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박테리아 및 코리네박테리움 속 박테리아 유래 미니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전달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다른 박테리아(예컨대, 대장균( E. coli ), 살모넬라속 박테리아. 바실러스 속 박테리아 등) 또는 다른 박테리아 유래 약물전달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인체에 사용하기에 더 안전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항암용 약물단백질 발현 컨트스럭트(단백질 발현 재조합 벡터 등)를 포함하는 경우 항암용 약물단백질의 과발현, 생체내에서의 효과적인 단백질 발현 조절, 표적인자의 발현을 통한 표적화 기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안정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항암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대장균(E.coli)에서 재조합 단백질을 발현시킬 때, 외래 유전자 내의 코돈(codon)과 숙주의 호환성이 좋지 않아 발생하는 번역속도의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있는 램프 태그(ramp tag)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희귀 코돈(rare codon)의 문제를 해결하는 기존의 코돈 최적화(codon optimization) 또는 코돈 탈최적화(codon deoptimization) 방법과 달리 원래의 코돈 서열을 바꾸지 않고 단지 램프 태그를 목적 유전자와 융합하거나 독립적으로 발현하도록 하여 tRNA를 재사용하게 함으로써 목적 단백질의 발현 효율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DNA 서열을 인공으로 합성하는 코돈 최적화 방법에 비해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재조합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방법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의약품이나 산업용 효소의 생산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유래 구아닐 고리화효소(guanylyl cyc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cGMP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및 cGMP 수용체 단백질이 결합하는 조절성 염기서열이 하나 이상의 플라스미드에 재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주세포의 생체 회로 간섭 없이 외래 유전자를 독립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를 이용한 숙주세포의 생체 회로 간섭 없이 외래 유전자를 독립적으로 발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발명은자가세포농도를인식하여유도되는자가유도성단백질또는핵산분자발현용컨스트럭트및 이컨스트럭트의다양한용도에관한것이다. 본발명의컨스트럭트는세포농도를감지하여유도되는자가유도성발현컨스트럭트로서유전자의발현을위해별도의유도물질이요구되지않는다. 본발명의컨스트럭트는숙주세포, 특히약독화살모넬라속 숙주세포에도입하여항암용도, 경색치료용도및 종양또는경색조직의이미지화용도로사용될수 있다. 본발명의컨스트럭트를갖는살모넬라속 숙주세포를사용하면생체내에서효과적으로약물을생산하고전달할수 있으므로, 치료효과를극대화할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컨스트럭트가포함된숙주세포의발효를이용하여유도물질의첨가없이경제적으로단백질생산이가능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미생물 유래 구아닐 고리화효소(guanylyl cyclase)를 코딩하는 유전자, cGMP 수용체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 및 cGMP 수용체 단백질이 결합하는 조절성 염기서열이 하나 이상의 플라스미드에 재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숙주세포의 생체 회로 간섭 없이 외래 유전자를 독립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벡터 및 상기 재조합 벡터를 이용한 숙주세포의 생체 회로 간섭 없이 외래 유전자를 독립적으로 발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는 숙주세포의 생리적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세포 내 신호 전달에 관여하는 2차 전달자를 매개 인자로 이용해 유전자 발현을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어 다양한 대사공학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PURPOSE: A NADPH quantitation using fluorescent protein his-mBFP is provided to quickly enhance fluorescence without oxygen and to measure a NADPH concentration in vivo. CONSTITUTION: A NADP(H) quantitation of an in vivo or in vitro sample comprises a step of measuring a fluorescence change induced by mBFP(metagenome-derived Blue Fluorescent Protein) coloration through mBFP contain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uence number 3. The fluorescence change is measured by measuring a NADP(H) concentration or NADP(H)-dependent enzyme activity from increased or decreased fluorescence intensity. The enzyme is NADP(H)-dependent dehydrogenase or oxidoreductase. The quantitation further comprises a step of adding a surfactant during the reaction of the sample with mBFP. The surfactant is SDS, Na-deoxycholate, CTAB, DEDAB, or CHAPS. [Reference numerals] (AA) Escherichia coli with florescence on the basis of the increase of biological activity using polluted organic materials as nutr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