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허브, 블레이드, 너셀 및 타워 구조물들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들어올려 풍력발전기를 육지 또는 해양에 설치하기 위한 풍력발전기 설치장치로서, 육지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 타워 구조물을 실은 바지선이나 선박 또는 차량으로부터 타워 구조물을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데크; 상기 연결데크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상, 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타워 구조물들이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내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가설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타워 구조물이 고정되는 내측 프레임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고, 다시 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풍력발전기 설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풍력발전기 설치장치는, 허브, 블레이드, 너셀 및 타워 구조물들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들어올려 풍력발전기를 육지 또는 해양에 설치하기 위한 풍력발전기 설치장치로서, 육지 또는 해저에 설치되는 기초구조물; 타워 구조물을 실은 바지선이나 선박 또는 차량으로부터 타워 구조물을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기초구조물의 상부에 마련되는 연결데크; 상기 연결데크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외측 프레임과, 상기 외측 프레임의 내측에 상,하부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상기 타워 구조물들이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내측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가설 프레임; 상기 외측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타워 구조물이 고정되는 내측 프레임을 상향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고, 다시 하강시키기 위한 리프팅 수단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기의 타워 구조물을 시공할 때, 타워 구조물들이 이중 가설 프레임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호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타워 구조물들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파일의 지지력 증가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파일의 지지력 증가장치는, 지반에 관입되는 구조물 지지용 파일의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파일에 일단이 축 결합되어 회동가능하도록 일단 양측에 한 쌍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로부터 폭방향 또는 길이 방향으로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향 측방으로 펼쳐지거나, 하향 측방으로 펼쳐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날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이 지반에 관입된 상태에서 상기 날개부재가 상향 측방으로 펼쳐지거나, 하향 측방으로 펼쳐져 주변 지반과의 마찰력 증가로 상기 파일에 가해지는 외력에 저항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파일에 날개부재가 상향 측방으로 펼쳐지거나 하향 측방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됨으로써 파일에 작용하는 인발 저항력이나 연직방향 지지력, 횡방향 지지력과 같은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연안지역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연안지역 정밀 지형도 제작방법는, a) 해당 연안지역의 수심과 지형을 측량하는 기간 중 파고 조위계를 포함하는 조위 측정수단을 이용하여 해당 연안의 조위를 측정하는 단계; b) 조사 선박에 자이로 센서를 구비한 멀티빔 음향측심기와 육상 레이저 측량기를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조사 선박에 설치된 멀티빔 음향측심기와 육상 레이저 측량기를 이용하여 해당 연안의 해양지역의 수심과 육상지역의 지형을 동시에 측량하여 해당 연안의 수심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동시에 얻는 단계; d) 상기 자이로 센서의 자료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 선박의 움직임에 따른 수심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 e) 상기 a) 단계에서 해당 연안 해양지역의 파고와 수심을 정밀 측량하여 얻은 조위자료를 이용하여 수심 테이터를 평균해수면 기준의 수심 데이터로 보정하는 단계; f) 상기 d)와 e) 단계에서 보정된 수심 데이터와 지형 데이터를 좌표 변환기를 이용하여 GRS80 타원체의 WGS84 경위도좌표와 표고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g) 상기 f) 단계에서 얻은 해당 연안지역의 3차원 정밀 지형 데이터에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형도의 데이터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에 의하면, 조사 선박에서 연안의 수심과 육지의 지형을 동일 시간에 동시에 측량함으로써, 연안지역의 육지와 해양의 별도로 측량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고, 수심데이터와 지형데이터를 별도로 얻어 이를 결합하는 작업이 삭제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PURPOSE: An installation method of wind power generator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couple tower structures by a double temporary frame while the tower structures are stably supported, thereby easily and rapidly coupling each tower structure. CONSTITUTION: An installation method of wind power generator includes a base structure (200), a connection deck (300), a temporary frame (400), and a lifting means. The connection deck is prepared on the top of the base structure so as to move a tower structure to the top of the base structure from a barge, a ship, or a vehicle in which the tower structure is loaded. The temporary frame comprises an outer frame (410) vertically stood on the top of the connection deck, and an inner frame (420) which is installed in the outer frame to be vertically movable. The lifting means is provided on the outer frame, moves by raising the inner frame to which the tower structure is fixed upward, and lowers the inner frame.
Abstract:
별도의 계류라인을 사용하지 않은 부이를 이용한 수중관측자료 실시간 전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별도의 계류라인을 사용하지 않은 부이를 이용한 수중관측자료 실시간 전송장치는, 수면의 부이와 해저 또는 수중의 관측장비를 직접 연결하여 상기 관측장비로부터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부를 갖는 부이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중의 고무재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편조된 금속 와이어가 구비된 중공형의 계류용 호스와, 내부에 데이터 전송용 전선을 구비하여 상기 계류용 호스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보호 케이블로 이루어진 메인 케이블; 및 상기 관측장비에 상기 계류용 호스의 일단을 연결시키고, 타단을 상기 부이에 결합시키며, 해저에 설치되는 앵커 또는 중량물에 접한 상기 계류용 호스의 소정 영역을 앵커 또는 중량물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메인 케이블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분산되도록 결합시키는 각각의 결합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케이블이 상기 관측장비와 부이를 연결하는 계류라인의 기능과 데이터 전송 케이블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상기 관측장비로부터 관측된 관측 데이터를 상기 부이로 실시간 전송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면의 부이와 관측장비 또는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를 연결하여 부이를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라인의 역할을 메인 케이블 자체가 수행함으로써, 부이를 계류시키기 위한 별도의 계류라인이 불필요하고, 앵커와 부이 사이의 수중에 위치하는 메인 케이블의 일정 영역에 수중압력 부이가 다수개 구비됨으로써, 메인 케이블의 자체 중량을 상쇄시키고 양성 부력을 확보할 수 있어서, 부이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