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0979960B1
公开(公告)日:2010-09-06
申请号:KR1020070132336
申请日:2007-12-17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bstract: 접목작업을 종래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접목묘가 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묘의 성장에 따라 접목장치가 접목묘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하는 접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목방법을 개시한다. 이 접목장치는 대목과 접수의 연결부분 외면에 끼워지며 탄성 변형되는 원통형 지지튜브와, 지지튜브의 내경 가변을 위해 지지튜브에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20090064948A
公开(公告)日:2009-06-22
申请号:KR1020070132336
申请日:2007-12-17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PC classification number: A01G2/30 , A01G17/005 , A01G17/04
Abstract: A grafting unit and a grafting method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a grafted nursery plant from being bent by supporting a connection part between understock and scion in a grafting process. A grafting unit(30) comprise a cylindrical support tube(31) and one or more cut parts(32). The cylindrical support tube is fixed to a connection part between understock and scion(20) and elastically transformed. The cut part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upporting tube for variable inner diameter of the supporting tube. The cut part is spirally formed on the supporting tube. The supporting tube is made of polypropylene and 2-3mm in diameter and 12-16mm in length. A grafting method using the grafting unit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cutting seedlings inclinedly; preparing the understock; fixing the cylindrical supporting tube with cut parts to the understock; cutting the seedlings inclinedly; preparing scion; and fixing the scion whose cut surface meets the cut surface of the understock.
Abstract translation: 提供了一种接枝单元和使用其的接枝方法,以防止接枝苗圃在接枝过程中通过支撑底座和接穗之间的连接部分来弯曲。 接枝单元(30)包括圆柱形支撑管(31)和一个或多个切割部分(32)。 圆柱形支撑管固定在底座和接头(20)之间的连接部分上并弹性变形。 切割部分形成在支撑管的可变内径的圆柱形支撑管的纵向方向上。 切割部分螺旋地形成在支撑管上。 支撑管由聚丙烯制成,直径2-3mm,长度12-16mm。 使用接枝单元的接枝方法包括以下步骤:倾斜切割幼苗; 准备底货; 将具有切割部分的圆柱形支撑管固定到底座; 倾斜切割幼苗; 准备接穗; 并固定切割面与底板切割面相交的接穗。
-
公开(公告)号:KR101316593B1
公开(公告)日:2013-10-15
申请号:KR1020110036895
申请日:2011-04-20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생육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측정대상 식물체가 배치되는 식물생장조절챔버(20)와, 상기 식물생장조절챔버(20) 내부의 광도, 온도, 습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와, 상기 식물생장조절챔버(20) 내부에 배치된 식물체(m)의 이산화탄소 교환율을 측정하는 가스 분석기(40)와, 상기 가스 분석기(40)의 측정 결과 또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 또는 식물생육분석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상기 식물생장조절챔버 내부의 온도, 습도, 광도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부(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목 후 식물체의 높은 생존율을 보장하는 활착 조건을 도출하고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여 식물체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접목묘를 포함한 다양한 식물체의 광합성 및 생육촉진 환경 구명 및 구현에 활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公开(公告)号:KR1020120094792A
公开(公告)日:2012-08-27
申请号:KR1020110014274
申请日:2011-02-17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CPC classification number: A01G2/30 , A01G7/00 , A01G7/02 , A01G7/045 , A01G9/20 , A01G9/24 , Y10S47/06
Abstract: PURPOSE: 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ooted cuttings or grafted nursery plants are provided to improve the rooting rate of the cuttings and the nursery plants. CONSTITUTION: A producing apparatus for rooted cuttings or grafted nursery plants comprises the following: a sealed type plant producing chambers(10) enabling users to control the environment including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plural rooting boxes(20) with an opening/closing hole for locating the grafted nursery plants or the rooted cuttings, installed inside the plant producing chambers;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relative humidity and the lightness inside the rooting boxes.
Abstract translation: 目的:提高根尖切片或嫁接苗圃的生产方法和装置,以提高扦插和苗圃的生根率。 构成:用于根尖切割或移植苗圃的生产设备包括:密封型植物生产室(10),使用户能够控制包括温度和湿度在内的环境; 具有安置在植物生产室内的具有用于定位移植苗圃或根尖的开/关孔的多个生根盒(20) 以及控制生根箱内相对湿度和亮度的控制器。
-
公开(公告)号:KR101330101B1
公开(公告)日:2013-11-15
申请号:KR1020110014274
申请日:2011-02-17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bstract: 본 발명은 접목·삽목묘 생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접목·삽목묘 생산장치는 온도, 습도를 포함한 환경제어가 가능한 밀폐형 식물생산챔버(10)와, 상기 식물생산챔버(10) 내에 위치되고 전면 또는 상단면에 투명한 재질로 완전 밀폐 또는 반밀폐가 가능하도록 개폐구(23)가 구비되며 내부에 접목묘 또는 삽목묘(m)가 배치되는 다수의 활착상자(20)와, 상기 활착상자(20) 내부의 광도 및 상대 습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접목·삽목묘 생산방법은 활착기간 중 접목묘 또는 삽목묘(m)를 활착상자(20) 내에 배치하고, 상기 활착상자(20)를 설정온도로 세팅된 식물생산챔버(10) 내에 위치시킨 후 광원(37), 가습기(27)를 이용하여 상기 활착상자(20) 내의 광도 및 상대습도를 조절한다.
본 발명은 작물 특성에 따른 다양한 활착환경의 구현이 가능할 뿐 아니라 활착을 촉진시키고 효율적인 플러그 트레이의 생산이 가능하게 하므로 무농약 고품질의 묘을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公开(公告)号:KR200344742Y1
公开(公告)日:2004-03-10
申请号:KR2020030032027
申请日:2003-10-13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IPC: A01G9/24
CPC classification number: Y02A40/264
Abstract: 본 고안은, 온풍난방기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온풍난방기용 덕트에 있어서, 소정의 직경 및 길이를 갖고 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외부토출구가 다수 형성된 외부덕트와; 상기 외부덕트의 직경 보다 비교적 작은 직경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부를 두고 상기 외부덕트 내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표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내부토출구가 형성된 내부덕트를 포함하여 이중덕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국 시설면적의 26%에 해당하는 난방시설재배에 시설내부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하여 작물의 균일한 생육 및 품질을 얻을 수 있어서 시설 가온재배 농가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이점과 더불어 연료소모량도 줄일 수 있는 온풍난방기용 이중덕트가 제공된다.
-
-
公开(公告)号:KR1020120119126A
公开(公告)日:2012-10-30
申请号:KR1020110036895
申请日:2011-04-20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Abstract: PURPOSE: A plant growth controlling apparatus capable of producing high-quality plants without using agricultural pesticides is provided to analyze the change of photosynthesis in real time by measuring the gas exchange rate of the plants. CONSTITUTION: A plant growth controlling apparatus comprises the following: a plant growth controlling chamber(20) for planting a measuring plant; an adjusting unit adjusting the luminance, th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inside the plant growth controlling chamber; a gas analyzer(40) measuring the carbon dioxide exchange rate of the plant; and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luminance, the temperature, or the humidity inside the plant growth controlling chamb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of the gas analyzer, a preset program, or a plant growth analysis program.
Abstract translation: 目的:提供一种能够不使用农药生产高质量植物的植物生长控制装置,通过测量植物的气体交换率来实时分析光合作用的变化。 构成:植物生长控制装置包括:植物生长控制室(20),用于种植测量植物; 调节单元,调节植物生长控制室内的亮度,温度和湿度; 测量所述设备的二氧化碳汇率的气体分析器(40); 以及基于气体分析仪,预设程序或植物生长分析程序的分析结果控制植物生长控制室内的亮度,温度或湿度的控制器。
-
公开(公告)号:KR200354141Y1
公开(公告)日:2004-06-23
申请号:KR2020040006556
申请日:2004-03-11
Applicant: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이용구
IPC: G01N33/24
Abstract: 토양수분계측 및 자동관수조절을 위한 텐시오메터가 개시된다. 본 텐시오메터는 튜브 몸체, 튜브 몸체의 하단에 장착된 다공질 컵, 튜브 몸체 내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플로팅부, 플로팅부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물을 저장하며 물을 보충하기 위한 물보충부 및 센서부의 신호에 의해 물보충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튜브 몸체 내의 물을 자동으로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텐시오메터 관리가 용이하고, 정밀한 토양수분 측정을 가능하게 하며, 장시간에 걸쳐 연속적인 계측이 가능하고, 적정한 관수 관리를 가능하게 하여 작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