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구속장이 K인 비터기 복호기의 설계시에, 그 부품으로 상태 메트릭 연산 블럭이 사용된다. 구속장이 K일때, 2 K-1 개의 상태 메트릭이 존재하는데, 상태 메트릭 연산은 기존의 2 K-1 개 상태 메트릭으로부터 새로운 2 K-1 개 상태 메트릭을 생성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태 메트릭 연산 블럭의 구현 방법은 기존의 상태 메트릭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새로운 상태 메트릭을 저장하는 메모리등 2개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구조를 이용하는 것이다. 설계면적의 효과적인 사용을 위하여 한개의 메모리만을 이용한 상태 메트릭 연산 블럭을 구조 및 메모리 번지 운용방법이 고안되고 있으며, 본 발명은 구현방법의 일환으로 메모리 번지 발생기, 지연소자를 사용한 쓰기 메모리 번지 생성기, 파이프 라인 방식의 ACS(add-compare-select) 출력 처리기 등을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장점은 지연 소자를 사용한 쓰기 메모리 번지 생성기 및 파이프 라인 방실의 ACS 출력 처리기로 상태 메트릭 연산블럭을 구현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며, 설계면적대비 수행속도의 손실이 없다는 점이다.
Abstract:
직교성을 갖는 직교신호 집합은 디지털 신호변조 방식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왈시(Walsh) 함수열과 그 변환인 아다마루(Hadamard) 함수열은 완전한 직교성을 가지기 때문에 현재 CDMA 확산대역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분야 및 디지털 계측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다마루 함수열을 사용한 디지털 신호처리기의 경우 송신측에서 아다마루 함수열로 변환된 전송신호는 수신단에서 아다마루 변환을 거쳐서 전송된 신호를 복원하다. 이러한 아다마루 변환은 행렬식 방식으로 계산할 경우 많은 계산과 시간을 요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아다마루 변환을 위하여 고안되었으며, 가감산기를 이용하여 아다마루 변환기를 간단하게 구현하였다. 본 발명의 아다마루 변환기를 집적회로로 구현할 경우 구조가 간단하여 칩면적과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으며, 변환에 걸리는 시간도 짧은 장점이 있다. 아다마루 변화기 구현의 용이성은 아다마루 함수열을 사용하는 시스템 설계의 폭을 넓히고 성능을 개선한다.
Abstract:
A hadamard transformer using the adding/subtraction device whereby the structure of the hadamard transformer make to be simply, the area of the chip and the consume power is decreased, and the converting time is short.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확산통신시스템의 수신기에서의 코드 추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DDL 코드 추적기는 고정된 코드 시간을 사용함으로써 근접 다중경로가 자주 발생하는 도심 환경이나 이동체의 빠른 속도로 인한 경로의 변화율이 큰 경우, 효율적인 코드 추적을 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DDL의 경우 사용하는 코드의 지연 시간에 따라서, 코드 오류에 의한 루프 에너지 검출 영역의 선형 구간이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여러개의 코드시간을 사용하여 추적루프의 에너지 검출 영역의 선형 구간을 확대하기 위한 DDLL(Double Delay-Locked Loop) 코드 추적기를 제공하고, 또한, 끊임없이 변화하는 수신 환경의 변화에 따라서 앞선 시간 코드와 지연 시간 코드의 차이를 가변적으로 사용하여, 수신 경로의 변화율이 큰 경우에도 효율적인 코드 추적을 수행할 수 있는 가변 시구간 코드 추적기(Variable Delay-Locked Loop code tracking loop)를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드 추적기의 성능 개선은 코드확산 무선 통신 시스템의 수신기 성능 향상시키고, 또한 수신기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하다마드 변환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칩면적과 소비전력을 저감토록 한 고속 하다마드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입력 데이타를 다중화하는 제1다중화기와, 입력 데이타를 선입선출하는 제1선입선출 버퍼와, 제1선입선출기의 출력과 입력 데이타를 다중화하는 제2다중화기와, 제1다중화기의 출력데이타와 제2다중화기의 출력 데이타를 버터 플라이 연산하여 제l 및 제2출력신호를 얻는 버터플라이 연산기와, 버터플라이 연산기에서 출력되는 제2출력 신호를 선입선출하는 제2선입선출 버퍼로 프로세서를 구성 하게 된다.
Abstract:
The method adds to the existing pitch detection method the steps of: detecting a highly autocorrelated region (upper 45% of a speech signal peak distribution) to accept it as the candidate region for the pitch detection; padding the excluded region by zeros; applying the pitch detection algorithm only to the candidate region, thereby reduces the pitch detection time.
Abstract:
본 발명은 CELP보코더에서 음성 신호의 피치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음성파형에서 상관관게가 높은 봉우리의 대칭성을 측정하여 낮은 구간은 피치검색에서 제외시키는 상관관계 대칭특성을 이용한 CELP보코더의 피치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피치 검색시 양의 봉우리를 이루는 상관 관계값만을 피치검색에 필요로하고 상관관계의 특성상 양과 음의 봉우리가 반복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양의 상관관계 봉우리가 나타나면 그 다음의 양의 봉우리폭 만큼은 음의 봉우리가 존재하는 구간이기 때문에 이 구간은 상관관계값을 계산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종래 처리블럭에 상관관계 봉우리의 대칭성을 측정하여 음의 봉우리 구간을 피치 검색에 제외시키는 피치검색 방법이다. 상기한 바에 의해 본 발명은 CELP보코더 실시간 구현시 처리속도가 낮은 저가의 DSP칩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피치검색시에 줄인 계산량 만큼의 처리과정을 다른 서비스 기능을 위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CELP보코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