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KR101470160B1
公开(公告)日:2014-12-08
申请号:KR1020130061023
申请日:2013-05-29
Applicant: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가 가능한 평판형 힘/토크 센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힘/토크 센서는 N개(N은 자연수)의 제1 전극을 포함하는 제1 기판, 상기 제1 전극과 마주하는 N개의 제2 전극을 포함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및 서로 마주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전체가 N개의 센서셀을 이루며, 각 센서셀에서 측정된 커패시턴스에 의해 센서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함으로써, 센서에 가해지는 힘/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公开了能够小型化的板式力/力矩传感器。 根据本发明,板式力/转矩传感器包括:具有N(N是自然数)第一电极数量的第一衬底; 具有面对所述第一电极的N个第二电极的第二基板; 以及位于所述第一基板和所述第二基板之间的电介质体,其中所述第一电极和所述第二电极彼此面对并且位于所述第一和第二电极之间的电介质体形成N个传感器单元。 根据本发明,测量通过每个传感器单元测量的电容对传感器施加的力,以识别施加到传感器的力/转矩的尺寸和方向。
-
公开(公告)号:KR101475487B1
公开(公告)日:2014-12-24
申请号:KR1020130047654
申请日:2013-04-29
Applicant: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1L5/16
Abstract: 본발명은 3축힘 측정이가능한필름형센서에관한것이며, 본발명의 3축힘 측정이가능한필름형센서는일면에외측으로돌출되는돌출부가형성되는제1 바디부; 상기제1 바디부의일면을마주보는면에상기돌출부를수용하도록상기돌출부와대향되게내측으로함몰되는함몰부가형성되는제2 바디부; 유전율을가지며상기제1 바디부와상기제2 바디부사이에마련되는유전탄성체; 상기돌출부와상기유전탄성체사이에마련되는제1전극부; 상기함몰부와상기유전탄성체사이에마련되는제2전극부; 상기제1 바디부또는상기제2 바디부에가해지는외력에따라변동하는상기유전탄성체의캐패시턴스(capacitance) 값을상기제1 전극부및 상기제2 전극부를통해측정하여상기외력의크기또는방향중 적어도어느하나를측정하는측정부;를포함하는것을특징으로한다. 따라서, 본발명에의하면, 두전극사이의배치된유전체의캐패시턴스변화를측정하는필름형센서를이용하면서도힘의방향까지측정할수 있는수 있는 3축힘 측정이가능한필름형센서가제공된다.
-
公开(公告)号:KR1020160101757A
公开(公告)日:2016-08-26
申请号:KR1020150023956
申请日:2015-02-17
Applicant: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Abstract: 본발명은전도성고분자와이어센서제조방법에관한것으로서, 기판상에일방향으로제1 전도성고분자와이어층을형성하는단계, 상기제1 전도성고분자와이어층이형성된상기기판상에상기일방향과교차되는방향으로제2 전도성고분자와이어층을형성하는단계, 및상기제2 전도성고분자와이어층이형성된상기기판의상부를절연층으로코팅하는단계를포함하고, 상기제1 및제2 전도성고분자와이어층은내부코어는전도성고분자로채워지며, 상기내부코어를감싸는외부코어는탄성고분자절연체로구성된전도성고분자와이어를이용하여형성할수 있다.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的一个实施例提供一种导电聚合物线传感器的制造方法,其能够制造导电聚合物线传感器,该导电聚合物线传感器具有比传统的导电聚合物线传感器更薄的厚度并且具有更低的制造成本。 制造导电聚合物线传感器的方法包括以下步骤:在衬底上沿一个方向形成第一导电聚合物线层; 在其上形成有第一导电聚合物线层的基板上沿与该一个方向交叉的方向形成第二导电聚合物线层; 并且用绝缘层涂覆其上形成有第二导电聚合物线层的基板的上部。 第一和第二导电聚合物线层可以通过使用导电聚合物线形成,该导电聚合物线包括填充有导电聚合物的内芯和围绕内芯并由弹性聚合物绝缘体构成的外芯。
-
公开(公告)号:KR101495000B1
公开(公告)日:2015-02-25
申请号:KR1020140002014
申请日:2014-01-07
Applicant: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6F3/041
CPC classification number: G06F3/016 , G06F3/041 , G06F2203/04102
Abstract: 본 발명은 촉각 디스플레이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 개의 홈이 배열형성된 프레임; 외부 터치가 인가되며, 상기 홈을 덮도록 상기 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저면과 이격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홈의 내부에 설치되는 절연부재; 및, 상기 절연부재에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 설치되어 상호 절연되며, 입력신호를 따라 스위칭하는 제1전극패턴과 제2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전극패턴부;를 포함하며, 각 전극패턴에 전원 인가시 각 전극패턴에 대응되는 위치의 플렉서블 기판의 표면에서는 각 전극패턴과 반대 극성의 전하가 유도되어 인력이 발생하며, 상기 플렉서블 기판은 상기 인력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의 내측으로 끌어당겨지고, 상기 전원의 스위칭에 의해 상기 이격공간의 내외측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액추에이터의 진동하는 부분의 양면이 공기 중에 노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잦은 사용에도 고장을 줄일 수 있고, 외부에서 터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과 이격형성되어 잦은 터치에도 캐패시턴스가 누적되지 않아 오작동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촉각 디스플레이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一种用于触觉显示装置的致动器。 根据本发明,用于触觉显示装置的致动器包括:布置在多个凹槽上的框架; 与所述框架组合以覆盖所述凹槽的柔性基板; 绝缘构件,其安装在所述柔性基板的下侧和分离空间之间的槽内; 以及具有第一和第二电极图案的电极图案单元,其在绝缘构件上沿水平方向安装和绝缘以被分离以根据输入信号进行切换。 本发明在对每个电极图案施加电力并且产生吸引力时,在与每个电极图案相对应的位置处诱导与柔性基板的表面上的每个电极图案的极性相反的电荷。 柔性基板通过吸引力拉到分离空间的内部,并且通过切换电力而朝分离空间的内部和外部振动。 因此,本发明通过将致动器的振动部分的两侧暴露在空气中来减少由于频繁使用而引起的故障,并且通过将被施加电力的部分与被触摸的部分分开来,通过频繁接触来降低故障而不堆叠电容 从外部。
-
公开(公告)号:KR1020140129470A
公开(公告)日:2014-11-07
申请号:KR1020130047654
申请日:2013-04-29
Applicant: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IPC: G01L5/16
Abstract: 본 발명은 3축 힘 측정이 가능한 필름형 센서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의 3축 힘 측정이 가능한 필름형 센서는 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부; 상기 제1 케이스의 일면을 마주보는 면에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대향되게 내측으로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제2 바디부; 유전율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 사이에 마련되는 유전탄성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유전탄성체 사이에 마련되는 제1전극부; 상기 함몰부와 상기 유전탄성체 사이에 마련되는 제2전극부; 상기 제1 바디부 또는 상기 제2 바디부에 가해지는 외력에 따라 변동하는 상기 유전탄성체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 값을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를 통해 측정하여 상기 외력의 크기 또는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두 전극 사이의 배치된 유전체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측정하는 필름형 센서를 이용하면서도 힘의 방향까지 측정할 수 있는 수 있는 3축 힘 측정이 가능한 필름형 센서가 제공된다.Abstract translation: 本发明涉及一种用于测量三轴力的薄膜传感器,它包括:第一主体单元,其突出单元形成在其一个表面上以向外突出; 第二主体单元,其包括在与第一壳体的一个表面相对的表面上向内凹入以与突出单元相对并且存储突出单元的凹形单元; 介电常数弹性体,其具有介电常数,并设置在第一壳体和第二壳体之间; 放置在突出单元和介电常数弹性体之间的第一电极单元; 第二电极单元,其设置在所述凹部单元和所述介电常数弹性体之间; 以及测量单元,其通过测量通过第一电极的介电常数弹性体施加到第一主体单元或第二主体单元的外力而改变的电容值来测量外力的尺寸和方向中的至少一个 单元和第二电极单元。 因此,所提供的用于测量三轴力的膜传感器可以测量放置在两个电极之间的介电常数体的电容变化,并且可以测量力的方向。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