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의 노화 지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일주기 시계 주기를 측정하고 측정된 일주기 시계 주기와 동일한 명/암 조건에 식물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의 노화 지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일, 채소 및 꽃과 같은 식물을 상품성 있게 오래 보관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중요한 이슈이다. 외국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국내로 들여오거나 상품을 저장고에서 오랜 시간 유지하기 위해 방부제를 처리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화학물질 처리는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추가로 비용이 소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식물의 일주기 리듬 주기와 맞는 저장 환경 사이클을 적절하게 적용하거나, ORE1 발현을 조절하여 식물의 노화에 따라 일어나는 일주기 리듬 주기 변화를 가속 또는 지연시키는 방법을 통해 식물의 재배, 저장 및 수송에 있어서 적절하게 응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글루타민 tRNA 5' 말단 유래의 단편(Gln 5'-tsRNA)이 과발현된 형질전환 예쁜꼬마선충,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형질전환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노화 관련인자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형질전환 예쁜꼬마선충 모델은, 글루타민 tRNA 5' 말단 유래의 단편(Gln 5'-tsRNA)이 과발현되어 노화가 억제된 동물모델로서, 본 발명의 모델을 이용하면 항노화 메커니즘을 손쉽게 규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항노화 신약 개발, 노화 유도 물질 스크리닝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암모늄 수송체 및 글루타메이트 합성 유전자의 이중 활성화 태깅 돌연변이 유도를 통한 질소 이용 효율이 개선된 식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형질전환 식물은 야생형 또는 다른 형질전환 식물에 비하여 식물의 생육 전 단계에서 질소 흡수, 동화 및 재이동과 같은 질소 이용 효율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성장률, 바이오 매스 및 낟알 수율을 현저히 증가시킨다. 상기 형질전환 식물은 질소 제한 조건에서 작물 수확량을 증가시키면서도 비료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작물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농업 및 식품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RNA(micro RNA; miRNA)와 NMDA 수용체(N-methyl-D-aspartate receptor; NMDAR)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해마의 기능감소 판단방법, 기능감소 억제방법 및 기능감소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노화된 해마에서 상향 조절되는 miRNA중 miR-204는 중요한 조절 수용체인 EphB2를 정확하게 표적으로 하여 EphB2 발현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해마 신경의 NMDA 수용체의 NR1 서브유닛의 뉴런 표면 발현이 감소되고 수상돌기 밀도 감소를 초래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마이크로 RNA와 NMDA 수용체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해마의 기능감소 여부를 판단하고 나아가, 해마의 기능감소 억제 방법 및 기능감소 억제제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초주일 리듬(UR)은 24시간 미만의 주기로 순환한다. 그러나 이러한 리듬의 조절과 기능은 명확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절제된 애기장대(Arabidopsis) 잎에서 ~3시간 기간 일주기(circadian)-독립적 UR을 확인하였다. 유전자 발현 및 기능적 분석은 UR이 신규 뿌리 재생( de novo root regeneration; DNRR)의 양성 조절인자임을 시사한다. UR을 나타내는 식물호르몬(phytohormone)- 및 DNRR-연결 유전자를 포함하는 4,073개 유전자를 전사체(transcriptomic) 분석으로 밝혀냈다. 본 발명자들은 돌연변이 탐색(forward genetic screen)을 이용하여 rou (regulator of ultradian rhythm) 변이체들을 동정하고, EAR1(Enhancer of ABA co-Receptor 1)이 UR 사이클링에 필수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rou1 변이체는 UR의 부족을 나타내었고, 뿌리 재생 및 관련 유전자 발현을 감소시켰다. 호르몬 처리는 전사 및 번역 후 단계에서 EAR1 수준을 변화시켰으며, 이는 EAR1이 절제된 잎에서 동적 호르몬-관련 유전자 발현을 매개하여, UR을 생성하고 DNRR을 촉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잎 절제가 URs을 유발하고, 식물에서 가능한 생존 메커니즘인 호르몬 조절을 통해 DNRR로 이어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