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20242158A2
公开(公告)日:2020-12-03
申请号:PCT/KR2020/006742
申请日:2020-05-25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노태훈
IPC: A61B1/045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 제어 장치는, 시술자의 머리의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송수신기, 수신된 머리의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시술자의 머리 위치의 변경 범위를 설정하는 머리 위치 변경 범위 설정기, 설정된 상기 머리 위치의 변경 범위와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의 제어 범위를 매칭시키는 범위 매칭기 및 상기 머리 위치의 변경 범위와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의 변경 범위의 매칭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내시경 카메라의 위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0166810A2
公开(公告)日:2020-08-20
申请号:PCT/KR2019/018179
申请日:2019-12-20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1N33/68
Abstract: 본 발명은 항체 불변부위(constant region)로만 구성된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항체 효능 평가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체의 가변부위(variable region)가 없는 오직 중쇄(C H ) 및 경쇄(C L ) 불변부위로만 이루어진 IgCw로 명명된 재조합 단백질을 포함하는 항체 효능 평가용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는 항체 효능 평가 방법 및 항체 불변부위로만 구성된 항체 단편을 포함하는 이차항체(secondary antibody)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항체 신약 개발 등에 있어서 항체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조군 즉, 레퍼런스(reference) 항체가 필요하고, 기존의 레퍼런스 항체는 비특이적(non-specific) 결합 즉, 다른 항원과의 반응에 의한 효과(off-target effect)를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며, 정제 수율 또한 낮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항체 불변부위로만 이루어진 재조합 단백질인 IgCw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의 레퍼런스 항체의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으며, 이차항체 제조를 위한 항원으로서도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IgCw는 의생명 과학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
公开(公告)号:WO2020054979A1
公开(公告)日:2020-03-19
申请号:PCT/KR2019/010015
申请日:2019-08-08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손성향
IPC: A61K39/395 , A61K31/7088 , A61K48/00 , G01N33/68
Abstract: 본 발명은 CD83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베체트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체트병 마우스에서 CD83을 발현하는 세포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고, CD83 발현 세포의 증감과 베체트병 증상 사이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한 바, 본 발명에 따른 CD83 억제제를 이용하여 CD83의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베체트병 진단,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CD83 또는 CD83을 발현하는 세포에 의해 야기되거나 이와 연관되는 질환 또는 질병 등에 기존 치료제와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9240330A1
公开(公告)日:2019-12-19
申请号:PCT/KR2018/011808
申请日:2018-10-08
Applicant: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영상 기반 힘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기반 힘 예측 시스템의 로봇 팔의 힘 예측 방법은 오브젝트와 상호 작용하는 로봇 팔의 동작을 연속으로 촬영하여 생성한 실제 영상들을 획득하는 단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기 로봇 팔의 동작 변화와 관련된 시계열 동작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실제 영상들과 상기 시계열 동작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로봇 팔의 상호 작용 힘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9059702A3
公开(公告)日:2019-03-28
申请号:PCT/KR2018/011215
申请日:2018-09-21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섬유 기반 장기간 초대 간세포 배양시스템 및 배양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초대 간세포 배양시스템은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지지체를 사이에 두고 인간 초대 간세포와 간 비실질세포를 이격시켜 직접 공배양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공배양함으로써 증식성이 낮은 초대 간세포를 장기간 본래의 생리활성을 유지하도록 in vitro 상에서 3차원 세포배양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초대 간세포 배양시스템은 간조직 유사 환경으로서 고가의 혈청을 사용하지 않고 저가의 비용으로 손쉽게 초대 간세포를 배양할 수 있으며, 간 약물대사효소(시토크롬 P450 효소) 유도 및 억제를 통한 약물-약물 간 상호작용 분석, 간 수송체의 기능적 업테이크(uptake) 분석 및 약물 유도 간 손상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9054836A2
公开(公告)日:2019-03-21
申请号:PCT/KR2018/010941
申请日:2018-09-17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nventor: 김철호
Abstract: 본 발명은 부작용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한 피부 진정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액상 플라즈마를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플라즈마는 액상 물질에 순수한 에너지로서 플라즈마를 조사한 것으로, 화학 물질에 민감한 피부에 부작용의 위험 없이 이용 가능하고,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염증 또는 광노화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현저하므로, 미용 및 의학 분야에서 크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公开(公告)号:WO2019004748A2
公开(公告)日:2019-01-03
申请号:PCT/KR2018/007348
申请日:2018-06-28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1N33/68
CPC classification number: G01N33/68
Abstract: 본 발명은 페리오스틴(periostin)을 이용한 직업성 천식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TDI에 노출된 집단의 혈액 내 페리오스틴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직업성 천식의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액 내 페리오스틴 농도 측정을 통해 직업성 천식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함으로써 직업성 천식 환자의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8199465A1
公开(公告)日:2018-11-01
申请号:PCT/KR2018/002812
申请日:2018-03-09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PC: C12Q1/6818 , G01N21/17 , G02B5/12
CPC classification number: C12Q1/6818 , G01N21/17 , G02B5/12
Abstract: 광학 유전자 바이오센서가 개시된다. 광학 유전자 바이오센서는 기판, 타겟 핵산 분자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및 이의 말단에 제1 화합물을 구비하고 기판에 고정된 분자 비콘부, 제1 화합물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조사된 광을 재귀반사시킬 수 있는 광학 표지부, 광학 표지부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 및 광학 표지부에 의해 재귀반사된 광을 수용하는 수광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학 유전자 바이오센서에 따르면 비분광 광원 및 분광 광원 모두에 대해서 타겟 핵산 분자의 정확한 정량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18174506A1
公开(公告)日:2018-09-27
申请号:PCT/KR2018/003201
申请日:2018-03-20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PC: C12Q1/6886 , G01N33/574 , A61K31/7105 , A61K39/395
Abstract: 본 발명은 SULF2 유전자를 이용하여 소라페닙 치료에 대한 감수성을 예측하는 방법 및 SULF2 발현 억제를 이용한 소라페닙 내성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SULF2 유전자를 이용한 소라페닙 치료에 대한 감수성을 예측하는 방법은 암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을 투여하여 최적의 치료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며, SULF2 억제를 이용한 소라페닙 내성암 치료용 조성물은 항암 치료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
公开(公告)号:WO2018147660A1
公开(公告)日:2018-08-16
申请号:PCT/KR2018/001719
申请日:2018-02-08
Applicant: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IPC: A61K9/50 , A61K9/10 , A61K9/00 , A61K47/30 , A61K31/496
Abstract: 본 발명은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분해성 고분자와 약물을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 및 가교 결합된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는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신질환 또는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물전달 제형은 약물 주입 초반의 과도한 방출 없이 일정한 속도로 서서히 방출되어 혈중 약물 농도를 장시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항정신제 또는 항우울제 약물 투약 시 문제점이었던 약물의 과도한 초기 방출을 방지하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여러 번 투약할 필요 없이 한 번 투약으로 원하는 방출 거동을 지속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악물전달 제형의 제조방법은 종래 방법에 비해 간단한 공정으로서 서방형 약물전달 제형의 제조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