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유전자의 발현 패턴 데이터와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같은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패스웨이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의 패스웨이 예측 방법은 유전자의 발현 패턴 데이터로부터 유전자 간 패스웨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부분 패스웨이를 생성하고, 이 부분 패스웨이를 매칭시켜 그래프 구조로 표시하는 제 1 단계, 유전자의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로부터 패스웨이 추출 알고리즘을 통해 부분 패스웨이를 생성하고, 이 부분 패스웨이를 매칭시켜 그래프 구조로 표시하는 제 2 단계, 및 제 1 단계의 그래프 구조와 제 2 단계의 그래프 구조를 그래프 매칭 알고리즘을 통해 융합하여 그래프 구조로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스웨이 예측 방법은 질병 발병 기전이나 경로에 대한 것을 생물학적인 많은 실험을 통한 것이 아니라, 해당 mRNA 발현 패턴과 기존에 밝혀져 있는 단백질 상호작용 데이터를 통해서 예측함으로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생물학적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예측 결과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유전자, 발현 패턴, 단백질 상호작용, 패스웨이, 예측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Protein-Protein Interaction Network)에서 이종 단백질들 사이의 유사성을 이용하여 단백질 콤플렉스(Protein Complex)를 탐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콤플렉스를 탐색하는 방법은, (a) 이종 단백질들 사이의 호몰로지 정보를 이용하여, 이종의 콤플렉스에 포함된 단백질들을 해당 종의 단백질로 매핑하여 해당 종에 대한 가상의 콤플렉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해당 종의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가상의 콤플렉스를 탐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고비용의 생물학적 실험을 통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밝혀진 하등생물의 유전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고등생물의 콤플렉스를 자동으로 탐색할 수 있다. 단백질, 콤플렉스, 상호작용, 호몰로지
Abstract:
본 발명의 단백질 구조 검색 시스템은 각 단백질에 대하여 전영역 구조 특징 및 부영역 구조 특징을 포함하는 단백질 구조 특징을 저장하는 단백질 데이터 베이스; 검색하고자 하는 검색 단백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백질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검색 단백질에 대한 전영역 구조 특징 및 부영역 구조 특징을 수신 받는 데이터 처리부; 상기 검색 단백질의 전영역 구조 특징과 구조 특징이 유사한 소정의 개수의 단백질들을 상기 단백질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선발하는 전영역 검색부; 및 상기 검색 단백질의 부영역 구조 특징과 구조 특징이 유사한 소정의 개수의 단백질들을 상기 단백질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선발하는 부영역 검색부를 포함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개념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전자 온톨로지(Gene Ontology)를 이용하여 생체 내에 존재하는 단백질들에 대한 상호작용 관계를 시각화한 복잡하고 방대한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생물학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도록 단순하게 개념화하는 유전자 온톨로지를 이용한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의 개념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백질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개념화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상호작용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단백질 노드들을 유전자 온톨로지 개념들로 개념화하여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기 위한 단백질 개념화 단계; (b) 상기 재구성된 네트워크에서 동일한 개념을 포함하는 노드들을 하나의 노드로 통합하여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한 정확일치에 의한 네트워크 개념화 단계; 및 (c) 상기 생성된 네트워크에서 유사한 개념을 가지는 여러 노드들을 하나의 노드로 통합하여 네트워크를 재구성하기 위한 근사일치에 의한 네트워크 개념화 단계를 포함하는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사서열 추출을 통한 전사인자 결합부위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 서열에 대한 전처리 후 접미사 배열을 구성하고 생성된 접미사 배열에 대한 LCP 정보에 의해 여러 서열에서 공통으로 존재하는 서열을 추출하여 국부 정렬 기법을 이용하여 전사인자 결합부위 후보 서열들을 추출함으로써, 전사인자 결합부위 예측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유사서열 추출을 통한 전사인자 결합부위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사서열 추출을 통한 전사인자 결합부위 예측 장치는, 입력된 서열들을 전처리, 접미사 배열 생성 및 국부 정렬하여 대상 서열에서 예측된 전사인자 결합부위들을 출력하기 위한 전사인자 결합부위 예측기; 및 상기 전사인자 결합부위 예측기로부터 출력된 전사인자 결합부위 서열들을 저장하기 위한 결합부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엑스선 영상을 이용한 골밀도 측정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엑스선 영상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골 영역에 포함된 연부조직에 의한 엑스선 흡수 효과를 제거하여 골의 밀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 방법과, 상기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골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골밀도 측정 시스템에 적용되는 골밀도 측정 방법에 있어서, 엑스선 골영상을 획득하는 골영상 획득단계; 상기 획득한 엑스선 골영상에 관심영역을 설정하는 관심영역 설정단계; 상기 설정된 관심영역 내의 골 영역에서, 상기 연부조직에 의한 백그라운드 트렌드 - 여기서, '연부조직에 의한 백그라운드 트렌드'는 뼈가 있는 신체 부위의 엑스선 영상(영상1)의 골영상 그레이레벨 양상과 대비되는 '신체 부위에서 연부조직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하고 뼈만을 제거한 후 이전과 동일한 엑스선 촬영 조건하의 엑스선 영상(영상2)'의 그레이레벨 양상임 - 를 계산하기 위해, 피팅 함수를 선택하고 상기 골 영역에 인접한 연부조직 영역의 그레이레벨 프로파일을 상기 선택된 피팅함수로 상기 골 영역으로 내삽하여 백그라운드 트렌드로 설정하는 백그라운드 트렌드 계산단계; 및 상기 관심영역 내의 골 영역에서, 상기 연부조직에 의한 백그라운드 트렌드를 제거하여 골밀도 지수를 계산하는 골밀도 지수 계산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골밀도 측정 시스템 등에 이용됨.
Abstract:
PURPOSE: A cell image segmentation method in a cell image analysis system is provided to automatize region segmentation by extracting a representative image and automatically obtaining a snake initial start point. CONSTITUTION: A representative frame is extracted from inputted all frames, and a boundary of each cell is extracted. The extracted boundary of each cell is set up as a snake initial point of a primary image. A boundary of each cell is extracted from the primary frame, and the extracted boundary is set up as a snake initial point of a next frame. It is judged whether the set snake initial point exists near the boundary of the cell(301). If the set snake initial point exists near the boundary of the cell, the boundary of the cell is extracted by a Eucledian distance value(303). If the set snake initial point does not exist near the boundary of the cell, a ZSAD(Zero mean Sum of Squared Differences) method is performed and the snake point is moved to the boundary of the cell(302).
Abstract:
PURPOSE: An electro-optic sensor using surface plasmon resonance is provided to simplify structure and improve performance of a measuring device. CONSTITUTION: A sensor includes two glass base plates(30a,30b) placed to face each other; transparent conductive substance(32) applied on facing surfaces of the glass base plates and placed to face each other; alignment layers(31) applied on facing surfaces of the conductive substance and placed to face each other; electro-optic media(33) filling a gap between the alignment layers and having optical coefficient varying according to external biases such as voltage; spacers(38) forming and sealing the electro-optic media in the gap between the alignment layers; a metal membrane(36) reflecting incident rays permeating medium body comprising the components and placed between a specimen(37) and the medium body to create surface plasma; a light source(35); a light receiving part(34) measuring intensity of reflected radiation; and a bias supplying device varying and impressing bias on the conductive sub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긍정/부정 감성 상태 판별을 위한 뇌파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두피에 부착된 한 개의 전극을 통해 기준선 설정없이 뇌파의 분석을 통해 피험자의 감성적 긍정/부정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검출한 뇌파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한 후 주파수 대역을 세부 대역으로 나누어, 상대 출력을 계산하고, 이를 반복하여 피험자의 두뇌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감성처리와 관련된 주파수 성분에 대한 시간대 상대 출력을 구하며, 얻은 상대 출력을 작은 시간 내에서의 요동을 무시하기 위해 이웃하는 데이터와의 평균으로 완화하고, 완화된 데이터에 대해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증감 기울기를 구하며, 얻은 증감 기울기에 역치를 도입하여, 그 이상의 기울기에 대한 시간에 따른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하여 증가 또는 감소가, 낮은 주 파수 성분이 감소하고 높은 주파수 성분이 증가하면 부정적 감성 상태로, 낮은 주파수 성분이 증가하고 높은 주파수 성분이 감소하면 긍정적 감성상태로 판별함으로써, 실시간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세부대역에서 얻은 상대 출력의 시간에 따른 증감만으로 긍정/부정 감성 상태를 판별하여 기준선을 설정할 필요없이 피험자의 긍정/부정 감성상태를 판별하도록 하고, 이를 대상으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로 사용할 때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bstract:
PURPOSE: A way to establish range of body fat by gaussian function approximate value in tomogram is provided for establishing automatically the scope of a body fat used in measuring the body fat by using computerization tomogram through gaussian function approximate value by list square way. CONSTITUTION: A way to establish range of body fat by gaussian function approximate value in tomogram comprises: separating inside from outside of abdominal cavity in measuring amount of body fat inside of abdominal cavity by using computerization tomogram.; making histogram to hounce field value of outside and inside of abdominal cavity; approximating histogram to gaussian function by list square method; and establishing the range of the body fat by location of peak and width of gaussian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