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senchymal stem cells having immuno-modulating activity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rapamycin-treated mesenchymal stem cells in which one or more cell surface factor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CR1, CCR2, CCR3, CCR4, CCR7, CCR9 and CXCR4 are expressed, a cell therapeutic age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mesenchymal stem cell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mmune diseas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having immuno-modulating activity. The mesenchymal stem cells treated with rapamycin and having immuno-modulating activity increase expression of IDO, TGF-beta, and IL-10 that are factors having immuno-modulating activity, reduce expression of Phospho-mTOR, Rictor, and Ractor that are signal transmission factors of mTOR, and increase expression, in the cell, of Beclin1, ATG5, ATG7, LC3I, or LCII that is an autophagic inducer. If this cell is used as a cell therapy agent in individuals having immune disorder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treat immune diseases.
Abstract:
본발명은 (a)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서분화유도된췌장전구세포에서인슐린의발현량을측정하는단계; 및 (b) 상기측정된발현량을대조군시료로부터얻은기준치와비교하는단계를포함하는이식후 당뇨병(NODAT, new onset diabetes after transplantation)의발병위험도의예측을위한정보제공방법에관한것이다.
Abstract:
본발명은 (a)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서분화유도된췌장전구세포에서인슐린의발현량을측정하는단계; 및 (b) 상기측정된발현량을대조군시료로부터얻은기준치와비교하는단계를포함하는이식후 당뇨병(NODAT, new onset diabetes after transplantation)의발병위험도의예측을위한정보제공방법에관한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이식 후 면역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CD8 effect memory)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CD8 central memory) IFN-γ양성 세포를 측정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및 (a) 이식 수술을 받은 개체의 말초혈액에 대해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을 Th17 세포의 세포수 측정값으로 나눠 Th17 세포수 대비 Treg 세포, Th1 세포, CD8EM IFN-γ 양성 세포 및 CD8CM IFN-γ양성 세포의 세포수 비(ratio)를 각각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이식 후 면역상태 모니터링 키트 및 이식 후 개체의 면역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이식 후 개체 내의 면역상태를 손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이식 후 처방되는 면역억제제의 과다 사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환자 개개인에 대한 면역 상태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