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전극이 형성된 센서기판 및 상기 전극이 형성된 센서기판 상에 금속산화물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을 분사하여 형성된 박층의 센서소재를 포함하는 가스센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센서는 센서소재가 미세한 나노입자들로 구성된 금속산화물 박층으로 형성되어, 매우 큰 금속산화물 비표면적을 가지며 다공성이므로, ppb 레벨의 높은 감도(Sensitivity)와 우수한 반응속도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스센서는 상온에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분사 시간의 조절을 통해 센서소재의 두께를 쉽게 조절할 수 있어, 박막 또는 후막 가스센서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다.
Abstract:
리그닌 지방산 유도체, 이를 포함하는 탄소 섬유 제조용 전구체, 상기 전구체로부터 제조된 방사 섬유 및 탄소 섬유, 그리고 상기 리그닌 지방산 유도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그닌 유도체 기반 탄소 섬유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리그닌 지방산 유도체는 페놀화 리그닌(phenolated lignin)이 지방산으로 기능화된 것으로, 이로부터 제조된 방사 섬유는 자외선 가교가 가능하며, 유연성이 개선되어,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표면 가교 반응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가속화된 열안정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융착 및 용융 문제가 전혀 없는 탄소 섬유를 단축된 공정 시간 내에 제조할 수 있다.
Abstract:
본발명은 (a) 할로겐화고분자를이용하여할로겐화고분자나노섬유를제조하는단계; (b) 상기할로겐화고분자나노섬유를탈할로겐화처리하는단계; 및 (c) 상기탈할로겐화처리된할로겐화고분자나노섬유를탄화시키는단계를포함하는이산화탄소흡착용다공성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에의하여제조된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높은비표면적과기공부피, 빠른흡착/탈착속도그리고열적및 화학적으로안정하고재사용이가능하기때문에, 유용한 CO흡착제로사용할수 있다.
Abstract:
본발명은 (a) 할로겐화고분자를이용하여할로겐화고분자나노섬유를제조하는단계; (b) 상기할로겐화고분자나노섬유를탈할로겐화처리하는단계; 및 (c) 상기탈할로겐화처리된할로겐화고분자나노섬유를탄화시키는단계를포함하는이산화탄소흡착용다공성탄소나노섬유제조방법에의하여제조된다공성탄소나노섬유는높은비표면적과기공부피, 빠른흡착/탈착속도그리고열적및 화학적으로안정하고재사용이가능하기때문에, 유용한 CO흡착제로사용할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그리드(Grid) 구조를 이용한 폴리머 안정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리드 구조를 이용한 폴리머 안정화 장치로서, 폴리머 안정화 챔버; 상기 폴리머 안정화 챔버 내로 폴리머를 투입하는 폴리머 투입구; 상기 폴리머 안정화 챔버 외로 폴리머를 배출하는 폴리머 배출구; 상기 폴리머 안정화 챔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폴리머 투입구로부터 폴리머 배출구로 폴리머를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폴리머 안정화 챔버 내에 배치되어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방전부; 및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에 전력을 인가하는 전력 공급원; 을 포함하되, 상기 플라즈마 방전부는 상기 이송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그리드 구조의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플라즈마를 폴리머 근방에서 방전시켜 안정화 반응을 촉진하되, 플라즈마와 폴리머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게 함으로써 폴리머의 손상 또는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Abstract:
A fiber-based filter includes: a fiber-based porous body in which super fine fibers are randomly and successively arranged, and the pore size with the maximum frequency among the pore size distribution is 0.1-2 micrometers; and a filtering layer with a nanonet layer in which anisotropic nanomaterials are arranged, and the pore size with the maximum frequency among the pore size distribution is 1-100 micrometers. The fiber-based filter has excellent filtering efficiency capable of removing super fine particles including virus and heavy metals, and shows high penetration flux by having low pressure loss during a filtering process, thereby able to be practically used as an air and water treatment filter.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method of a high performance carbon fiber using a polyacrylonitrile fiber for fabrics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n elongation step of elongating the polyacrylonitrile (PAN) fiber for fabrics using more than one process selected from hot water elongation and heat elongation to obtain an elongated polyacrylonitrile (PAN) fiber; oxidizing and stabilizing the elongated polyacrylonitrile (PAN) fiber; and carbonizing the oxidized and stabilized elongated polyacrylonitrile (PAN) fi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polyacrylonitrile fiber (PAN) for fabrics, which is not suitable for a precursor of the carbon fiber through hot water elongation and/or heat elongation, the high performance carbon fiber having the proper fiber diameter, high degree of polymer chain orientation, and mechanical strength is obtained. The price of the carbon fiber is capable of decreased by using the polyacrylonitrile fiber (PAN) for fabrics.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ufacturing silicon carbide nanofiber using an emulsion electro-spinning method and the silicon carbide nanofiber manufactured by the same are provided to improve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rmal-mechanical stability of the silicon carbide nanofiber by thermally treating complex nanofiber in a core-shell structure. CONSTITUTION: Complex nanofiber in a core-shell structure includes a fibrous core containing a silicon carbide precursor and a shell containing a water soluble polymer. Mono-crystalline silicon carbide nanofiber is obtained by thermally treating the complex nanofib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ilicon carbide nanofiber includes the following: A solution containing a silicon carbide nanofiber is prepared by dissolving a silicon carbide precursor in a non-polar solvent. A surfactant, a polar solvent, and a water soluble polymer are mixed with the solution containing the silicon carbide nanofiber to obtain an oil-in-water emulsion for electrospinning(a). The oil-in-water emulsion is electrospun to obtain the complex nanofiber(b). The complex nanofiber is thermally treated to obtain the silicon carbide nanofiber(c).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산화물 초극세 섬유-기반 내열성 복합 분리막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 금속산화물 전구체의 졸-겔 용액 또는 이와 고분자 수지 용액의 혼합물을 전기방사하여 배출된 초극세 금속산화물/고분자 복합섬유 또는 초극세 금속산화물 섬유가 연속적으로 랜덤하게 배열 및 축적되어 이루어진 다공체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초극세 금속산화물 섬유로 이루어진 다공체는 그 표면에 고분자 수지 코팅층을 가짐), 150 내지 250℃에서의 열수축률이 10% 이하이고 200℃ 이하의 온도에서는 용융에 의한 붕괴를 일으키지 않는 본 발명의 복합 분리막은 열수축률이 낮고 우수한 내열성 및 이온전도도를 가져 전지 구성시 싸이클 특성 및 출력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고에너지 밀도와 고용량의 이차전지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