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3D TV가 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시청 안정성에 대한 우려를 제거해야만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3D 입체영상 시청 시에 나타나는 시각적 불편감(visual discomfort) 정도를 측정하여, 시청 안정성을 평가하는 기술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레오스코픽 입체 동영상에서 시각적 불편감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정량적인 값으로 나타내는, 특히 스테레오스코픽 콘텐츠 특성 중에 양안 시차의 빠른 시간적/공간적인 변화 정도에 따른 시각적 불편감의 수준을 측정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입력 동영상에서 샷 경계(shot boundary)를 검출하고, 각 샷 내의 각 프레임 별로 시각적 불편감 정도를 측정하며, 각 프레임 별로 얻어진 불편감 정도 값을 취합하여(pooling) 하나의 정량화된 값으로 해당 샷에 대한 시각적 불편감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범용 멀티미디어 접근(UMA) 시스템 중에서 컨텐츠 적응변환 처리과정에 있어 중요한 부분인 형식 변환과정에 대한 시스템적이고 종합적인 접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 적응 변환 시 어려운 문제들 가운데 하나로 남아있는 형식 변환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형식 변환을 결정하기 위하여 새롭게 제안된 중첩 컨텐츠 모델링과 이와 연관된 형식 변환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의 유연한 명시 및 그 적용 방법 그리고 복합 컨텐츠에 자원을 배분하기 위한 사용자 선호 기반 자원 할당 방법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이상 세 가지 방법의 통합은 특별하게는 형식 변환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일반적으로는 컨텐츠 적응 변환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합적인 해결책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일러블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영역에서의 완전한 스케일러빌리티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공간해상도와 다양한 위치를 가지는 다중 영역(multi regeion)들을 해상도에 따라 계층적으로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디오 영상을 부호화하는 부호화기로서, 상기 비디오 영상 내에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영역(ROI)에 대한 부호화 영역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ROI 사이의 중복영역(OR)을 검출하는 OR 검출부; 상기 비디오 영상, ROI, 및 검출된 OR을 부호화하고자 하는 해상도에 따라 복수의 계층(Layer)에 배치하는 영역 배치부; 및 상기 비디오 영상, ROI, 및 검출된 OR을 상기 영역 배치부에서 배치된 계층의 해상도에 따라 부호화하는 영역 부호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부호화 영역 정보는 상기 ROI의 비디오 영상 내 위치 정보와 상기 ROI의 부호화 해상도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영상 내 ROI를 정의함으로써 해상도 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완전한 스케일러빌리티를 가능케 하는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ROI 영역 사이의 계층간 중복성을 고려함으로써 부호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VC(Scalable Video Coding), MPEG-4, 해상도, 계층, ROI, inter-layer coding, intra-layer coding
Abstract:
본 발명은 TPEG 패킷 데이터의 정보와 GPS 위치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목적지까지 도로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계산하여 이러한 상황에 상응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장치 및 최적정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TPEG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진행하는 최적경로 상에서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TPEG정보를 사용자 환경에 맞게 필터링하여 제공하고, 리턴 채널을 통한 실시간 교통정보 업데이트를 통하여 실 시간적 유효성과 보다 정확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이러한 정확한 교통정보를 바탕으로 차량이 지체되는 특정구간의 소요시간을 계산하여 소요시간에 시간적으로 대응되게 적응 변환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DMB망에서 전송될 TPEG데이터의 단방향 특성과 불특정 다수를 위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송신장치는 오디오 신호원으로부터 출력된 제1아날로그 신호와 제2아날로그신호를 샘플링하여 제1디지털 데이터와 제2디지털 데이터로 만들고 그것들을 스테레오 합성하여 하나의 직렬 디지털 데이터를 만들고 나서 디지털 신호원으로부터 스테레오 포멧으로 표시된 직렬 디지털 데이터를 입력받아 직접 FSK 변조하든지 아니면 송신기에서 만든 스테레오로 합성된 직렬 디지털 데이터를 FSK 변조하여 무선 송신기를 통하여 송신하며, 본 발명의 수신장치는 무선 수신기를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FSK 복조하여 직렬 디지털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계속 위상추적하면서 제1디지털 데이터와 제2디지털 데이터로 분리한 후, 각각을 제1아날로그 신호와 제2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제1스피커와 제2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하므로, S/N 비와 분� ��도 면에서 고품질을 얻을 수 있다는 데에 그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DDS를 이용한 PSK변조기, 특히 QPSK 변조기의 요소를 디지탈화하는 보정로직 및 타이머 그리고 DDS를 이용하여 상기 변조기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값에 따라 위상이 증가되는 PIR과, PIR로부터 출력되는 위상값을 누적하는 위상 누적기와, 전송데이타를 동상 및 직교성분으로 분리하는 IQ분리로직과, IQ분리로직의 출력변조데이타를 위상정보에 포함시키는 오프셋 위상 엔코더와, 오프셋 위상 엔코더과 위상 누적기의 출력신호를 가산하여 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가산기와, 위상누적기의 값이 소정값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타이머를 작동시키는 보정로직 및 타이머 그리고 보정로직 및 타이머의 동작을 제어하는 보정로직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변조 보정로직 및 타이머를 통해서 임의의 값을 주더라도 2π주기마다 항상 � �로 0°부터 시작하게 되어 성능이 향상된 DDS를 이용한 변조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bstract:
a cut-off signal detector (U1) for comparing a cut-off signal received from a communication network and a cut-off signal recorded in the portable equipment to generate a transmitter power control signal; a cancellation signal detector (U2) for comparing a cancelling message recorded in the portable equipment with a cancelling message from the network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and a power control circuit (U3)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to the receiver of the portable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이동통신 시스템 및 기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디지탈 QPSK 복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반송파 재생부와, 위상검출기와, QPSK 디코더, 및 데이타 클럭 재생부로 구성되어 위상검출기를 이용하여 반송파와 변조파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위상차에 따른 전압 레벨에 따라 변조 데이타 패턴을 디코더를 통하여 직접 복원한다. 즉, 입력변조파를 동상성분과 직교성분으로 구분하여 각각 별도의 채널로 구분하여 복조한 후에 동상성분과 직교성분 데이타를 스위칭에 따라 조합하여 정보 데이타를 복원하는 종래의 QPSK 복조기와는 달리 위상검출기를 통하여 입력변조파와 반송파와의 위상차를 검출하고 QPSK 디코더를 이용하여 정보 데이타를 복원함으로써 복조기에서 전력소모와 하드웨어 구성상의 복잡성 및 비용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