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Lactobacillus pentosus ) KF340 균주(수탁번호 KCCM 11675P) 및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h1-매개 면역 질환, Th17-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KF340 균주는 조절 T 세포 및 조절 B 세포 유도, 면역 활성 사이토카인(IL-12)에 대한 면역 관용 사이토카인(IL-10;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비율 조절, 면역글로불린 E(IgE) 생성 억제, 면역과민반응 시 Th1 관련 사이토카인, Th17 관련 사이토카인, 및 Th2 관련 사이토카인의 생성 억제, 및 IgA 분비에 따른 장관면역반응 증진에 의하여 알레르기 및 염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바, Th1-매개 면역 질환, Th17-매개 면역 질환, 또는 Th2-매개 면역 질환,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레르기 또는 염증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청국장 에탄올 용해(ethanol-soluble)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신면역 및 장관면역 보강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청국장 에탄올 용해(ethanol-soluble)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보강제는 안전성이 확보된 식품소재를 사용함으로써 독성 및 부작용이 없으며, 저렴한 생산비용과 사용의 편이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보강제는 면역원과 경구투여 시 경구감염성 병원성 미생물은 물론 비경구감염성 병원성 미생물이나 바이러스, 암 항원, 일반 항원 등에 대하여도 Th1 및 Th2 반응을 유도하며 효과적인 특이항체 (혈중 IgG 및 소장 IgA)를 생산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통해 피부 노화 개선 효능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plantarum) 유산균의 나노화된 사균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 효과를 통해 피부 노화 개선 효능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plantarum) 유산균의 나노화된 사균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청국장 발효 울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커큐미노이드 유도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간조직 또는 간세포에서의 α-SMA와 TGF-β1의 발현을 억제하고 TNF-α의 양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뛰어나 간염, 간섬유증, 간경화증 등의 간질환의 치료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s containing an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using fermented soybeans, or a curcuminoid derivative isolated therefrom. The composition suppresses the expression of α-SMA and TGF-β1 in liver tissues or liver cells, has an excellent effect on reducing the amount of TNF-α, and is capable of being used as a treatment for hepatitis, hepatic fibrosis, and liver cirrhosis, and health functional food. [Reference numerals] (1) Curcumalogin A; (2) Curcumalogin B; (3) Curcumalogin C; (4) Curcumalogin D; (5) 1-(4-hydroxy-3-methoxyphenyl)-7-(3,4-hydroxyphenyl)-1,6-heptadiene-3,5-dione; (6) 5-hydroxy-1,7-bis(4-hydroxyphenyl)-4,6-heptadiene-3-one; (7) 1,7-bis(3,4-hydroxyphenyl)-1,6-heptadiene-3,5-dione; (8) 1-(4-hydroxyphenyl)-7-(3,4-hydroxyphenyl)-1,6-heptadiene-3,5-dione; (A) Curcumine; (AA) Control group; (B) Demethoxy curcumin; (BB) Compound process concentration(10μg/ml); (C) Bis-demethoxy curcum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