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20105790A1
公开(公告)日:2020-05-28
申请号:PCT/KR2018/015764
申请日:2018-12-12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IPC: H03M1/46
Abstract: 본 발명은 A/D변환기의 해상도에 따라 커패시터 어레이로 형태로 이루이지는 D/A변환기를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D/A 변환기로 대체하여 A/D 변환기에서 면적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패시터의 개수와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축차 근사 A/D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패시터가 직렬로 연결된 D/A 변환기를 통해 축차 근사 A/D 변환기의 단위 커패시터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서 전력소모와 회로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公开(公告)号:WO2018235997A1
公开(公告)日:2018-12-27
申请号:PCT/KR2017/010609
申请日:2017-09-26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A/D변환기의 해상도에 따라 구비되는 커패시터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D/A변환기를 스위치드-커패시터로 대체하여 전력소모와 칩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커패시터 어레이로 구성되는 D/A 변환기를 스위치드-커패시터 D/A 변환기로 대체하여 커패시턴스를 줄였다.
-
公开(公告)号:WO2020091138A1
公开(公告)日:2020-05-07
申请号:PCT/KR2018/015763
申请日:2018-12-12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차동증폭기의 공통모드궤환부에서 일정하게 출력되는 궤환전압을 통해 차동으로 출력되는 전류의 DC점을 조절하는 홀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홀플레이트를 전류모드로 사용하며, 공통모드궤환부에서 일정하게 출력되는 궤환전압을 통해 하나의 홀 플레이트에서 출력되는 전류의 DC점을 조절함으로서, 소형화와 저전압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추가적인 CMFB를 구비하지 않고, 차동증폭기에 구비된 CMFB를 통해 전류의 DC점을 조절함으로서, 홀 센서의 소자개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公开(公告)号:KR101902119B1
公开(公告)日:2018-11-07
申请号:KR1020170077183
申请日:2017-06-19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발명은 A/D변환기의해상도에따라구비되는커패시터어레이로이루어지는 D/A변환기를스위치드-커패시터로대체하여전력소모와칩 면적을감소시킬수 있는축자비교형 A/D변환기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은위와같은문제점을해결하기위해커패시터어레이루구성되는 D/A 변환기를스위치드-커패시터 D/A 변환기로대체하여커패시턴스를줄임으로써, 전력소모와칩 면적을감소시킬수 있는효과가있다.
-
公开(公告)号:KR102118805B1
公开(公告)日:2020-06-03
申请号:KR1020180141224
申请日:2018-11-16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IPC: H03F3/00
-
公开(公告)号:KR102089872B1
公开(公告)日:2020-04-20
申请号:KR1020180144822
申请日:2018-11-21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IPC: H03M1/46
-
公开(公告)号:KR101931440B1
公开(公告)日:2018-12-20
申请号:KR1020170094259
申请日:2017-07-25
Applicant: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변위 측정장치(RVDT)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디지털신호를 XOR 위상 검출기를 통해 비교하여 위상차만큼 시간딜레이를 주어 위상오차를 보정할 수 있는 각도 변위 측정용 저면적 위상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도변위 측정장치(RVDT)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디지털신호를 XOR 위상 검출기를 통해 비교하여 위상차만큼 입력신호에 시간딜레이를 주어 위상오차를 보정함으로써, 칩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