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7208B1 - Fuel tank venting system of vehicle

    公开(公告)号:KR102237208B1

    公开(公告)日:2021-04-06

    申请号:KR1020150098624A

    申请日:2015-07-10

    Inventor: 김근수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K15/035 B60K2015/03504 B60K2015/03552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주입구를 통해 주유된 연료탱크에서 발생한 연료 증발가스를 캐니스터를 통과시켜 처리하는 차량의 연료탱크 밴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연료탱크에서 발생된 연료 증발가스를 상기 캐니스터로 배출시켜 상기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롤 오버 밸브 및 상기 연료주입구와 상기 연료탱크를 연결하는 필러파이프 상에 설치되고, 상기 롤 오버 밸브와 상기 캐니스터를 연결하며, 상기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증발가스가 상기 캐니스터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밴팅 컨트롤 밸브를 포함한다.

    KR102237197B1 - Urea tank integrated with feul t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t

    公开(公告)号:KR102237197B1

    公开(公告)日:2021-04-06

    申请号:KR1020150177873A

    申请日:2015-12-14

    Inventor: 강경완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와 일체화된 우레아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우레아탱크(10)는 외부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탱크부(21)와 그 내측면에 소정 두께로 성형된 요소수에 대하여 안정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층(23)으로 형성되며, 상기 우레아탱크의 탱크부(21)는 같은 재질의 연료탱크(11)와 접합되어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종래 우레아탱크 설치 레이아웃상 어려움을 해결하고, 우레아탱크를 합성수지재로 금속제의 연료탱크와 일체로 형성하여 경량화함과 함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회전몰딩법을 이용하여 우레아탱크를 오븐내에서 회전시키면서 소정 온도와 시간 및 회전속도로 성형함으로써, 알루미늄의 외부 탱크내면에 수지층이 우수한 융착 균일도로 일체화되는 효과가 있다.

    KR102237196B1 - Positive pressure control system for fuel tank

    公开(公告)号:KR102237196B1

    公开(公告)日:2021-04-06

    申请号:KR1020170036704A

    申请日:2017-03-23

    Inventor: 김근수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주행 시와 같이 연료탱크내 압력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조건에서 연료탱크의 과대 정압을 해소하기 위한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탱크의 과대 정압 해소를 위한 정압밸브를 연료탱크의 필러파이프와 캐니스터의 에어벤트라인 사이에 설치하여 구성하고, 연료증발가스를 엔진의 흡기계통측으로 퍼지 시 상기 에어벤트라인에 생성되는 부압에 연동하여 상기 정압밸브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연료탱크 내부의 과대 정압 해소 시 연료증발가스의 대기 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KR102237193B1 - Fuel tank venting system

    公开(公告)号:KR102237193B1

    公开(公告)日:2021-04-06

    申请号:KR1020150063121A

    申请日:2015-05-06

    Inventor: 김근수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K15/03519 B60K15/077 B60K2015/077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연료 증발가스를 캐니스터 측으로 배출하여 내부압력 조절을 위한 연료탱크 벤팅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 형성된 두 개의 제1,2오리피스에 각각 연결되어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일 경우 개방하여 연료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제1,2밸브와; 상기 제1,2오리피스를 통해 각각 배출되는 연료 증발가스를 각각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제1,2챔버와; 상기 제1,2챔버 사이에 구비되며 저압에 해당하는 쪽의 챔버를 개방하여 캐니스터로 연료 증발가스를 배출하는 셔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셔틀밸브는 상기 제1챔버와 제2챔버를 서로 연통하는 유입통로를 형성하고, 이 유입통로에서 캐니스터로 연통되는 배출통로를 갖는 통로몸체와; 상기 유입통로의 내부에 왕복 가능하게 구비되는 피스톤로드와, 이 피스톤로드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입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부재를 갖는 셔틀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챔버 간에 압력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의 챔버 측을 개방하고 높은 압력의 챔버 측을 폐쇄하는 작동을 통해 연료 증발가스를 배출통로로 배출하는 연료탱크 벤팅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주유 시 및 주행 시 벤팅성능이 개선됨과 아울러, 연료탱크의 내부 압력에 의한 크랙 및 노이즈를 감소됨에 따라 소비자의 불만족 및 차량의 폭발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KR20210034276A - Dialogue system, dialogu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公开(公告)号:KR20210034276A

    公开(公告)日:2021-03-30

    申请号:KR1020190116007A

    申请日:2019-09-20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사용자 발화가 종료되기 전의 중간 발화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 발화가 종료되기 전에 시스템 응답을 미리 생성하고, 사용자 발화가 종료되면 미리 생성된 시스템 응답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 발화와 시스템 응답 사이에 딜레이 없이 자연스러운 대화의 흐름을 이어갈 수 있는 대화 시스템, 대화 처리 방법 및 전자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 시스템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발화를 실시간으로 텍스트로 변환하는STT(Speech to Text) 엔진; 상기 사용자 발화가 종료되기 전의 중간 발화를 처리하여 사용자 의도를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 의도에 대응되는 시스템 응답을 생성하는 중간 대화 엔진; 상기 사용자 발화가 종료된 후의 최종 발화를 처리하는 최종 대화 엔진; 상기 사용자 발화가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중간 대화 엔진에 입력하고, 상기 사용자 발화가 종료되었으면, 상기 변환된 텍스트를 상기 최종 대화 엔진에 입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시스템 응답을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TTS(Text to Speech) 엔진;을 포함한다.

    KR20210033613A - Power transfer device for motor driven air vent

    公开(公告)号:KR20210033613A

    公开(公告)日:2021-03-29

    申请号:KR1020190115096A

    申请日:2019-09-19

    Inventor: 김주하

    CPC classification number: B60H1/3421 B60H2001/3471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의 가로윙 및 세로윙, 댐퍼에 대한 구동 방식을 전동 방식으로 개선시킨 전동식 에어벤트에 있어서,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하여 모터로부터 가로윙으로 전달되는 동력과, 에어 흐름을 개폐하기 위하여 모터로부터 댐퍼로 전달되는 동력을 기어 구동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 절감 및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 풍향 조절을 위한 가로윙의 동작 제어와 에어 흐름 개폐를 위한 댐퍼의 동작 제어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전동식 에어벤트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Patent Agency Ra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