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질량 인가 효과와 더불어 표면 응력 변화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중 크기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 어레이를 이용한 물리/생화학 센서 및 그 제작방법을 개시한다.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를 이용한 물리/생화학 센서에 있어서, 상기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는 감지과정에서 발생되는 센서 표면의 질량 변화 뿐만 아니라 흡착된 감지 대상물질에 의한 표면 응력 변화를 구별하여 정량 분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들이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질량 인가 효과와 더불어 표면 응력 변화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bstract:
A physical/chemical sensor using a piezoelectric microcantilev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increase the reaction speed and the sensitivity to secure the information of the range that is broad than a sensing result. A physical/chemical sensor using a piezoelectric microcantilever comprises a plurality of piezoelectricity micro cantilever crystal resonators(10). The piezoelectricity micro cantilever crystal resonator performs the quantitative analysis about not only the mass variation of the sensor surface but the surface stress change of the attached sample. The piezoelectricity micro cantilever crystal resonators are formed with the different size. The piezoelectricity micro cantilever crystal resonators are arranged while gradually being reduced to two dimensions. The piezoelectricity micro cantilever crystal resonators are formed on upper part of a silicon substrate(6).
Abstract:
A ferroelectric oxide artificial lattice, a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an ultra high density information storing medium are provided to align a direction capable of generating electric polarization in only two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a lamination direction by progressing a lamination process of the oxide artificial lattice of atomic unit thickness and forming a super-cell having the anisotropy of a new concept. A super high density information storing medium includes a single crystal substrate(100), an electrode(110), and a ferroelectric oxide artificial lattice. The electrode(110) is formed on the single crystal substrate(100). The ferroelectric oxide artificial lattice is formed on the electrode(110). The super high density information storing medium has a nano-size and long stability of a domain.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밀도 정보 저장 장치용 강유전체 저장매체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로 다른 분극특성을 갖는 산화물의 단위원자층을 적층하여 적층(수직)방향으로 특정이온들의 규칙적인 배열을 통해 인공격자의 단위구조(슈퍼셀)의 결정구조 및 대칭성을 조절하여 비등방성이 큰 슈퍼셀을 형성한다. 슈퍼셀 자체가 단일분극을 가지는 하나의 블록으로 수직방향으로 상하 2개 방향으로만 전기분극이 발현되게끔 하고 이러한 특징을 갖는 슈퍼 셀 블록으로 이루어진 산화물 인공격자를 제조한다. 산화물 인공격자가 180 o 도메인 구조만을 가지도록 하여 비등방성이 큰 단일 전기 분역을 나노스케일 크기로 형성시킬 수 있어 정보저장용량의 초고밀도화와 장기적 정보저장이 가능하다. 강유전체, 산화물, 인공격자, 초고밀도, 정보저장 매체.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박막을 이용한 마이크로 압전 구동소자의 제작 및 이를 이용한 초소형 화학 센서에 필요한 감지소자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압전 구동소자를 이용한 화학센서에 있어서, 상기 압전 구동소자에 사용된 압전 재료의 역 압전효과를 이용해 소자를 공진주파수로 구동시키고, 상기 소자위에 형성된 감지층에 감지 대상물질이 흡착되게 되어 소자 표면에 질량이 증가하게 되면, 상기 소자의 공진주파수가 변화하며 이러한 공진주파수 변화를 센서의 감지 신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질량 인가 효과와 더불어 표면 응력 변화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다중 크기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 어레이를 이용한 물리센서 및 그 제작방법을 개시한다.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를 이용한 물리센서에 있어서, 상기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는 감지과정에서 발생되는 센서 표면의 질량 변화 뿐만 아니라 흡착된 감지 대상물질에 의한 표면 응력 변화를 구별하여 정량 분석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수개의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들이 배열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질량 인가 효과와 더불어 표면 응력 변화에 의한 효과를 동시에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압전 마이크로 칸티레버 공진자
Abstract:
A sensor and a module for a bio-marker using a micro bridge mass sensor are provided to easily detect materials in low concentration in real-time. A bio-marker sensor using a micro bridge mass sensor include a detecting layer(100), an electrode line(160), a lower electrode(140), two piezoelectric driving layers(110), an insulation layer(150), and an upper electrode(130). The detecting layer is formed on a surface of a piezoelectric micro bridge. The electrode line applies electric field to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for driving elements. The lower electrode is separated into two pieces and is formed on a supporting layer(120). The two piezoelectric driving layers are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The insulation layer is formed on the lower electrode and on a certain area of the piezoelectric driving layers for insulating upper and lower electrodes. The upper electrode is formed o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piezoelectric driving 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