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키워드 마인드맵 검색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도메인 코퍼스를 분석하여 하나 이상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한 각 키워드 간의 관계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관계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 키워드와 연관된 확장 키워드 및 연관 컨텐츠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비정형 데이터의 확보만으로 특정 분야의 검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구축 비용을 낮추고 양질의 트렌디한 확장 키워드를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 저작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동 저작자가 저작한 부분 저작물와 다른 저작물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일정치 이상임을 확인하면, 공동 저작자와 다른 저작물 저작자와의 저작 비율을 계산하고, 부분 저작물을 취합해 공동 저작물을 생성하며, 공동 저작물에 대한 복수의 공동 저작자의 저작 비율에 부분 저작물별 저작 비율을 반영하여 저작권 비율을 계산한다. 이를 통해 공동 저작물에 표절 시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공동 저작을 활성화할 수 있다.
Abstract:
종래의 영상 획득 장치에서는 단순히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한 값에 따라 부호화 품질 결정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감시카메라 시스템과 같이 영상 내에 움직임 객체가 있는 경우에만 영상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어플리케이션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서는 영상의 움직임 객체를 탐지한 후, 영상 내에 움직임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높은 품질로 부호화를 수행하고, 반대로 영상 내에 움직임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낮은 품질로 부호화를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의 절대적 데이터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영상 저장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영상 전송을 위한 네트워크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뉴스 기사 기반 소셜 컨텐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뉴스 기사를 사용자 관점에서 재구성하여 서비스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뉴스 기사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사용자 간 대화를 포함하는 소셜 미디어에서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키워드별로 수집한 뉴스 기사를 분류하여 그룹핑하는 단계, 그룹핑한 뉴스 기사를 표시할 템플릿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한 템플릿에 따라 그룹핑한 뉴스 기사 간의 연관성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여 소셜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한 소셜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뉴스 기사 기반 소셜 컨텐츠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 정보를 이용하여 파노라마 형태로 차량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카메라와 레이더 센서를 부착하고 있는 인접한 다수의 차량이 연계되어 각 차량의 영상 정보와 센싱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황 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면, 상황 정보 제공 장치가 각 차량의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수신한 영상 정보와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각 운전자의 상황에 맞게 인터페이스를 재구성하여 차량에 전송함으로써, 다양한 관점에서 폭넓게 차량 주변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차량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차량의 주변 상황에 대한 운전자의 이해와 대응력을 높여 안전운전에 기여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단어를 분석하여 단어 간 연관 관계 정보를 생성하되, 트랜드 가중치를 포함시켜 연관 관계를 생성하는 음원의 연관 관계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원의 연관 관계 분석 시스템은 음원의 기술 정보 및 트랜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기술 정보를 수집하여 기술 정보에 포함된 단어를 분석하여 단어간 연관 관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연관 관계 정보에 트랜드 정보를 통한 트랜드 가중치를 적용하여 트랜드 연관 관계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감정 분석을 통한 선호 음원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원을 듣고 있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음원을 분류 및 관리하여 만족도 높은 음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호 음원 관리 장치는 음원 출력부, 생체 정보 수집부, 감정 상태 판단부, 음원 분류부 및 음원 관리부를 포함한다. 음원 출력부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원을 재생하여 출력한다. 생체 정보 수집부는 음원을 듣는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생체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한다. 감정 상태 판단부는 수집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한다. 음원 분류부는 파악된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따라 해당 음원을 선호 또는 비선호 음원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음원 관리부는 비선호로 분류된 음원을 제거하고, 선호로 분류된 음원은 선호 음원 목록에 포함시킨다.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 함수를 이용한 정합 시스템의 성능 향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리 함수를 이용한 정합 시스템의 성능 향상 장치 는 정합 시스템의 거리 함수를 학습으로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용자들의 협업 필터링 데이터를 훈련 데이터로 사용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지면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이용하여, 사건이 발생한 위치를 촬영하는 수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음장치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정확한 소리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음장치를 이용하여 소리정보를 수집하고, 수신되는 소리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촬영할 수 있는 수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음장치는 지면 내부에 설치되어, 지면의 소리정보를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집되는 소리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하는 송신부, 마이크로폰과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전원공급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부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a performance of a matching system using a distance metric are provided to learn a distance based on massive training data, there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atching system. CONSTITUTION: A device for improving a performance of a matching system using a distance metric includes a training data collecting part (110) and a training data processing part (120). The training data collecting part collects training data such as contents labeled with information about the purchase and preference of a user. The training data processing part form pairs of the similar training data and pairs of the different training data according to the labeled information about the purchase and watching, and then calculates the number of related times due to the purchase and preference of the user about the pairs. The training data processing part classifies the pairs formed by the number of the related times into semi-coupled pairs or coupled pairs, calculates a weighted value based on the number of the related times corresponding to the coupled pairs, provides the weighted value to the coupled pairs, and then processes the training data including the contents. [Reference numerals] (110) Training data collecting part; (120) Training data processing part; (130) Distance and form determining unit; (140) Training unit; (AA) Learned distanc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