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궤도차량용 유도급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유도급전용 집전체를 구비한 궤도차량; 상기 궤도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감지부; 상기 궤도차량의 이동영역 전체 구간에 설치되되 차량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구획되는 다수의 전원공급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급전기술을 기본으로 하여 차량길이에 비해 짧은 섹션 전환기능을 부가한 전원공급측을 구성하고, 고주파 전원공급용 인버터시스템 대수를 최소화함으로써 유도급전설비의 에너지 집적화를 극대화하고, 섹션 전환을 위한 감지단계의 다양화를 위한 선 차량감지, 후 인덕턴스 감지방식을 채택하여 에너지손실 및 고주파 전자장의 위험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궤도차량, 유도급전, 전원공급섹션
Abstract:
PURPOSE: An induced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rail vehicle is provided to minimize the driving sequence errors of the system due to a detection error by varying sensing steps for converting sections. CONSTITUTION: An electric rail vehicle(10) includes a current collector(11) for performing an induced charging process. A detecting part measures the location of the electric rail vehicle. An electric power supplying section(20) is installed to the overall moving region of the electric rail vehicle. The electric power supplying section includes a section converting switch(21) which is separately turned on and turned off.
Abstract:
A railroad car system using a linear motor and a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is provided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by maintaining an air gap at a predetermined size in response to a change of a road surface and high frequency vibration of a moving load. A railroad car system includes a linear motor and a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The linear motor has a reaction plate which is parallel arranged along a moving direction of a load and a field(40) which is support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load to form a predetermined air gap at an opposite side to the reaction plate and generates a moving field. The non-contact power supply system has a power transmitting unit which is parallel arrang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ad, a power collecting unit which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 to form an air gap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transmitting unit and supplies current induced from the power transmitting unit to the load, and an air gap control unit which controls positions of a stator and the power collecting unit to maintain the air gap at a predetermined size.
Abstract:
An induced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rail car is provided to minimize an insulation displacement of a tunnel by selectively supplying electrical power to a vehicle according to a detected type of the vehicle. An induced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rail car includes a station charging bay(110), a charging section(120), and a power controller(130). The station charging bay is installed on a station, where the electric rail car stops. The charging section supplies power to a portion of a driving path. The power controller supplies power to a unit, which is formed by coupling plural station charging bays with the charging sections. A detector(140) automatically detects a position of the station charging bay and the charging section, such that a rail car entrance is detected. A power supply controller(150) selectively controls the power controller according to a request from an approaching rail car.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대차 저면에 선형유도전동기의 1차측 전기자를 취부할 때, 1차측 전기자의 상하 변위를 조절하는 변위조절기가 받는 1차측 전기자의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림·대차 고정부를 구비함과 아울러, 1차측 전기자의 전방 위치에 설치된 공극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되는 1차측 전기자와 2차측 회전자 사이의 공극의 크기정보를 이용하여 변위조절기를 제어함에 따라 노면의 변화에 대응하여 공극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추진력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된 철도차량용 선형유도전동기의 공극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형유도전동기, 공극, 전기자, 회전자, 공극센서, 변위조절기, 림·대차 고정부, 스프링.
Abstract:
An aperture control system of linear induction motor for a train is provided to stabilize the operation of train by regularly maintaining the aperture control system of linear induction motor. A roto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between the rails. An armature is installed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rriage. An aperture control part(500) is made of an air gap sensor(400), a controller(450) and a displacement controller(100). The rotor is made of the aluminum plate. The displacement controller controls the air gap between the armature and the rotor. A rim fixing unit and a carriage fixing unit(200,300) connects the armature to the carriage. The load of armature is decreased. The displacement controller, the linear induction motor and the carriage fixing unit are equipped in the back side of armature.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차의 유도전력전송 급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력충전을 필요로 하는 전동차가 정차 시 또는 주행 중에 각 역사와 주행선로 상에 구비된 충전베이와 충전섹션에서 물리적 접촉 없이 급속 충전을 수행하는 전동차의 유도 급전 설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의 유도 급전 설비 시스템은 유도 작용에 의해 전동차에 전력을 전달하는 급전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차가 정차하는 역사에 급전을 위한 역사충전베이를 설치하고, 주행선로의 일부 구간에 급전을 수행하는 충전섹션을 구비하되, 복수의 역사충전 베이와 충전섹션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하나의 유닛에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기 자동차, 전동차, 전기철도, 유도전력, 충전부, 버퍼용 캐패시터, 울트라 캐패시터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차량(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차량 외부로부터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동작 가능하도록 하는 전원급전용 비접촉 집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상에 전력송전선을 설치하고, 차량에 전력 집전장치를 설치하여 전자기 유도작용에 의해 비접촉방식의 차량전력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비접촉 급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주행중 차량으로의 집전과 차량 내부 배터리 충전을 위한 전력집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래의 접촉방식의 장점은 살리면서, 종래의 접촉방식의 한계였던 기계적 마찰에 의한 마모, 소음 발생현상을 해소하고, 차량에의 집전 손실로 작용할 수 있는 아크, 공기마찰 등의 전기적, 환경적 손실, 피해성분을 제거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기차량 급전용 집전 방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기 차량의 급전, 집전장치, 전원급전, 비접촉집전
Abstract:
PURPOSE: An induction power collecting apparatus for a high capacity electric vehicle for reducing core loss and an induction power feeding system are provided to compensate a reduction in a magnetic flux inter-linkage amount while using a low frequency by reducing leakage magnetic flux in a magnetic flux inter-linkage surface of an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thereby supplying low frequency power to the induction power feeding system or induction power collecting apparatus. CONSTITUTION: An induction power feeding part(10) includes an induction power feeding body(11) and is installed on a line. The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is coiled by a power feeding line in order to compensate an amount of mutual inductance attenuation according to a frequency reduction when a power source is replaced to a low frequency power source from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An induction power collecting body generates electromot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inductance of the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A power collecting part(20) comprises the induction power collecting body. The induction power collecting body or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are manufactured with amorphous or nano-crystalline core.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을 동력원으로 하는 전동차의 아몰퍼스 유도급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철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도전력 방식의 충전 및 집전장치의 재질을 변화시켜 누설자속에 의한 손실과 철손을 최소화 하는 철도차량용 아몰퍼스 유도 급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기 철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유도 전력 방식의 충전 및 집전장치의 재질을 아몰퍼스로 구성하고, 2차측 집전부 코어와 1차측 급전부 코어의 쇄교단면적의 비를 변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도전력, 철도차량, 전동차, 림차량, 아몰퍼스, 충전부, 급전부, 코어, 쇄교단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