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담수화 설비의 미네랄 재보충 장치는 제1 및 제2 필터모듈, 제1 배관, 제2 배관, CO 2 주입부, 및 석회석 주입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필터모듈은 각자의 세라믹 필터를 구비한다. 제1 배관은 제1 및 제2 필터모듈에 일렬로 접속되며, 담수의 순방향 흐름을 제공한다. 제2 배관은 제1 필터모듈 전단의 제1 배관과 제2 필터모듈에 접속되며, 제1 배관과 함께 담수의 역방향 흐름을 제공한다. CO 2 주입부는 제1 필터모듈 전단의 제1 배관에 결합되고, 석회석 주입부는 제1 및 제2 필터모듈 사이의 제1 배관에 결합된다.
Abstract:
이온 교환기의 수지 재생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액의 처리비용을 낮추기 위한 담수화 장치가 개시된다. 담수화 장치는 역삼투 모듈과 이온 교환기 및 정삼투 모듈을 포함한다. 역삼투 모듈은 가압된 원수를 공급받아 농축수와 투과수로 분리 배출한다. 이온 교환기는 투과수가 통과하는 선택성 수지를 포함한다. 정삼투 모듈은 제2 분리막을 포함하며, 제2 분리막의 양측 공간에 선택성 수지의 재생과정에서 발생된 폐액과 역삼투 모듈에서 배출된 농축수를 각각 공급받아 농축 폐액과 희석수를 배출한다.
Abstract:
다단 정삼투 공정을 이용한 담수화 장치 및 담수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담수화 장치는 제1 정삼투 유닛과 제2 정삼투 유닛을 포함한다. 제1 정삼투 유닛은 제1 정삼투막과, 제1 정삼투막의 일면과 접하며 폐수가 유입되는 제1 피드 채널과, 제1 정삼투막의 반대면과 접하며 제1 유도 용액이 유입되는 제1 드로우 채널을 포함한다. 제2 정삼투 유닛은 제2 정삼투막과, 제2 정삼투막의 일면과 접하며 제1 드로우 채널에서 배출된 희석된 제1 유도 용액이 유입되는 제2 피드 채널과, 제2 정삼투막의 반대면과 접하며 제2 유도 용액이 유입되는 제2 드로우 채널을 포함한다.
Abstract:
반투과성 멤브레인의 성능 및 특성 평가를 위한 교차흐름 멤브레인 테스트 셀 및 이를 구비한 멤브레인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교차흐름 멤브레인 테스트 셀은 피드 용액 채널을 형성하는 제1 바디와, 드로우 용액 채널을 형성하는 제2 바디와, 피드 용액 채널과 드로우 용액 채널을 각각 둘러싸는 복수의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드로우 용액 채널의 입구 및 출구 부분은 피드 용액 채널의 입구 및 출구 부분과 어긋나게 위치하여 반투과성 멤브레인의 변형을 방지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 컬럼 장치는, 제1 컬럼, 제2 컬럼, 보조 컬럼, 및 수지 이송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컬럼은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을 수용하며, 여유 높이가 없거나 약간의 여유 높이를 갖는 충전층(packed bed)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컬럼은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 사용된다. 상기 수지 이송관은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컬럼 및 상기 보조 컬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컬럼 중 운전이 종료된 어느 한 컬럼에 수용된 수지층의 일부는 상기 수지 이송관을 통해 상기 보조 컬럼으로 이동한다.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온교환수지 컬럼 장치는, 제1 컬럼, 제2 컬럼, 보조 컬럼, 및 수지 이송관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컬럼은 이온교환수지로 이루어진 수지층을 수용하며, 여유 높이가 없거나 약간의 여유 높이를 갖는 충전층(packed bed)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컬럼은 상기 이온교환수지의 재생 시 사용된다. 상기 수지 이송관은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컬럼 및 상기 보조 컬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컬럼과 상기 제2 컬럼 중 운전이 종료된 어느 한 컬럼에 수용된 수지층의 일부는 상기 수지 이송관을 통해 상기 보조 컬럼으로 이동한다.
Abstract:
A method for preparing a surface-modified microbead, a method for preparing a microbead array chip, and a method for checking the disease specific antigen by using the microbead array chip are provided to develop the smart system using elastin-like polypeptide (ELP). A method for preparing a surface-modified microbead comprises the steps of synthesizing the DNA base sequence by PCR based on the [(VGVPG)14(KGVPG)] trimer amino acid sequence to make an ELP expression recombinant vector, and transforming it to E. coli BLR(DE3) to make the biosynthesized ELP; and immobilizing the ELP on the surface of a microbead(40).
Abstract: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rbon nanotube complex is provided to produce the carbon nanotube complex having electrochemical stability in a simpler and more economical manner,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rbon nanotube complex includes the steps of: (a) dispersing carbon nanotubes and an electrode material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a polymer-containing solution; (b) drying the solution in which the carbon nanotubes and the electrode material are dispersed; and (c) heat-treating the dried carbon nanotube complex. The electrode material and carbon nanotubes are contained in a weight ratio between 2:1 and 1:2.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용 재료와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s, CNTs) 및 고분자의 탄소로 인해 형성된 탄소와의 복합체(이하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라고 한다.)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와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촉매를 사용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만드는 것보다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이렇게 합성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는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우수한 음극 및 양극 특성을 보인다. 본 발명에 의한 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리튬 이차 전지는 탄소나노튜브가 가진 유연한(flexible) 특성을 그대로 보유하며, 탄소나노튜브의 공극(pore)으로 인해 리튬이차전지의 전극용 금속 재료와 리튬과의 합금화 반응 중에 발생하는 부피변화를 완화시켜 줄 수 있으며, 충전 및 방전 과정 중 전자 전달 경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전극의 열화 현상을 감소시켜 전극 수명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여 전지의 양극에 LiMn 2 O 4 , LiFePO₄등과 같이 전기전도도가 낮은 재료와 복합체를 형성하면,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의 탄화에 의해 형성된 탄소에 의해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켜 고출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