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폴리락토사민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β3gnt2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녹다운)하거나 β3gnt2 유전자를 녹아웃시킨 세포주로부터 생산된 재조합 인간 유래 에리스로포이에틴에서 폴리락토사민의 감소를 확인, 그에 따른 N-글리칸의 삼중 및/또는 사중 안테나 구조 증가를 확인함으로써 당단백질의 반감기 증가 및 당단백질 효능에 긍정적인 역할이 가능함을 확인한 바,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반감기를 증가시킨 재조합 당단백질의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본 발명은 아라비노스 대사경로가 새로이 도입된 자일리톨 생산균주를 이용하여, 자일로스(xylose)와 아라비노스(arabinose)의 혼합 배지에서, 아라비노스를 세포 대사에 이용하게 하여 부산물인 아라비톨(arabitol)의 생성을 억제시킨 효율적인 자일리톨(xylitol)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arabinose isomerase( araA ), L-ribulokinase( araB ), L-ribulose-5-phosphate 4-epimerase( araD ) 효소들을 캔디다 트로피칼리스( Candida tropicalis ) 균주에서 효율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하여 유전자 부호 최적화(codon optimization)를 수행한 후, 각각의 유전자를 글리세알데히드-3-인산 탈수소효소(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의 프로모터 및 선별마커인 URA3를 포함하는 카세트에 삽입하고, 캔디다 속 균주( Candida sp. )에 도입함으로써, 자일리톨 생산시 정제 및 결정화 과정을 방해하는 아라비톨 생성을 억제하는 자일리톨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라비노스 대사경로가 새로이 도입된 자일리톨 생산균주는 아라비톨 생성을 억제하여 고생산성으로 자일리톨을 생산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당쇄변화 탐지를 통한 대장암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질량분석방법을 통해 탐지된 대장암 환자 유래 당단백질의 N-당쇄화 (N-linked glycosylation) 변화에 따른 특정 당쇄구조들이 증가 또는 감소하거나 유의하게 변화한 경우, 발굴된 N-당쇄 구조들은 진단마커로서 질량분석방법을 활용하는 대장암 진단 방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당쇄변화 탐지를 통한 위암 진단방법 및 위암 진단용 킷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렉틴 및 질량분석방법을 통해 탐지된 위암 환자 유래 햅토글로빈 (haptoglobin)의 N-당쇄화 (N-linked glycosylation) 변화 중 퓨코실화의 증가, 가지 (antennary) 구분에 따른 특정 당쇄구조들이 증가하거나 유의하게 변화한 경우, 또는 N-당쇄의 고 만노스 구조가 정상인에 비해 감소하는 것을 바탕으로, 상기 발굴된 N-당쇄 구조들은 진단마커로서 렉틴 또는 질량분석방법을 활용하는 위암 진단 방법 및 위암을 진단하는 킷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재조합 당단백질(glycoprotein)을 생성하는 세포주에서 당지질(glycospingolipid(GSL)) 생합성 경로를 억제시켜 고 시알산(sialic acid) 함량의 재조합 당단백질을 생산하는 재조합 세포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세라마이드 글루코실트랜스퍼라제(CGT)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siRNA 및 miRNA를 사용하여 CGT 억제를 유도하는 세포주에서 세포 내 고함량의 시알산(sialic acid)을 포함하는 에리스로포이에틴(EPO)을 생성함으로써 재조합 치료 단백질의 체내 반감기를 증가시켜 이를 이용하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당 단백질 분석용 키트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형광표지된 항체, 형광표지된 생체물질 및 지지체를 포함하는 당 단백질 분석용 키트,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당 단백질의 함량 및 당화 특성을 동시에 정량분석하는 이중 탐침법,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당화 특성을 갖는 당단백질을 생산하는 단일세포를 선별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선별된 목적하는 당화 특성을 갖는 당단백질을 생산하는 세포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의 유전자 클로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클로닝 방법은 단순히 해당 유전자의 단백질 번역 부위(개시코돈부터 종결코돈까지)만이 아닌 해당 유전자의 프로모터(Promoter)와 터미네이터(terminator) 서열까지 확인이 가능한 방법으로, 프라이머의 설계에 따라 해당 유전자의 단백질 번역부위, 프로모터 부위 또는 터미네이터 부위를 클로닝할 수 있어, 서열이 알려져있지 않은 균주의 유전자 클로닝은 물론, 유전자의 조절 메카니즘 연구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