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driving device of a bimodal with a torque limit function is provided to protect a power system connection part by preventing excessive peak torque in a drive shaft. CONSTITUTION: A torque limit device(100) freely rotates a drive shaft(62) and a pulling motor(20). The torque limit device is combined with a rotation shaft of the pulling motor of the bimodal tram. A drive element is combined with a rotor of the motor. A bushing is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rive element. A hub includes a coupling hole. A friction lining is closely adhered to both sides of the drive element. An elastic unit closely adheres the friction lining with the drive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운행차량의 주행라인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마커(marker)가 설치된 전용도로를 주행하는 자동운행차량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커를 인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서 검지한 센서값들을 센서포맷신호로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와, 상기 신호 처리부에서 전송되는 센서포맷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자동운행차량의 현재 위치를 계산하고, 주행 경로에 대한 유지 및 보정을 실행하는 자동운전 시스템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운행차량이 주행하는 전용도로에 자석마커를 설치하고, 차량의 회전 등에 대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센서 및 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이 직진 구간 및 곡선 구간의 주행중에 도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자동운전을 제어할 수 있고, 직진 구간 및 곡선 구간을 구분하여 차량의 주행 라인 유지 및 보정을 수행하며, 차량의 탑승객과 타 차량의 탑승객의 안전을 보장하고, 자동운행에 높은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자동운행차량, 전용도로, 자석 마커,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Abstract:
PURPOSE: A vehicle control unit for bimodaltram is provided to protect a short circuit and an overvoltage by forming a easily changeable input output logic structure. CONSTITUTION: A central control panel(100) is connected to peripheral devices through can communication. The central control panel transmits and receive the control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from the peripheral devices. The central control panel transmits a control signal. A plurality of multiplexers(MUX)(200) are activated by a can message of the central control panel. A plurality of multiplexers collects the state of all kinds of units in vehicles(20). A demultiplexer(DMUX)(300) collects the state of the driving control apparatuses of the vehicles.
Abstract:
PURPOSE: A serial hybrid propulsion system and a method of compensating dc stage voltage drop when accelerated in the are provided to compensate DC stage voltage drop and charge a main battery when a DC stage voltage drops in the initial acceleration of a vehicle. CONSTITUTION: A serial hybrid propulsion system(100) comprises an engine(101), an AC generator(104), a voltage converter(105), a rectifier(106), a main battery(107), a driving motor(111), a DC stage voltage detector(113) and a vehicle controller(114). The AC generator is connected to the engine. The voltage converter comprises a tap converter(105a) and an on-load tap changer(105b). The TAB converter converts a first AC voltage generated from the AC generator into a second AC voltage. The on-load tap changer regulates the voltage level provided to a DC stage. The rectifier rectifies the second AC voltage converted. The main battery is connected to the rectifier. The driving motor is driven with the power provided from the main battery. The DC stage voltage detector measures the DC stage voltage across the rectifier. The vehicle controller generates the signal for the voltage ratio regulating between the first AC voltage and the second AC voltage.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차량의 운전모드 변경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석에 설치되어 운전석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운전석 영상을 전송받아 운전대 영상을 추출하여 운전대 조작 여부를 판별하는 영상제어부와, 상기 영상 제어부를 통해 운전대 조작이 확인되면 자동 운전 모드에서 수동 운전 모드로 변경하는 차량제어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전석에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석의 상황 및 운전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운전대 영상을 추출하여 운전자의 운전대 조작 상황을 파악할 수 있으며, 운전대 영상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자동 운전 모드에서 수동 운전 모드로 자동 전환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기계적 설비를 추가할 필요가 없어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자동 운전에서 수동 운전 모드로 변경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도 최소화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궤도차량, 운전모드, 카메라부, 영상 제어부, 차량 제어부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제어를 위한 가상고정축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륜만 조향될 때, 후륜이 고정되는 고정축 역할을 하는 것에 착안하여 움직이지 않는 가상의 축을 설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굴절차량과 같이 2량 이상 편성된 다축차량으로 확장 적용이 가능하고, 차량이 기하학적 구조에 맞게 설정되어 구조적 결함의 사전 제거가 가능하며, 차량이 최적의 회전반경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조향제어를 위한 가상고정축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절차량의 차륜 조향시, 가상고정축을 지나는 한 점에서 차량의 회전중심이 일치하도록 차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움직이지 않는 가상고정축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상고정축, 조향제어, 굴절차량, 굴절각, 조향각, 안전기준
Abstract:
본 발명은 대중 교통 차량의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대중 교통 차량의 객실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에 지지되어 접거나 펼쳐지도록 회동되는 좌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누구나 손쉽게 접이식 의자를 사용할 수 있고, 좌석 의자로서의 기능 외에도 입석 승객이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기능, 소정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기능들로 인해 승객의 편의성, 실내 공간의 이용 효율, 안정성 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의 등받이 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아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도 보다 넓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실내 공간을 고려하여 1인용 또는 2인용으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대중 교통 차량, 객실, 접이식 의자, 좌판부재, 고정부재
Abstract:
본 발명은 굴절 차량용 전 차륜 조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절 차량의 전 차륜에 대하여 조향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단순히 차량의 선회 반경을 줄이는 데에 그치지 않고, 기존의 4륜 조향 차량이 가지는 이점을 굴절 차량에 적용하여 굴절 차량의 일반적인 운전 특성을 추가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굴절 차량용 전 차륜 조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굴절 차량용 전 차륜 조향 제어 방법에 있어서, 굴절 차량의 운전자가 1축을 조향함에 따라 차체에 발생하는 굴절각을 이용하여 2축과 3축의 조향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굴절 차량, 조향 제어, 방법, 자전거모델, 굴절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