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각 풍선을 활용한 구강 냉각 장치

    公开(公告)号:WO2021085858A1

    公开(公告)日:2021-05-06

    申请号:PCT/KR2020/012701

    申请日:2020-09-21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수를 주입하여 입안의 풍선을 팽창시켜 구강 내 점막 조직과 풍선을 접촉시킴으로써 구강 내 점막 조직을 냉각시키는 것에 의해 구강 점막염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수를 공급하고 회수하는 펌프를 구비한 냉각수 공급부; 상기 냉각수 공급부에 결합되어 공급냉각수를 이송시키고, 회수냉각수를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 회수하는 냉각수 호스부; 및 상기 냉각수 호스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환자의 입안으로 삽입된 후, 상기 공급냉각수에 의해 팽창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를 냉각시키고, 상기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 공급부로 회수되는 경우 수축되는 냉각풍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 풍선을 이용한 구강 냉각 장치를 제공한다.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
    143.
    发明申请

    公开(公告)号:WO2021060718A1

    公开(公告)日:2021-04-01

    申请号:PCT/KR2020/011358

    申请日:2020-08-26

    Inventor: 채현석

    Abstract: 수술 시 굵은 동맥, 혈관, 요도 등의 신체 내부의 관상 조직을 결찰하여 과다한 출혈을 방지하면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결찰 부재를 구비한 수술장치는 용종의 일부를 감싸 잡거나 벌어져 해제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한 쌍의 집게 부재; 및 상기 집게 부재의 후방에 연결되어 신체 내부로 관통 설치된 관의 내부를 따라 상기 집게 부재가 출입 및 이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집게 부재가 다물거나 벌어지도록 제어하는 작동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

    公开(公告)号:WO2021015444A1

    公开(公告)日:2021-01-28

    申请号:PCT/KR2020/008752

    申请日:2020-07-03

    Inventor: 고현정

    Abstract: 본 발명은 투여횟수를 계수할 수 있는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약액을 펌핑하는 압력을 가하는 누름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를 누를 때의 압력으로 눌려지는 계수버튼이 구비되어, 누름부가 눌려진 횟수를 계수하는 계수기를 포함하는 계수기를 구비하는 자가약물주입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골 종양 수술 장치
    145.
    发明申请

    公开(公告)号:WO2020213973A2

    公开(公告)日:2020-10-22

    申请号:PCT/KR2020/005137

    申请日:2020-04-17

    Inventor: 주민욱 진상록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 종양 수술 장치는, 환자의 뼈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으로 전파될 극초단파를 생성하는 극초단파 생성부; 상기 극초단파 생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극초단파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극초단파를 상기 수용공간으로 전파하는 도파부를 포함한다.

    공존 정신과 증상 기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 방법

    公开(公告)号:WO2020138712A1

    公开(公告)日:2020-07-02

    申请号:PCT/KR2019/015325

    申请日:2019-11-12

    Abstract: 본 발명은 공존(comorbid) 정신과 증상(Psychiatric symptoms) 기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공존(comorbid) 정신과 증상(Psychiatric symptoms) 기반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 방법은, 스마트폰 의존 그룹과 정상적인 그룹에 대해 인구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을 포함하는 다수의 입력변수를 데이터 처리하여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를 통해 성인에 대한 스마트폰 의존 예측변수들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예측변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의사결정나무를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의사결정나무를 통해 문제되는 스마트폰 사용을 5가지 스마트폰 과의존 예측 유형으로 분류하고,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률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