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제어장치(VCU, vehicle control unit)의 통신오류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제어장치가 모니터링하고 있는 장치로부터 전송이 중단된 메시지의 아이디(ID)를 탐지해냄으로써 차량내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오류를 탐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제어장치가,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전자장치들을 모니터링하여, 그 장치들로부터 전송이 중단된 메시지의 아이디(ID)를 탐지해냄으로써 차량내 전자장치들 간의 통신오류를 탐지하고, 이에 따라 차량의 운행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차량에 이용되는 급전라인이 비 또는 눈에 의해 다량의 습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온라인 전기차량의 급전라인용 파이프 및 그 조립체와 급전설비의 자동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온라인 전기자동차에 무접촉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도로에 매설되는 급전라인에서, 급전선이 충전물에 의해 외부 충격 및 습기로부터 보호되는 것이 가능하고, 습도에 의한 아크방전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전력공급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Abstract:
비접촉식으로 전력을 전송받는 전기구동 이동체에 대하여 전기 요금을 과금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차량 이용자가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전력 사용을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전력사용 승인 요청이 전기 자동차로부터 과금 데이터 센터로 전송된다. 과금 데이터 센터는 과금 내역과 결제 내역을 조회하여 해당 차량 이용자의 전력 사용여부를 승인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전기 자동차는 과금 데이터 센터로부터 전송받은 정보에 따라 집전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한다. 전력사용을 승인받은 경우, 차량 이용자는 전기 자동차를 운행하면서 급전장치로부터 집전장치를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과금 장치는 사용한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정해진 간격에 따라 과금 데이터 센터로 전송한다. 과금 데이터 센터는 수신된 사용 전력량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차량 이용자에 대한 과금 내역을 산출하고 저장한다. 또한, 과금 데이터 센터는 미리 정해진 간격에 따라 산출된 과금 내역을 결제 서비스 제공자에게 전송하여 결제 서비스 제공자로 하여금 차량 이용자에게 납부할 요금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 이용자는 사용된 전력량에 대한 요금을 후불식으로 납부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Abstract:
본 발명은 집전체 승강 장치와 무접촉 전력 집전 거리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개시된 무접촉 전력 집전 거리 조절 장치는 급전라인으로 인해 집전체에 유도전력이 유기될 수 있는 급전 위치를 감지하는 급전 위치 감지부와, 집전체에 충돌할 수 있는 충돌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충돌체 감지부와, 집전체를 승강시키는 집전체 승강 장치를 구동하는 집전체 구동부와, 급전 위치 감지부 및 충돌체 감지부의 감지값에 따라 집전체 구동부를 제어하여 급전라인과 집전체와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집전 거리 조절부를 포함하며, 온라인 전기자동차, 경전철, 고속전기열차, 산업용 자동화장비 등과 같이 급/집전 인프라를 기반으로 구동전력을 공급받아 주행 중에도 충전이 가능하게 하는 유도 급전 기술을 가지는 각종 시스템 또는 장치에서 집전 시에는 집전체와 급전라인과의 이격거리를 줄여서 집전효율을 극대화하고, 집전을 하지 않을 때에는 집전체와 급전라인의 이격거리를 늘려서 집전체와 장애물의 충돌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전력경로 동적 설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 전기자동차에서, 연결된 전력장치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장치의 기본사양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인식된 전력장치의 장치간 전력경로를 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장치의 자동인식 및 기본사양 자동설정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전기자동차 개발시 다양한 사양의 전력장치를 연결하여 시행되는 성능시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구성모듈 간 호환 기술 및 유지관리 편의 기술 개발을 통해 전기자동차 전력장치 개발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급전도로 주행시와 일반도로 주행시를 자동으로 구분하여, 구동모터의 전력원을 도로에 설치된 급전장치 또는 차량에 부착된 배터리로 자동설정하게 하고, 급전도로 주행시 배터리의 충전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자동 충전모드로 동작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주행을 가능하게 한다. 전기자동차, 전력장치, 동적설정, 집전장치, 모터, 배터리
Abstract:
PURPOSE: An electricity charge billing method for a non-contact electric drive moving object and an apparatus thereof are provided to bill for a electricity charge for usage of a non-stop or a non-contact electric drive moving object with deferred payment, thereby preventing a user not paying for it from using electricity. CONSTITUTION: A vehicle information managing unit(110) manages both an ID number of an electric car and an ID number of a current collector of the car. A payment processing unit(120) manages an ID number of a vehicle user and supplies billing state information to the user and then transmits it to a billing data center. A current collector control unit(140) controls a driving condition of the current collector according to an electricity usage approval signal received from the billing data center. An energy managing unit(130) computes an expected charge according to electric energy which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car is provided from a current feeder in order to supply it to the payment processing unit.
Abstract:
본 발명은 급전부와 집전부의 지상고를 최소화하고 차량 크기에 따라 급전 선로의 너비와 높이를 달리하여 주차장 충전부를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에 의해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 방식을 갖는 전기 자동차의 주차장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충전 영역에 서로 다른 높이와 너비를 갖는 급전 선로가 각각 설치되고, 진입된 차량의 크기를 알려주는 차량진입 확인센서가 각각의 충전 영역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하나의 충전 영역에 하나의 주차장 충전부가 구성되는 복수 개의 주차장 충전부들;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전원 공급부;운전자에게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고, 차량 진입 및 크기를 확인하고 충전 제어를 하는 제어부;급전 인버터 및 절체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용 전원의 공급이 상기 복수개의 주차장 충전부들 중에서 진입된 차량에 대응하는 주차장 충전부에만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스위칭하는 충전 동작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battery with non contact electromagnetic inductive charging in a parking lot are provided to determine a charge power line mode by sensing the whole length of a vehicle. CONSTITUTION: A commercial power supply unit supplies commercial power. A parking lot charge unit comprises a feed line. The feed line has a plurality of charging regions. The controller is connected to the vehicle interface unit. The controller confirms the entrance and size of the vehicle. The controller determines a charge power line mode corresponding to an approaching car. A charge power line mode determination unit comprises a power feed inverter and a switch. A charge power line mode determination unit switches the supply of the commercial power to the feed line.
Abstract:
시스템 작동 중 외부의 일시적 전원 공급중단, 릴레이 제어기 전원공급 중단, 내부적 전장품 오류, 전장품간 통신 오류 등의 불안요소가 발생하게 되면 릴레이는 제어 불능 상태가 되며, 릴레이의 접점(contactor) 포인트가 떨어지게 되어 절연저항이 순간적으로 증가하고, 피크 전압(peak voltage)이 발생함으로 릴레이 접점이 융착 또는 소손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나아가서 전장품이 파손되는 상황까지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릴레이의 제어 측에 설치된 FPA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범용 제어부에서 시스템 오프 신호를 참조하여 기 설정된 시간만큼 현 상태를 유지한 후 시간이 초과되면 전력용 릴레이를 스위칭 오프시키고, 제어기의 자기유지회로, 즉 제어기 전원공급 회로를 차단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제어부의 전원도 스스로 꺼지게 되는 안정된 시스템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전력 자동화 시스템의 전력 스위칭 제어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에서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 방식으로 배터리 충전을 하는 과정에서 차량의 전장 길이를 파악하여 충전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 비접촉 자기유도 충전 방식을 갖는 전기 자동차의 주차장 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위한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상용전원 공급부;서로 중첩되지 않고 이웃하는 복수 개의 충전 영역들을 갖도록 설치되는 급전 선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충전 영역들에 각각 대응하여 구비되어 진입된 차량의 크기를 알려주는 차량진입 확인센서를 구비하는 주차장 충전부;온라인 전기자동차의 충전 상태를 알려주기 위하여 차량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되고, 차량 진입 및 크기를 확인하고 진입 차량에 해당하는 충전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제어부;급전 인버터 및 절체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충전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충전 영역들중에서 선택된 충전 영역들의 급전 선로에 상용 전원의 공급을 스위칭하는 충전 동작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