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19950020701A
公开(公告)日:1995-07-24
申请号:KR1019930030908
申请日:1993-12-29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11C7/00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장치의 보조기억 장치인 메모리 카드를 탈착할 때 또는 장착후 전원을 차단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기억카드내의 데이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탈착식 기억카드의 데이타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며, 외부 신호를 입력받으며, B측을 쓰리 스테이드 상태로 설정하며, 메모리에 신호를 전달하는 버퍼(2); 메모리 카드 분리시 A측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차단하기 위하여 장해 신호를 막기 위해 메모리에 신호변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버퍼(2)를 제어하며, 외부신호가 메모리에 도달하도록 상기 버퍼(2)를 제어하는 버퍼 컨트롤(4); 외부전원 공급의 유무, 전압강하 상태를 감시하며, 그 상태를 상기 버퍼 컨트롤(4)에 전달하여 전원을 제어하여 상기 버퍼 컨트롤(4)에서의 상기 버퍼(2)의 제어신호로 사용되도록 하는 파워 버퍼(6); 상기 파워 버퍼(6)의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전원과 내부전원 선택하도록 하며, 상기 버퍼 컨트롤(4)에 선택 결과를 통보하도록 하는 파워 공급 컨트롤(8); 상기 버퍼 컨트롤과(4) 파워 공급 컨트롤(8)에 신호를 보내 외부전원 에서 내부 전원(12)으로 전환하고 전원 단락상태를 차단하며, 본체로 부터 분리명령을 받거나,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는 신호 상태 감지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
-
公开(公告)号:KR1019930015480A
公开(公告)日:1993-07-24
申请号:KR1019910024065
申请日:1991-12-23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4B1/40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리스폰의 통화 불능상태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화불능상태가 발생되면 국부 주파수 변경으로 다른 채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통화불능 상태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RF증폭수단(1), 제1혼합수단(9), 변조수단(2), 송신 주파수 합성수단(3), 프론트 엔드(4), 제2혼합수단(10), 복조수단(2) 수신 주파수 합성수단(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公开(公告)号:KR1019930015379A
公开(公告)日:1993-07-24
申请号:KR1019910022462
申请日:1991-12-07
IPC: H03M13/00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신호 복조장치에서 복조된 2진 데이타를 샘플링 순간을 결정하는 클럭을 생성하는 데이타 샘플링 클럭 생성기능부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검출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송되어온 데이타를 검출하는 회로에 있어서, 디지틀 복조장치로 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를 입력받아 반전 및 비반전 시켜 출력하는 비반전소자(1) 및 반전소자(2)와,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소자(2,1) 각각에 연결되어 입력되는 반전 및 비반전된 복조신호를 전송율의 2
n (n=4,5,6…)배 되는 클럭에 의해 계수하는 두개의 n비트 계수수단(3,4)과, 상기 두개의 n비트 계수기(3,4)의 각각의 클럭단에 연결되어 전송율의 2
n (n=4,5,6…)배 되는 클럭을 제공하는 발진수단(6)과, 상기 두개의 n비트 계수기(3,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n번째 비트 출력을 입력받아 신호 샘플링 클럭을 출력하는 클럭출력수단(7)과, 디지틀복조장치로 부터 입력되는 복조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반전 및 비반전 소자(2,1)의 지연시간과 n비트 계수기(3,4)의 지연시간의 합만큼 지연시간을 게하여 출력하는 지연수단(5)과, 상기 클럭출력수단(7)과 상기 지연수단(5)에 연결되어 신호 샘플링 클럭과 지연된 복조신호를 입력받아 데이타를 검출하여 출력하는 데이타검출수단(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公开(公告)号:KR1019930015329A
公开(公告)日:1993-07-24
申请号:KR1019910022466
申请日:1991-12-07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3K4/00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합성기에 사용되는 위상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클럭 신호 공급라인, 초기화 신호 공급라인, 및 입력단을 상기 클럭신호 공급라인에 연결하고 출력단을 상기 초기화 신호 공급라인에 연결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누적된 위상값이 2π를 초과할때마다 상기 어큐뮬레이터로 상기 초기화 신호 공급 라인을 통해 초기화 신호를 출력하는 어큐뮬레이터 초기화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公开(公告)号:KR100786896B1
公开(公告)日:2007-12-17
申请号:KR1020060017826
申请日:2006-02-23
Applicant: 한국정보통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G08G1/09 , G08G1/0962 , G08G1/0968 , G01C21/34
Abstract: 본 발명은 TPEG 패킷 데이터의 정보와 GPS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도로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이러한 상황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최적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TPEG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진행하는 최적경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TPEG정보를 사용자 환경에 맞게 필터링하여 제공하고, 리턴 채널을 통한 실시간 교통정보 업데이트를 통하여 실 시간적 유효성과 보다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정확한 교통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지체되는 특정구간의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소요시간에 시간적으로 대응되게 적응 변환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DMB망에서 전송될 TPEG데이터의 단방향 특성과 불특정 다수를 위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
-
公开(公告)号:KR1019970055325A
公开(公告)日:1997-07-31
申请号:KR1019950053626
申请日:1995-12-21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3H17/00
Abstract: 본 발명은 1 : N 인터폴레이션 유한임펄스응답(Finite Impulse Response : 이하, FIR) 필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 디지틀 이동통신에서 채택한 QPSK 변조방식에서 사용하는 1 : N 인터폴레이션 FIR 필터에 관한 것으로, 유한임펄스응답 필터의 적산계수를 저장하고 있는 롬(ROM)이 상기 적산계수 중에서 일부만을 저장하고 있고, 다른 적산계수는 어드레스 조작을 통하여 상기 롬에 저장되어 있는 적산계수에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고 칩의 크기를 최소화할수 있으며 전력소모를 최소화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
公开(公告)号:KR1019970054769A
公开(公告)日:1997-07-31
申请号:KR1019950047062
申请日:1995-12-06
Applicant: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C: H01M10/44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노트북 컴퓨터 등 축전지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기기 및 장치에서 축전지의 메모리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축전지와 이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는 축전지 상태 검출부 및 이 검출부의 검출신호에 따라 상기 축전지의 충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전지 상태 검출부가 다수의 축전지의 충전종지 전압과 방전종지 전압 상태를 검출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축전지 상태 검출부가 축전지 모두 방전종지 전압 상태임을 검출하는 경우 제어부가 축전지의 전압상태를 충전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축전지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축전지 상태 검출부가 임의의 축전지가 충전종지 전압상태이 , 임의의 다른 축전지가 방전종지 전압상태임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방전종지상태인 축전지는 충전상태로 전환시키고 충전종지상태인 축전지는 방전상태로 전환시키어 각각 축전지의 충, 방전을 제어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축전지 상태 검출부가 임의의 축전지가 방전상태임을 검출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축전지를 종지전압 상태까지 방전시킨 후 충전중인 임의의 축전지와 충방전을 교번시키도록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다수의 축전지를 사용하여 충방전을 교번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축전지를 항상 방전종지 전압까지 사용한 후 다시 충전할 수 있어 축전지의 수명을 최대한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