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상자와 같이 분위기 제어를 필요로 하는 장치의 밀폐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방법은 투명판(아크릴 또는 유리판)에 탭을 직접 내어야 하므로 탭을 내는 도중에 판의 균열 및 파손되는 경우가 있고, 밀폐를 향상시키기 위해 볼트로 조인 탭에 실리콘과 같은 접착제를 사용하여 추가로 봉합을 해야 하며, 장치의 이동 및 수리 등을 위한 투명판 해체 작업시 접착제의 제거, 볼트 해체 작업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투명판에 탭을 내지 않고 밀폐가 가능한 볼트가 내장된 클램프를 사용하므로써 별도의 탭을 만들지 않으므로 투명판의 균열과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밀폐도 향상되어 보다 완벽한 분위기 제어가 가능하고, 장비의 수리 및 이동시, 투명판 해체가 용이한 분위기 제어 실험 장치의 밀폐 방법에 관해 개시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고분자 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분자 전극을 이용한 리튬 2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도성고분자 중 폴리아닐린이 전도도를 가지게 하기 위해 양성자 산으로 도핑을 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상기의 양성자 산에 의해 도핑한 폴리아닐린을 양전극으로 사용하여 리튬 2차전지를 구성하면 도핑된 양성자들이 전지 반응에 참여하여 전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어 전지의 성능 저하를 가져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양성자 산에 의한 도핑을 하지 않고 전지구성 시 사용하는 염이 녹아있는 전해질로 도핑을 한 전도성고분자를 양전극으로 사용하여 리튬 2차전지를 구성하면, 상기의 단점을 개선 할 수 있어 전지의 성능이 개선되며, 무기물 전극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전지의 모양도 자유롭고 무게도 가벼운 전지의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Abstract:
PURPOSE: A lithium secondary cell using lithium-iron-manganese oxide (LiFexMm(2-x)O4) is provided to achieve a large electric discharge, stable structure, little decrease in capacity due to cycle repeat, and high capacity at a high voltage field. CONSTITUTION: The lithium-iron-manganese oxide (LiFexMm(2-x)O4) for a lithium secondary cell is comprised of the first step for preparing lithium-iron-manganese oxide by heating the mixture of lithium hydroxide(10 wt.%), manganese oxide, and iron oxide at 700-750 deg.C for 40-50 hours and slowly cooling; the second step for grinding and pelletizing the lithium-iron-manganese oxide; and the third step for calcining the mixture at 400 deg.C for 10 hours in air and sintering at 750 deg.C for 24 hours in twice in air, wherein the cooling speed at 400 deg.C is 1 deg.C per minute, and at below 400 deg.C, it is slowly cooled. Therefore, the lithium secondary cell is composed of lithium-iron-manganese oxide (LiFexMm(2-x)O4), acetylene black (10 wt.%) and poly-terafluoro-ethylene (1 wt.%) as a binder for the positive electrode, lithium for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solution containing ethylene carbonate and dimethyl carbonate for the electrolyte.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doping a conductive high-polymer having a high conductivity is provided to effectively dope a polyaniline by a heat. CONSTITUTION: When performing a doping after inserting a polyaniline into a positive acid solution, a method for doping a conductive high-polymer of a high conductivity uses a positive acid solution of 40-60°C, thereby enhancing a conductivity and reducing a fabrication cost.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리튬 2차전지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리튬 2차전지의 양극물질로 사용되는 바나듐계 산화물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몰리브덴을 치환시킨 바나듐산화물 및 그 제조 방법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아르곤 분위기의 건조상자 안에서 MoO 3 , V 2 O 3 와 V 2 O 5 를 정량적으로 섞은 다음 이를 실리카 튜브에 넣고 진공 봉입한 후 650℃의 온도에서 96~120시간 열처리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리튬 2차전지의 양전극 물질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전자의 제작시 양면 또는 단면을 동시에 도포를 할 수 있도록 한 전극물질 도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점도가 낮은 전극물질의 도포는 물론 높은 점도의 전극물질의 도포까지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고체 리튬 2차 전지의 전극 물질의 도포 장치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단위 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극물질(101) 슬러리 제조시 고분자(102) 함량을 높여서 전극물질 입자(grain)를 전부 고분자(102)로 감싸도록 하고, 상기 음극물질(101) 슬러리를 구리 집전체(10)의 양면에 도포하여 음전극층(103)을 형성하여 음전극판(110)을 제조하는 제 1 단계와, 양극물질(104) 슬러리 제조시 고분자(102) 함량을 높여서 전극물질 입자를 전부 고분자(102)로 감싸도록 하고, 상기 양극물질(104) 슬러리를 알루미늄 집전체(30)의 양면에 도포하여 양전극층(105)을 형성하여 양전극판(120)을 제조하는 제 2 단계와, 상기와 같이 제작된 음전극판(110)과 양전극판(120)을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직접 접합하여 리튬 폴리머 2차 전지 단위 셀을 제조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고분자 전해막을 제작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 ��분자 전해막의 접합 없이 양전극판/음전극판의 두 층을 접합하므로 제조공정 및 접합공정을 간소화 하고, 전지 부피의 감소 및 접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계면의 문제를 개선하여 전지의 용량과 부피당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장비의 웨이퍼 측면파지를 위한 구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웨이퍼 이송장치는 장비내에서 웨이퍼를 공정모듈에 이송할 때, 삼발이, 공압구동기 및 벨로우즈 등의 복잡한 부설장치가 공정모듈에 필요하게 되어, 진공배기 속도, 공정안정도 및 공정균일도가 나빠지게 되며 또한 웨이퍼 측면파지형 집게의 구조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는 하지만, 집게손가락이 웨이퍼를 잡을 때 각 집게손가락에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인장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에만 의존하여 개별적으로 작용하므로, 집게의 좌우방향에 대한 각도의 균형 및 강성이 작다는 문제점이 있어 웨이퍼의 파지가 실패할 우려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집게를 구동하는 두 회전축의 풀리(pulley) 주위에 인장강성이 높은 연동용 스틸 벨트(steel belt)를 8자 형태로 감아 � �� 개의 집게손가락의 회전운동이 연동되도록 하여 웨이퍼를 보다 안정하게 파지할 수 있고, 또한 집게의 측면방향에 대한 강성을 부여함으로써 웨이퍼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웨이퍼 측면파지 이송용 집게(end effector)의 구동기구에 관한 것임.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게에 의하여 웨이퍼의 측면 부위를 잡도록 하여 삼발이의 도움없이도 카세트에서 웨이퍼척까지 웨이퍼를 용이하게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 웨이퍼 측면 파지 이송 반도체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웨이퍼를 잡는 집게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삼발이와 같은 웨이퍼 운송기구를 제거시켜도 용이하게 웨이퍼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웨이퍼의 측면이 일반적으로 원형가공(ROUNDING)되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웨이퍼의 아랫면 대신에 측면부위를 집게가 잡도록 하므로서 삼발이가 없이도 웨이퍼의 파지, 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따라서 종래의 삼발이와 같은 웨이퍼운송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장비의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되며, 진공반응기의 배기구를 언직하방에 설치하여 상측의 가스공급기로 부터 공급되는 공정가스의 흐름이 축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공정균일도를 높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