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公开(公告)号:KR1020150061437A
公开(公告)日:2015-06-04
申请号:KR1020130145566
申请日:2013-11-27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IPC: G10L13/08
CPC classification number: G10L21/0356 , G06T13/40 , G10L15/04 , H04N21/4307
Abstract: 로봇자동스토리텔링(Robot Storytelling)을위해화자캐릭터(Speaking Character)에음성을매핑하는방법은자연언어처리기술(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을이용하여복수의발화텍스트들각각에대응하는복수의화자캐릭터들을판단하는단계; 상기복수의화자캐릭터들사이의발화관계또는상기복수의화자캐릭터들각각의고유성중 적어도어느하나를분석하는단계; 및상기분석결과에기초하여미리설정된매핑알고리즘을이용함으로써, 미리설정된음성들을상기복수의화자캐릭터들이서로구별되도록상기복수의화자캐릭터들각각에매핑하는단계를포함한다.
Abstract translation: 将语音映射到机器人讲故事的口语角色的方法包括以下步骤:通过使用自然语言处理(NLP)技术来决定与多个点火文本中的每一个对应的多个说话人物; 分析多个说话人中的每个的多个说话人物之间的点火关系中的至少一个或特征; 并且通过使用基于分析结果的先前确定的映射算法,将先前确定的语音映射到要区分的说话字符的每个说话字符。
-
公开(公告)号:KR100617976B1
公开(公告)日:2006-08-31
申请号:KR1020040093023
申请日:2004-11-15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2차원 영상정보와 손가락 관절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손모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과, 상기 손모양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질의 손영상으로부터 손모양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손모양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과 손모양 인식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모양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은, 구축장치가 손모양식별자 정보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손을 촬영한 2차원 손영상을 획득하는 손영상획득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2차원 손영상으로부터 손영상기반특징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를 추출하는 2차원특징추출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손모양식별자 정보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 관절의 각도정보를 획득하는 손관절각도정보획득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손가락 관절의 각도정보로부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를 추출하는 3차원특징추출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와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간 층간연결특징을 추출하는 층간연결특징추출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와,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와, 상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와, 상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와, 상기 층간연결특징을 상기 손모양식별자 정보와 함께 손모양데 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손영상, 관절각도, 유사도, 연결벡터, 연결강도-
公开(公告)号:KR100581717B1
公开(公告)日:2006-05-22
申请号:KR1020040043936
申请日:2004-06-15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IPC: G06F15/18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lift style)에 기반한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주거 환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고, 로봇 등을 이용한 서비스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행동 패턴 기반 지능형 주거 공간의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주거 공간의 학습방법은, 최대퍼지소속함수의 개수와 에피소드 단위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최초 에피소드에서 관측된 사용자 행위 내용과 주거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학습된 지식으로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이후의 에피소드에서 사용자 행위를 관측하고 상기 관측된 행위 내용과 주거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관측된 신규 에피소드에서의 사용자 행위 내용을 상기 기학습된 지식의 사용자 행위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신규 에피소드에서 새롭게 관측된 신규 행위와 기학습된 지식과 중복된 행위를 구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신규 에피소드에서 새롭게 관측된 신규 행위에 대한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기학습된 지식과 중복된 행위에 대한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갱신하여, 상기 기학습된 지식을 갱신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퍼지함수, 퍼지규칙, 강화학습, 학습제어, 행동패턴 기반, 지능형 주거 공간-
公开(公告)号:KR1020060053348A
公开(公告)日:2006-05-22
申请号:KR1020040093023
申请日:2004-11-15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F21/32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촬영한 2차원 영상정보와 손가락 관절 각도정보를 이용하여 손모양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장치 및 방법과, 상기 손모양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질의 손영상으로부터 손모양을 인식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손모양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과 손모양 인식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모양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은, 구축장치가 손모양식별자 정보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손을 촬영한 2차원 손영상을 획득하는 손영상획득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2차원 손영상으로부터 손영상기반특징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를 추출하는 2차원특징추출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손모양식별자 정보와 함께 입력되는 사용자의 손의 손가락 관절의 각도정보를 획득하는 손관절각도정보획득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손가락 관절의 각도정보로부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를 추출하는 3차원특징추출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와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간 층간연결특징을 추출하는 층간연결특징추출단계와; 상기 구축장치가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와, 상기 손영상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와, 상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와, 상기 관절각도기반특징벡터 상호간 연결강도와, 상기 층간연결특징을 상기 손모양식별자 정보와 함께 손모양데 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손영상, 관절각도, 유사도, 연결벡터, 연결강도-
5.
公开(公告)号:KR1020090053414A
公开(公告)日:2009-05-27
申请号:KR1020070120259
申请日:2007-11-23
Abstract: 본 발명은 IEEE 802.11n MAC 프레임을 이용하여 스테이션에 필요한 대역폭을 할당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IEEE 802.11n MAC 프레임에 스테이션에 필요한 대역폭 정보가 미리 기록된 새로운 개념의 IEEE 802.11n의 MAC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억세스 포인트는 각 스테이션에 필요한 대역폭을 최적으로 할당할 수 있어 무선통신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억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스테이션(Station), IEEE 802.11n, MAC(Medium Access Control), 프레임(Frame)-
6.
公开(公告)号:KR1020060133190A
公开(公告)日:2006-12-26
申请号:KR1020050052893
申请日:2005-06-20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CPC classification number: H04M3/42 , G09B21/009 , G10L21/10 , H04N7/14
Abstract: A two-way language phone system for the recognition and generation of sign language is provided so that aurally handicapped persons can lead leisure life through a video phone system program or obtain information required for social activities or education. A two-way language phone system for the recognition and creation of sign language consists of a system processing part(100), a sign language input part(110), a sign language output part(120), a communication line part(130), and a DB group(140). The system processing part(100) comprises a sentence generation part(200), a voice generation part(400), a sentence creation part(500), and a sign language generation part(300). The sign language input part(110) recognizes a sign language operation or a sign language form through a camera and provides corresponding sign language image data to the sentence generation part(200). The sentence generation part(200) searches the sign language DB of the DB group(140) for a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sign language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sign language input part(110). The voice generation part(400) obtains the phonemes corresponding to the sentence, provided from the sentence generation part(200), from the voice DB of the DB group(140), combines them into a voice, and provides it to the communication line part(130). The sentence creation part(500) searches the voice recognition DB of the DB group(140) for a sentence corresponding to the voice provided from the communication line part(130) and provides it to the sign language generation part(300).
Abstract translation: 提供用于识别和产生手语的双向语言电话系统,使听觉残疾人可以通过视频电话系统程序引导休闲生活,或获得社会活动或教育所需的信息。 用于识别和创建手语的双向语言电话系统包括系统处理部分(100),手语输入部分(110),手语输出部分(120),通信线部分(130) ,以及DB组(140)。 系统处理部分(100)包括句子生成部分(200),语音生成部分(400),句子创建部分(500)和手语产生部分(300)。 手语输入部(110)通过相机识别手语操作或手语形式,并向句子生成部(200)提供对应的手语图像数据。 句子生成部分(200)搜索DB组(140)的手语DB与从手语输入部分(110)提供的手语图像数据相对应的句子。 声音产生部分(400)从DB组(140)的语音DB获得与句子生成部分(200)相对应的句子对应的音素,将它们组合成语音,并将其提供给通信线路 部分(130)。 句子创建部分(500)在DB组(140)的语音识别DB中搜索与通信线路部分(130)提供的语音相对应的句子,并将其提供给手语产生部分(300)。
-
公开(公告)号:KR1020050118822A
公开(公告)日:2005-12-20
申请号:KR1020040043936
申请日:2004-06-15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IPC: G06F15/18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활 패턴(lift style)에 기반한 행동 패턴을 학습하여 사용자의 주거 환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고, 로봇 등을 이용한 서비스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행동 패턴 기반 지능형 주거 공간의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주거 공간의 학습방법은, 최대퍼지소속함수의 개수와 에피소드 단위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최초 에피소드에서 관측된 사용자 행위 내용과 주거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학습된 지식으로 저장하는 제 2 단계와; 이후의 에피소드에서 사용자 행위를 관측하고 상기 관측된 행위 내용과 주거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관측된 신규 에피소드에서의 사용자 행위 내용을 상기 기학습된 지식의 사용자 행위 내용과 비교하여, 상기 신규 에피소드에서 새롭게 관측된 신규 행위와 기학습된 지식과 중복된 행위를 구분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신규 에피소드에서 새롭게 관측된 신규 행위에 대한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생성하고, 상기 기학습된 지식과 중복된 행위에 대한 퍼지규칙과 퍼지소속함수를 갱신하여, 상기 기학습된 지식을 갱신하는 제 5 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KR100730573B1
公开(公告)日:2007-06-20
申请号:KR1020050052893
申请日:2005-06-20
Applicant: 한국과학기술원
Abstract: 본 발명은, 제공되는 수화영상데이터에 대응하는 한글 문장을 발생하는 문장발생부와, 상기 문장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한글 문장에 대응하는 음성소를 사용해서 음성을 합성하여 통신회선부로 제공하는 음성발생부와, 상기 통신회선부로부터 제공되는 음성에 대응하는 한글 문장을 생성하는 문장생성부와, 상기 문장생성부로부터 제공되는 한글 문장에 대응하는 수화를 수행하는 아바타를 표현하는 수화발생부를 구비한다.
수화, 손인식, 손자세, 손이동, 손모양, 형태소 분석, 자음변환, 입술모양, 3차원 애니메이션, DB, 통신, 전화, 정보, 보조기술, 농아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