여 베이스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초순수 증류수와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혼합하고, 이를 a)단계에서 제조된 베이스 용액에 첨가 한 후, 이들을 교반시켜 나노섬유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혼합액에 에틸실리케이트를 혼합 한 후 이를 교반하여 실리카가 성장된 나노 셀룰로오스 세라믹 합성체를 제조하는 단계; d) 나노 셀룰로오스 세라믹 합성체를 세척하여 잔여 유기물 및 분순물을 제거하는 단계; e) 세척이 완료된 나노 셀룰로오스 세라믹 합성체를 분쇄시키는 단계에 의해 제조된다.
-
公开(公告)号:KR102235298B1
公开(公告)日:2021-04-05
申请号:KR1020190142455A
申请日:2019-11-08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심성철
IPC: C12Q1/6895 , C12Q1/683
CPC classification number: C12Q1/6895 , C12Q1/683 , C12Q2521/301 , C12Q2565/125 , C12Q2600/13 , C12Q2600/158
Abstract: 본 발명은 토마토 황화잎말림 바이러스 저항성 판별용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마커 및 이를 검출 또는 증폭할 수 있는 제제를 이용하면 신속하고 정확한 토마토 황화잎말림 바이러스 저항성 판별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KR102225753B1
公开(公告)日:2021-03-09
申请号:KR1020200108413A
申请日:2020-08-27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6T5/50 , G06N3/08 , G06T5/20 , G06T7/11 , H04N13/156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T5/50 , G06N3/08 , G06T5/20 , G06T7/11 , H04N13/156 , G06T2207/20221 , G06T2207/30168
Abstract: 딥러닝 기반 스티치된 파노라마 영상의 품질 평가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딥러닝 기반 스티치된 파노라마 영상의 품질 평가 방법은, (a) 스티치된 파노라마 영상을 고정 크기 패치로 각각 분할하는 단계; (b) 상기 분할된 각 패치를 학습된 스티칭 오류 세그먼테이션 모델에 각각 적용하여 왜곡된 영역을 각각 추출한 후 상기 각각의 왜곡된 영역에 대한 이진 마스크 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이진 마스크 맵을 이용하여 상기 스티치된 파노라마 영상에 대한 영상 품질을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2223991B1
公开(公告)日:2021-03-08
申请号:KR1020200079187A
申请日:2020-06-29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W1/08 , G06T7/90 , G06T2207/10032 , G06T2207/30192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위성 관측센서의 가시 및 근적외 파장대 관측 기반의 해무 탐지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관측 대상 지역에 대해 상기 인공위성 관측센서가 가시광선 파장대에서 측정한 제1 반사도 및 근적외 파장대에서 측정한 제2 반사도를 포함하는 위성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제1 반사도 및 제2 반사도를 이용하여 관측 정규화반사도차적설지수(Normalized Difference Snow Index, NDSI(obs))를 산출하고, 상기 위성영상에서 해무 샘플 영역에 대한 선택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선택된 해무 샘플 영역에서의 상기 제1 반사도와 상기 NDSI(obs)의 상관 관계를 회귀 분석하여 산출된 상관식을 통해 상기 제1 반사도에 대해 이론적으로 계산된 NDSI(NDSI(cal))를 산출하고, 해무 탐지를 위한 상기 NDSI(obs) 및 NDSI(cal)의 차이에 대한 경계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경계값을 이용하여 새로 입력되는 위성영상에서 해무 영역을 탐지하도록,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해무 탐지 장치가 제공된다.
-
公开(公告)号:KR102224860B1
公开(公告)日:2021-03-05
申请号:KR1020190031938A
申请日:2019-03-20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CPC classification number: H03F3/211 , H03F3/19 , H03F2200/372
Abstract: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대역 저잡음 증폭기는, 제1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1 증폭 회로, 및 상기 제1 증폭 회로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주파수 특성과 상이한 제2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2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제1 증폭부; 상기 제2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3 증폭 회로, 및 상기 제3 증폭 회로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4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제2 증폭부; 및 상기 제1 증폭부의 출력 신호 및 상기 제2 증폭부의 출력 신호를 합산하는 합산부를 포함한다.
-
9.
公开(公告)号:KR102235935B1
公开(公告)日:2021-04-05
申请号:KR1020180127112A
申请日:2018-10-24
Applicant: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IPC: C07K16/40 , C12N5/16 , G01N33/569
CPC classification number: C07K16/40 , C12N5/163 , C12Y402/01001 , G01N33/56966 , C07K2317/565 , C12N2510/02 , G01N2333/988
Abstract: 본 발명은 인간 순수 만능줄기세포 (human naive pluripotent stem cell)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일클론항체 및 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인간 순수만능줄기세포에는 결합하고 인간 준 만능줄기세포에는 결합하지 않거나 결합력이 현저히 약한 단일클론항체 N16-F2, 상기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N16-F2, 상기 단일클론항체 N16-F2를 포함하는 검정키트 및 인간 만능줄기세포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KR102230903B1
公开(公告)日:2021-03-23
申请号:KR1020160002385A
申请日:2016-01-08
Applicant: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클러스터 기반 네트워크 구조 형성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 셀 내에 위치하는 각 단말들 간의 경로손실 값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각 클러스터 별로 대표단말을 선정하여, 상기 대표단말을 통해 기지국과 단말들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기지국 셀 내에 위치하는 전체 단말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설명하고 있는 점진적 클러스터링 기법과 경로손실 기준 클러스터링 기법을 통해 종래의 클러스터링 기법보다 더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가지는 클러스터링 기법을 소개하여, 기지국 셀 내에 위치하는 전체 단말의 에너지 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