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포함하는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손발저림, 또는 가슴 두근거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YT1 균주를 식품으로 인체에 적용한 결과, 상기 균주가 포함된 식품 섭취 후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손발저림, 또는 가슴 두근거림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갱년기 여성의 안면홍조, 손발저림, 또는 가슴 두근거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Lactobacillus acidophilus ) YT1(수탁번호: KCCM11808P) 균주, 및 상기 신규 균주를 포함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난소적출을 통해 갱년기 동물모델을 정립하고 이로부터 장내 미생물의 분포 변화를 확인하고, 갱년기 모델에서 분포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유산균 중에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균주를 동정 및 분리하였으며, 상기 신규 균주 및 종래 보고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균주에 의한 체지방 증가 억제, 골밀도 감소 억제, 통증의 민감도 증가 억제, 및 우울증 완화 등의 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갱년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 Lactobacillus intestinalis ) YT2(수탁번호: KCCM11812P) 균주, 및 상기 신규 균주를 포함한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갱년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난소적출을 통해 갱년기 동물모델을 정립하고 이로부터 장내 미생물의 분포 변화를 확인하고, 갱년기 모델에서 분포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유산균 중에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 균주를 동정 및 분리하였으며, 상기 신규 균주 및 종래 보고된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 균주에 의한 체지방 증가 억제, 골밀도 감소 억제, 통증의 민감도 증가 억제, 및 우울증 완화 등의 갱년기 증상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는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락토바실러스 인테스티날리스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갱년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도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마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통증의 완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 발생된 통증에 대해 완화 및 치료 효과를 가질 뿐 아니라 통증이 발생하기 이전에 대상에 투여하면 통증을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맥주사 또는 피부 도포 등의 방법이 아닌 경구 투여를 통해서도 현저한 통증 완화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품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은 시료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실험 동물로부터 통증 반응 시 발생되는 초음파 음력대의 발생 횟수 또는 지속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표현할 수 있어 시료의 통증 완화,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하며, 통증 반응의 측정에 있어서 종래의 방법이 갖는 실험자의 개별적 차이, 주관적 판단에 대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