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파이렌 유도체를 탄소나노튜브에 흡착하여 자체 응집 현상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렌 유도체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고분자내에서 분산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높은 유전율 및 굴절율을 가지는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탄소나노튜브,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 파이렌(pyrene), 유전체, 유전상수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 입자가 표면상에 선택적 자가조립된 전극 패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회로 기판에서 인접한 전극 간의 쇼트 문제를 없애기 위해, 도전 입자의 금속과 강한 화학적 친화력을 가진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코팅층을 전극 패턴 위에 도입하고, 상기 코팅층 위에 도전 입자를 선택적으로 자가 조립selective self-assemsembly)시켜 전극 사이의 전기 절연성이 향상된 이방성 도전층을 포함하는 전극 패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비등방성 도전 필름, 선택적 흡착, 표면개질, 도전 입자
Abstract:
PURPOSE: A poly(fluorenevinylene-p-phenylvinylene)-based copolymer, its preparation method and a light emitting polymer diode containing the copolymer are provided, to allow a luminous color to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band gap and to improve the solubility to an organic solvent, interface adhesion to an electrode and electrical-stability of a polymer. CONSTITUTION: The poly(fluorenevinylene-p-phenylvinylene)-based copolymer is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wherein R1, R2, R1', R2' and R3' are identical or different one another and are H, an aliphatic or alicyclic alkyl or alkoxy group of C1-C22, or an aryl or aryloxy group of C6-C18; 0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 전극을 이용하여 전류밀도를 향상시킨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탄소나노튜브를 전도성 투명 전극으로 활용함과 동시에,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반도체 산화물을 코팅시킴으로써 광 전극으로도 활용한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도성 투명 전극과 광 전극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또한, 반도체 산화물이 코팅된 탄소나노튜브 전극의 다공성 구조는, 반응 면적을 증대시키고, 점도가 높은 준 고체 또는 고체 전해질의 높은 이동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전류밀도 및 장기 안정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 반도체 산화물, 전도성 투명 전극, 광 전극, 염료감응 태양전지
Abstract:
PURPOSE: A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a carbon nano tube electrode is provided to prevent a crack of semiconductor oxide when deformation of a substrate is generated by providing a supporting structure of the semiconductor oxide for forming a photo electrode. CONSTITUTION: A dye-sensitized solar cell using a carbon nano tube electrode includes a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20), a photo electrode(30), a counter electrode substrate(40), and an electrolyte(50). In the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a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22) including carbon nano tube is formed in an inner side of a transparent substrate(21). The photo electrode includes a porous layer(31), a first semiconductor oxide(32), and a dye molecule(33). The porous layer includes the carbon nano tube formed on the conductive transparent electrode. The first semiconductor oxide is coated in the carbon nano tube of the porous layer. The dye molecule is absorbed to the first semiconductor oxide. The counter electrode substrate is faced with the transparent conductive substrate. The electrolyte is charged between the two substrates.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렌 유도체를 탄소나노튜브에 흡착하여 자체 응집 현상이 개질된 탄소나노튜브와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들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이렌 유도체가 흡착된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여 고분자내에서 분산효율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높은 유전율 및 굴절율을 가지는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탄소나노튜브,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 파이렌(pyrene), 유전체, 유전상수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고분자의 주쇄에 다양한 형태의 치환기를 도입하여 밴드 갭(band gap)을 조절함으로써 발광색이 조절될 수 있는, 전기광학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폴리(플로렌비닐렌-파라페닐렌비닐렌)계 공중합 전기발광 고분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플로렌비닐렌-파라페닐렌비닐렌)계 공중합 전기 발광 고분자는 그 주쇄에 다양한 입체적 장애를 가져올 수 있는 치환기가 도입된 실릴페닐기 또는 전자 주게(electron donor) 치환기인 알콕시기가 도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기발광 고분자는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성, 전극과의 계면 접착력, 박막 특성, 전계에 대한 안정성 등이 우수하므로, 전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의 고분자-금속 복합입자 시스템은 (A) 금속입자 또는 고분자입자 표면에 금속층이 피복된 도전성 미립자; 및 (B) 상기 금속과 화학적 친화력을 가지는 관능기를 표면에 도입한 고분자 입자로 이루어지고, 상기 도전성 미립자와 고분자 입자가 상호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분자-금속 복합입자 시스템을 이방 도전성 필름에 적용할 경우, 매우 높은 접속 신뢰성을 나타낸다. 고분자-금속 복합입자, 이방 도전성 필름, 도전성 미립자, 화학적 흡착 작용, 표면개질, 접속 신뢰성
Abstract:
본 발명은 도전 입자가 표면상에 선택적 자가조립된 전극 패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회로 기판에서 인접한 전극 간의 쇼트 문제를 없애기 위해, 도전 입자의 금속과 강한 화학적 친화력을 가진 관능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코팅층을 전극 패턴 위에 도입하고, 상기 코팅층 위에 도전 입자를 선택적으로 자가 조립selective self-assemsembly)시켜 전극 사이의 전기 절연성이 향상된 이방성 도전층을 포함하는 전극 패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비등방성 도전 필름, 선택적 흡착, 표면개질, 도전 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