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송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 증상으로 인해 감소하는 BDNF (brain derivated neurotrophic factor) 발현 회복 효과 및 스트레스 부여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의 개선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송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 증상으로 인해 감소하는 BDNF (brain derivated neurotrophic factor) 발현 회복 효과 및 스트레스 부여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의 개선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 식품성분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욕촉진 호르몬인 그렐린(ghrelin)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식욕억제 효과를 갖는 헤스페레틴(hesperetin),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3-히드록시플라본(3-hydroxyflavone), 헤스페리딘(hesperidin),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베타-D-글루칸(β-D-glucan), 루틴(rutin), 플라보논(flavanone), 나린진(naringin), 멜라토닌(melatonin), 케르세틴(quercetin) 및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식욕억제용 조성물 및 식욕억제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및/또는 송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 증상으로 인해 감소하는 BDNF (brain derivated neurotrophic factor) 발현 회복 효과 및 스트레스 부여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의 개선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우엉 추출물 및/또는 송이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기능성 사료 첨가제 조성물;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또는 항스트레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신경세포 보호효과가 있으며, 특히 스트레스 또는 우울증 증상으로 인해 감소하는 BDNF (brain derivated neurotrophic factor) 발현 회복 효과 및 스트레스 부여에 따른 인지기능저하의 개선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시료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실험 동물로부터 통증 반응 시 발생되는 초음파 음력대의 발생 횟수 또는 지속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할 수 있어 시료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통증 반응의 측정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이 갖는 실험자의 개별적 차이, 주관적 판단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코사놀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폴리코사놀은 천연 항히스타민제로 사용되어,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향상된 입면시간의 감소 및 수면시간의 증가 효과가 있다. 폴리코사놀은 쌀겨, 사탕수수, 밀 또는 수수 등에서 유래되는 천연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내성 또는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없다.
Abstract:
본 발명은 상백피( Mori Cortex Radici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의 핵 내 이동을 억제함으로써 스트레스로 인해 유도되는 신호전달 과정을 저해하여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내며, 종래의 항우울제와 같이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수용체에 대한 길항제로서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항우울증 효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청호 (Artemisia apiaceae) 추출물, 팔각회향 (Illicium verum) 추출물 및 정력자 (Lepidium apefalum) 추출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억력 또는 학습 능력 증진용 조성물 및 인지기능장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세틸콜린스테라아제의 활성을 억제, 항산화 활성(예컨대, 활성산소종) 및 NMDA 리셉터와의 친화력을 통하여 신경세포, 특히 대뇌 기저부의 신경세포의 손상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신경세포를 보호 및 손상의 예방 효과를 통하여 기억력 또는 학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인지기능장애로 질환을 예방 및 치료 할 수 있는 효능을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억력 또는 학습 능력의 증진 효능, 또는 인지기능장애를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가지는 정력자 추출물의 의약 및 식품으로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감마오리자놀의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제로서의 신규 용도를 제공한다. 감마오리자놀은 천연 항히스타민제로 사용되어, 알레르기성 비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 기관지염; 구토; 위 및 십이지장 궤양; 위식도 역류; 수면장애; 불안; 및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 향상된 입면시간의 감소, 수면시간의 증가 및 논렘수면 시간의 증가 효과가 있다. 감마오리자놀은 쌀겨에서 유래되는 천연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인지장애(cognitive impairment), 내성 또는 의존성이 형성되는 부작용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