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0243346B1
公开(公告)日:2000-02-01
申请号:KR1019970066469
申请日:1997-12-06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N5/20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색을 이용하여 연속되는 비디오 프레임에서 손 영역을 추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무실에 설치된 컴퓨터 앞에서 연속적인 사용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연속적인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사용자의 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A/D 변환하여 생성되는 사용자의 손 영상을 여러 번 샘플링하고 YIQ 좌표계에서 I와 Q값만을 이용하여 피부색 모델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피부색 유사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색 유사도 영상에서 손 후보 영역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손 후보 영역들 중에서 손 영역을 결정하는 손 영역결정단계를 수행하여 손의 모양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손의 색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고, 사용자 환경 변화에 따른 손 색의 변화를 피부색 모델에 반영하므로, 손 모양이나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서도 손 영역을 쉽게 추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성으로 한다.
-
公开(公告)号:KR100243351B1
公开(公告)日:2000-02-01
申请号:KR1019970072642
申请日:1997-12-23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N9/64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유.브이(YUV) 공간에서 컬러 특성 분포를 이용한 유사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사도 측정 방법은 비디오 영상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비디오 영상과 비교 기준이 되는 쿼리 영상에 대해 컬러 채널의 평균값, 표준편차, 스큐의 3제곱근을 구하고, 그들의 차이를 구해 상기 비디오 영상에 대한 Y,U,V 컬러 공간의 1, 2, 3차 컬러 분포 모멘트를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9개의 컬러 분포 모멘트를 신경망에 입력하여 기준 영상에 대한 비디오 영상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제 2 단계로 구성되어, 기존의 히스토그램 기반 방법 보다 검색 결과가 우수하고, 색인을 위해서 별도로 컬러 공간 변환을 할 필요가 없으며 색인 데이터 크기 또한 적으므로 검색 속도도 매우 빠르며, 가중치 설정값(weight set) 추 출의 애매성을 제거하여, 기존의 히스토그램 기반 방법보다 조명의 변화, 영상 입력 장치에 따라 발생하는 미묘한 차이에 대해서도 신뢰적인(robust) 결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
公开(公告)号:KR1019990053072A
公开(公告)日:1999-07-15
申请号:KR1019970072642
申请日:1997-12-23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N9/64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유.브이(YUV) 공간에서 컬러 특성 분포를 이용한 유사도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유사도 측정 방법은 비디오 영상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비디오 영상과 비교 기준이 되는 쿼리 영상에 대해 컬러 채널의 평균값, 표준편차, 스큐의 3제곱근을 구하고, 그들의 차이를 구해 상기 비디오 영상에 대한 Y,U,V 컬러 공간의 1, 2, 3차 컬러 분포 모멘트를 추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추출된 9개의 컬러 분포 모멘트를 신경망에 입력하여 기준 영상에 대한 비디오 영상의 유사도를 측정하는 제 2 단계로 구성되어, 기존의 히스토그램 기반 방법 보다 검색 결과가 우수하고, 색인을 위해서 별도로 컬러 공간 변환을 할 필요가 없으며 색인 데이터 크기 또한 적으므로 검색 속도도 매우 빠르며, 가중치 설정값(weight set) 추 출의 애매성을 제거하여, 기존의 히스토그램 기반 방법보다 조명의 변화, 영상 입력 장치에 따라 발생하는 미묘한 차이에 대해서도 신뢰적인(robust) 결과를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
公开(公告)号:KR1019990047902A
公开(公告)日:1999-07-05
申请号:KR1019970066469
申请日:1997-12-06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N5/20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부색을 이용하여 연속되는 비디오 프레임에서 손 영역을 추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무실에 설치된 컴퓨터 앞에서 연속적인 사용자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촬영하는 단계와, 상기 연속적인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 다음,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켜 사용자의 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A/D 변환하여 생성되는 사용자의 손 영상을 여러 번 샘플링하고 YIQ 좌표계에서 I와 Q값만을 이용하여 피부색 모델 히스토그램을 생성하여 피부색 유사도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피부색 유사도 영상에서 손 후보 영역들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손 후보 영역들 중에서 손 영역을 결정하는 손 영역결정단계를 수행하여 손의 모양 변화에 민감하지 않은 손의 색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고, 사용자 환경 변화에 따른 손 색의 변화를 피부색 모델에 반영하므로, 손 모양이나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서도 손 영역을 쉽게 추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성으로 한다.
-
公开(公告)号:KR100196358B1
公开(公告)日:1999-06-15
申请号:KR1019960032597
申请日:1996-08-05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Abstract: 본 발명은 이치화한 영상을 이루는 픽셀 단위를 분할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상기 이치화한 영상을 세그먼트 단위를2 갖는 소정의 포맷으로 직접 분할 하여 상기 세그먼트의 값을 구하는 영상 인식 시스템의 영상 인식을 위한 정규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메모리의 증가를 억제하여 연산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영상을 인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 중인 차량의 번호판이나 타이어에 표시된 숫자 및 문자를 인식하는데 적용함으로써 효율적인 도로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公开(公告)号:KR100194583B1
公开(公告)日:1999-06-15
申请号:KR1019960039332
申请日:1996-09-11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6F17/50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고립영역을 이용하여 배경영역을 제거하고 자동적으로 눈쌍을 추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코 및 입영역을 추출하는 얼굴 구성요소 추출시스템 및 그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립영역을 이용하여 얼굴의 크기변화나 배경의 유무, 안경의 착용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서도 얼굴의 구성요소를 잘 찾을 수 있는 얼굴 구성요소 추출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장치에 상응하는 얼굴 구성요소 추출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구성은 일정 장소에서 얼굴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중에서 눈 영역 및 상기 추출된 눈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중에서 코 및 입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구성은 일정장소에서 얻어진 얼굴영상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촬영 및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A/D변환하는 스텝과,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탈 영상신호중에서 얼굴 각 구성요소에 대한 에지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된 에지를 기준으로 얼굴 구성요소에 대한 고립영역을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된 에지 및 고립영역을 기준으로 눈 영역을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된 눈 영역을 기준으로 코 및 입 영역을 추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립영역을 이용하여 배경영역을 제거하고 자동적으로 눈쌍을 추출한 후, 이 추출된 에지영상을 바탕으로 코 및 입영역을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얼굴의 크기 변화나 배경의 유무, 안경의 착용,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서도 얼굴의 구성요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公开(公告)号:KR1019980020738A
公开(公告)日:1998-06-25
申请号:KR1019960039332
申请日:1996-09-11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6F17/50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고립영역을 이용하여 배경영역을 제거하고 자동적으로 눈쌍을 추출한 후, 이를 바탕으로 코 및 입영역을 추출하는 얼굴 구성요소 추출시스템 및 그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립영역을 이용하여 얼굴의 크기변화나 배경의 유무, 안경의 착용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서도 얼굴의 구성요소를 잘 찾을 수 있는 얼굴 구성요소 추출시스템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장치에 상응하는 얼굴 구성요소 추출방법을 제공함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구성은 일정 장소에서 얼굴 영상신호를 촬영하여 상기 촬영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중에서 눈 영역 및 상기 추출된 눈 영역을 바탕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신호중에서 코 및 입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구성은 일정장소에서 얻어진 얼굴영상의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촬영 및 입력하는 스텝과, 상기 입력된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탈 영상신호로 A/D변환하는 스텝과, 상기 변환된 적어도 하나의 디지탈 영상신호중에서 얼굴 각 구성요소에 대한 에지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된 에지를 기준으로 얼굴 구성요소에 대한 고립영역을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검출된 에지 및 고립영역을 기준으로 눈 영역을 추출하는 스텝과, 상기 추출된 눈 영역을 기준으로 코 및 입 영역을 추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립영역을 이용하여 배경영역을 제거하고 자동적으로 눈쌍을 추출한 후, 이 추출된 에지영상을 바탕으로 코 및 입영역을 추출하는 것이기 때문에, 얼굴의 크기 변화나 배경의 유무, 안경의 착용, 그리고 조명의 변화에서도 얼굴의 구성요소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公开(公告)号:KR1019960032256A
公开(公告)日:1996-09-17
申请号:KR1019950002845
申请日:1995-02-15
Applicant: 건아정보기술 주식회사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8G1/01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이동속도에 따른 차량 계수범위를 정한 다음, 차량 계수범위를 통과하는 차량의 이동점을 추적하여 자동적으로 이동차량을 계수하는 이동차량 자동 계수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차량 영상을 촬영 및 입력하는 수단과; 상기 차량 영상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한 다음, 상기 샘플링된 차량 영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영상을 생성하는 A/D 변환수단과; 상기 A/D 변환수단에서 출력되는 하나의 영상으로 도로정보를 추출하는 수단과; 적어도 2개 이상의 연속된 영상으로 차량의 평균 이동 속도를 측정하는 수단과; 상기 평균 이동속도를 기준으로 차량 계수범위를 정한 후 상기 차량 계수범위를 통과하는 이동차량을 계수하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동차량 자동 계수시스템 및 방법은 교통량 조사 및 교통상황 파악의 자동화를 이룰 수 있으므로, 조사경비가 절감되고 조사결과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公开(公告)号:KR100243350B1
公开(公告)日:2000-02-01
申请号:KR1019970065943
申请日:1997-12-04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N7/08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영상에서 자막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단순한 인덱스 검색 방법에 의하므로써 영상의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검색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한 프레임의 비디오 입력 영상(명암값 영상)이 들어오면 전체 영상에서 뉴스 자막이 존재할 징후가 있는 곳을 추출하여 추출된 후보 영역이 연속된 프레임에서 연속성이 계속되는지를 검사함으로서 최종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의 후보 영역이 진정한 자막 영역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대단위 영역화 및 검증을 하며, 영역화 과정에서 구해진 개별 문자 영역을 인식 수단을 사용하여 추출된 자막 인식 단계를 수행하므로써 실시간적으로 뉴스 비디오 자막 추출 및 인식 이 가능하게 하였다.-
公开(公告)号:KR1019990047501A
公开(公告)日:1999-07-05
申请号:KR1019970065943
申请日:1997-12-04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N7/08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영상에서 자막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단순한 인덱스 검색 방법에 의하므로써 영상의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하지 못하여 다양한 사용자의 검색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있다.
이에 본 발명은 한 프레임의 비디오 입력 영상(명암값 영상)이 들어오면 전체 영상에서 뉴스 자막이 존재할 징후가 있는 곳을 추출하여 추출된 후보 영역이 연속된 프레임에서 연속성이 계속되는지를 검사함으로서 최종 후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의 후보 영역이 진정한 자막 영역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대단위 영역화 및 검증을 하며, 영역화 과정에서 구해진 개별 문자 영역을 인식 수단을 사용하여 추출된 자막 인식 단계를 수행하므로써 실시간적으로 뉴스 비디오 자막 추출 및 인식 이 가능하게 하였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