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일 실시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되, 일측 전극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저면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타측 전극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제1높이만큼 높게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배터리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채워지되, 상기 제1높이보다 낮은 높이인 제2높이보다 낮게 채워져서 상기 다수의 배터리 각각의 일측 전극을 침지하는 절연 유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되, 상기 제1높이보다 높고 상기 케이스의 상면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인 제3높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다수의 배터리 각각의 타측 전극에 상기 절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관; 일단이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되, 상기 제2높이에서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제2높이까지 채워지는 절연 유체를 회수하는 유체 회수관; 일측에 상기 유체 회수관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유체 회수관을 통해 회수된 절연 유체를 저장하고, 타측에 유체 배출관의 일단이 연결되는 유체 저장 탱크; 및 상기 유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절연 유체를 상기 유체 배출관의 타단을 통해 흡입하고, 흡입한 절연 유체를 가압하여 상기 유체 공급관의 타단으로 토출하는 유체 공급부를 포함 배터리 장치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구조식 일체형 리니어엔진 제너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부의 양측에 펌핑실이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연소실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이 발전부에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전부의 출력이 상승되고, 발전부를 가운데 부분이 아닌 양쪽 측면으로 배치하여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였으며, 기존 리니어 엔진의 좌굴 및 진동에 의한 편심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하고, 상기 엔진실의 양측면에 흡기구가 설치되어 공기와 연료가 엔진실 내에 측면으로 유입됨으로써, 소기행정시, 소기손실을 최소화하여 엔진효율이 증대되며, 상기 연소실의 피스톤 슬리브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가공성 향상 및 원가가 절감되고, 상기 엔진피스톤의 피스톤축이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엔진피스톤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피스톤 및 슬리브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for meeting a setting standard of an ammonia slip of exhaust gas generated from a dual or bi-fuel engine using ammonia as fuel. Injection of ammonia is restricted until a predetermined temperature condition of a cooling water and a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exhaust gas are achieved. Therefore, the ammonia (NH3) is not excessively discharged in initial starting time, and only other fuel, such as gasoline, is injected while injection of ammonia fuel is restricted in order to activate an ammonia oxidation cataly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a bad influence on a human body generated in a past when ammonia slipped.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열 및 초음파를 이용한 디젤자동차용 배출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출가스가 이송되는 배기관의 배출가스 열에 의해 연료가 예열된 후, 초음파 기화기에 공급되고, 상기 예열된 연료는 초음파 기화기의 초음파에 의해 기화 및 미립화가 되어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며, 상기 혼합된 연료/공기가 연료/공기 분사점화장치에 분사되어 점화에 따른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기화되지 못한 액체상태의 연료가 존재하지 않고, 그로 인해 디젤 산화촉매장치 및 매연저감장치 내에 액체상태의 연료가 존재하지 않아 종래에 발화되어 국부적으로 고온이 발생하여 디젤 산화촉매장치 및 매연저감장치가 녹아내리는 것과, 필터기능이 상실되어 입자상 물질 및 오염물질이 정화되지 않은 상태로 대기중에 방출되는 것이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이륜차의 최고속도 및 가속도가 측정되는 시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이륜차의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다단계로 나누어진 시험설정조건에 따라 시험함으로써, 전기 이륜차의 최고속도와 가속도의 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기 이륜차 또는 연구 중인 전기 이륜차의 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전기 이륜차의 성능을 데이터화하여 추후에 연구 개발되는 전기 이륜차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ynamometer fixing device for testing a small electric vehicle. The dynamometer fixing device comprises: a support for supporting a small electric vehicle; a roller part installed in a part of the support where a rear wheel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 is placed to rotate the rear wheel arbitrarily; a motor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ller part to rotate the roller part while controlling the rotation number of the roller part; and a fixing part installed in a part of the support where a front wheel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 are placed to control a gap between the front wheel and the roller part while fixing the front wheel.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testing efficiency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s by making proper setting conditions for the test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mall electric vehicles, and can conveniently use regardless of position by integrating all the parts as one unit.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륜차 시험장치 및 시험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환경을 설정할 수 있는 챔버 내에서 전기 이륜차의 새시동력계를 제어하는 위한 다이너모미터 벤치, AC 모터 드라이버, 각종 제어장치 등 다수개의 구성품을 연결하여 구비하고, 상기 전기 이륜차를 시험하기 위해 각종 설정된 조건으로 전기 이륜차를 시험 준비함으로써, 종래에는 실 도로에서 바람, 온도 등의 외부환경 변화로 인해 전기 이륜차의 성능시험의 제한이 많은 것에 비해 챔버에 설치된 새시동력계를 통한 성능시험은 재현성 및 반복성 있는 성능시험을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기 이륜차의 최고속도 및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1회 충전으로 전기 이륜차의 주행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전기 이륜차의 등판 능력과 유효 배터리 에너지 용량을 측정할 수 있어 시판되는 전기 이륜차 또는 연구 중인 전기 이륜차의 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전기 이륜차의 성능을 데이터화하여 추후에 연구 개발되는 전기 이륜차에 적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폐열을 이용한 연료기화 및 단열장치가 형성된 리니어 엔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형 왕복기관으로 리니어 제너레이터와 에어펌프를 병렬식으로 설치하여 커넥팅로드의 길이가 최소화되며 크랭크 및 플라이휠이 없어 소형화(meso-scale)가 가능하고, 상기 리니어 제너레이터에 의해 직접적으로 전기 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피스톤 슬리브와 피스톤을 세라믹 재질로 제작하여 무윤활 또는 저윤활 상태에서 엔진이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연소실 헤드를 통해 연료가 연소실 내로 유입, 상기 연소실의 하단부를 통해 에어펌프부의 공기가 연료와 다른 경로를 통해 유입되어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엔진의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하며, 에어펌프부의 양측면을 통해 외부 공기가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용이하게 유입됨으로써, 종래에 헤드부의 리드밸브 등 밸브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배제되어 부품 수량이 절감 및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작기간 및 제작단가가 절감되며, 연료기화 및 냉각부가 연소실과 에어펌프부의 상부면 벽체 내부에 관통되어 내부에 이송되는 연료가 연소실과 에어펌프부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폐열에 의해 기화되는 동시에 연소실과 에어펌프부를 냉각시킴으로써, 과열에 의한 엔진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엔진의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하고, 별도의 기화기를 설치하지 않아 부품수의 감소로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경제성이 높아지며, 연료기화 및 냉각부가 연소실과 에어펌프부의 상부면 벽체 내부에 관통되어 냉각시킴으로써, 발전부의 제너레이터에 열이 전달되지 않아 열에 취약한 특성이 있는 제너레이터의 효율을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