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태양전지셀은 첫번째로 제1전극층이 절연 기판위에 형성되고, 광전기적 변환 요소가 제1전극층 위에 형성되며, 광전기적 변환요소는 염료가 흡착되고, 전해질층,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촉매층을 가지는 다공성 반도체층에 형성되는 광전기적 변환층을 가지는 제1셀의 제2전극층은 이웃하는 셀의 광전극 변환층과 분리된 인터커넥션으로 연결되는 모노리식 구조의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있어서, 이웃하는 셀과의 전기적 절연을 목적으로 하는 절연격벽 부분을 투명기판상에서 하나의 셀의 제1 전극층과 떨어지게 형성하며 동시에 절연격벽의 일부가 이웃하는 하나의 셀의 제1전극층을 덮는 구조로 구성하여 광전극과 이웃하는 TCO가 단락이 되지 않도록 하고 이웃하는 TCO 사이의 단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셀과 셀사이의 인터커넥션을 긴밀하게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인터커넥션은 스크린프린팅 인쇄방법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격벽과의 접착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전기 전도성도 뛰어난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성을 가지는 염료감응태양전지용 전해질 주입구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 내부로 전해질이 주입되는 동안에만 유체의 통과가 가능하고, 주입된 전해질 자체의 압력에 의해 밀봉이 유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일방향성 전해질 주입구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방향성 전해질 주입구 구조는 주입된 전해질 자체의 압력에 의하여 일방향성이 유지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게 전해질을 주입하고 효율적으로 전해질의 누액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며, 장기간 사용으로 전해질이 부족해지는 경우 별도의 구성없이 간편하게 전해질 보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에서 셀 마다 따로 주입구를 만들지 않고 셀 간에 구성된 일방향성을 가지는 전해질 통로를 통하여 한번에 모듈을 구성하는 셀 전체에 전해질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염료감응태양전지 모듈의 전해질 주입구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비발전 영역을 줄이고 비용의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코발트계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코발트계 화합물은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전해질 시스템에 사용되어 기존의 염료감응태양전지보다 얇은 박막으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적어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레독스 전위차가 커 염료감응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코발트계 화합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코발트계 화합물은 염료감응태양전지의 전해질 시스템에 사용되어 기존의 염료감응태양전지보다 얇은 박막으로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적어 염료감응태양전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레독스 전위차가 커 염료감응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결정질 금속산화물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차단층(blocking layer)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도성투명기판(FTO) 위에 차단층을 형성하여 건조한 후 상부에 광전극(TiO2)층과 같이 소성함으로써 소성횟수를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전도성투명기판(FTO)과 차단층간의 부착력이 강화되어 두계면간의 전자이동속도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효율이 향상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차단층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차단층(blocking layer)는 전구체 방식이 아닌 결정질 나노입자를 분사, 코팅하여 건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소성공정을 광전극(TiO2)층과 별도로 실시하지 아니하고, 차단층을 저온건조한 후 광전극(TiO2)층과 한꺼번에 소성하므로 수회 소성에 의한 기판의 뒤틀리는 정도를 획기적으로줄일수있으며, 제조 비용이 절감되고 공정이 간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차단층에 비정질 또는 핀홀이 형성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효율이 향상되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대면적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염료감응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전면 투명기판, 후면기판, 전면 투명기판과 후면기판 상에 각각 도포되는 전면 도전층과 후면 도전층, 전면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다공질층과 후면 도전층 상에 형성되는 촉매 전극을 포함하고, 그리고 전면 및 후면 도전층, 다공질층 및 촉매 전극을 외부와 절연 내장하는 봉지재와 봉지재 내부에 충진되는 전해질층을 포함하는 최외측 단위셀; 최외측 단위셀의 외측 봉지재가 전면 및 후면 투명기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되고, 전면 도전층과 후면 도전층 중 하나는 외측 봉지재보다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외측으로 연장된 전면 도전층 또는 후면 도전층의 표면에 함몰 결합부가 구비되는 함몰부; 그리고 도전체로 구성되며, 함몰 결합부에 삽입되는 돌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