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고정 및 이동 융합형 3DTV에서 좌/우 스트림을 동기화하는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i) 타임스탬프 페어링 방식, (ii) 타임 스탬프 오프셋 방식, (iii)NTP 동기 방식을 이용하여 좌영상과 우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할 수 있다.
Abstract: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컨텐츠 스트림 생성부;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립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3DTV를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상기 장치가 수행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영상 재생 장치는 3D 영상을 위한 좌영상 스트림과 우영상 스트림을 저장하는 버퍼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재생 장치는 좌영상 스트림과 우영상 스트림 간의 수신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버퍼 사이즈 또는 버퍼 지연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재생 장치는 좌영상 스트림과 우영상 스트림 간의 수신 시간 차이를 이용하여 기준 클럭을 보정하거나 또는 타임스탬프를 보정할 수 있다.
Abstract:
Disclosed are a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for three-dimensional television (3DTV) and a processing method for the same. The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can determine the output time of a buffer which stores right-image stream and left-image stream for a 3D image, and can determine a buffer size or a buffer delay time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times of the right-image stream and the left-image stream. Furthermore, the video reproduction apparatus can correct a reference clock or a timestamp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on times of the right-image stream and the left-image stream. [Reference numerals] (201) First buffer unit;(202) Second buffer unit;(203) Buffer control unit;(204) First decoding unit;(205) Second decoding unit;(206) Third buffer unit;(207) Image synchronization unit;(AA) Bit stream;(BB) Reference image;(CC) Synchronization information;(DD) Additional informatio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사용자의 조력 및 물체추적에 의한 영상 객체 분할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영상시스템 등에서 영상내의 객체를 추출하기 위하여 영상 시퀀스(Image Sequence)상에 처음 나타나는 영상 객체를 사용자의 도움으로 수동 또는 반수동으로 분할하고, 이후의 영상 프레임부터는 분할된 영상 객체의 움직임에 의한 물체추적 등에 의해 자동 분할하여 정확하게 영상 객체를 분할하기 위한 영상 객체 분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시스템에 적용되는 영상 객체 분할 방법에 있어서, 영상 시퀀스상의 첫 번째 프레임상에 존재하는 영상 객체 혹은 그 뒤 연속된 프레임에서 새롭게 나타나는 영상 객체를 사용자의 조력 및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수동 혹은 반수동으로 일차 분할하는 제 1 단계; 이전 분할 객체의 움직임 추적에 의하여, 이전 프레임에서 일차 분할된 영상 객체를 자동으로 영역 분할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를 연속된 프레임에 대하여 반복 수행할 때, 연속 프레임간에 장면전환이 있거나 자동 영역 분할된 영상 객체이외에 새로운 영상 객체가 있는 경우에, 해당 영상 객체에 대해 상기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를 반복 수행하는 제 3 단계; 및 상기 제 2 단계를 연속된 프레임에 대하여 반복 수행할 때, 프레임간 장면전환이 없고 자동 영역 분할된 영상 객체이외에 새로운 영상 객체가 없는 경우에, 영상 객체의 영역 분할 결과를 검사하여, 사용자의 만족시에 상기 제 2 단계를 수행하고, 불만족시에 상기 제 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보정된 영역 분할 결과를 상기 제 2 단계의 자동 분할 과정에 반영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영상시스템 등에서 영상 객체 분할에 이용됨.
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djusting moving picture time code and rate control buffer level are provided to prevent initial delay time generated in coding a first picture from being accumulated to the next picture during video communication. CONSTITUTION: A coding part(22) codes an input first picture within a screen and codes initial delay time generated when the first picture is coded in accordance with a rate control signal so that the initial delay time isn't accumulated to the next picture. The coded picture is stored in a buffer(23). A rate controller(24) generates the rate control signal,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pictures to be interlaced from the pictures stored in the buffer(23). A time code generator(25) generates the time code of the next pictur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pictures to be interlaced calculated in the rate controller.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최소값/최대값 선택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간단한 하나의 최소값/최대값 선택기를 제공하고, 이를 반복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수만큼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선택하는 다수개의 선택기를 직렬로 연결하되. 상기 최소값/최대값 선택기는, 초기 설정된 값을 선택된 최소값 또는 최대값으로 갱신하는 저장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최소값 또는 최대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 및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결과를 제1선택신호로 입력받고, 바로 이전의 상기 최소값/최대값 선택기의 비교결과 신호를 제2선택신호로 입력받아 상기 외부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와 상기 바로 이전의 최소값/최대값 선택기에서 선택된 최소값 또는 최대값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값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구비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초 대규모 집적회로에서 최소값 또는 최대값 선택장치로 이용됨.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임 추정기에서 각 화소에 대한 탐색 결과인 MAD(Mean Absolute Difference)를 비교하여 가장 적은 MAD를 가지는 위치를 산출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 추정기의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복적인 계산의 시작시점을 계수하여 출력하는 제1카운트수단(1); 상기 제1카운트수단(1)으로부터의 출력값을 시작신호로 하여 각 반복에 대한 파악된 타이밍을 중심으로 장치가 동작하는 구간과 동작하지 않는 구간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제2카운트수단(2); 상기 제2카운트수단(2)으로부터의 동작구간과 비동작구간에 대한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3);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3)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8개의 입력라인으로 입력받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파이프내 프로세싱 엘리먼트들로부터의 데이터의 타이밍을 시분할 처리후 출력하는 다중화수단(5); 상기 다중화수단(5)을 통해 상기 프로세싱 엘리먼트로부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최종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는 비교수단(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움직임 추정기에서 각 화소에 대한 탐색 결과인 MAD(Mean Absolute Difference)를 비교하여 가장 적은 MAD를 가지는 위치를 산출하여 움직임 벡터를 결정하는 움직임 추정기의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반복적인 계산의 시작시점을 계수하여 출력하는 제1카운트수단(1); 상기 제1카운트수단(1)으로부터의 출력값을 시작신호로 하여 각 반복에 대한 파악된 타이밍을 중심으로 장치가 동작하는 구간과 동작하지 않는 구간을 구분하여 출력하는 제2카운트수단(2); 상기 제2카운트수단(2)으로부터의 동작구간과 비동작구간에 대한 출력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어신호로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신호 발생수단(3); 상기 제어신호 발생수단(3)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8개의 입력라인으로 입력받은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파이프내 프로세싱 엘리먼트들로부터의 데이터의 타이밍을 시분할 처리후 출력하는 다중화수단(5); 상기 다중화수단(5)을 통해 상기 프로세싱 엘리먼트로부터의 출력을 비교하여 최종 움직임 벡터를 출력하는 비교수단(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