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公开(公告)号:WO2022114791A1
公开(公告)日:2022-06-02
申请号:PCT/KR2021/017434
申请日:2021-11-24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시간에 따라 누적된 대사 증후군의 발병 요인들을 기반으로 빅데이터를 생성 및 분석하여, 특정한 질환에 대한 발생 및 위험도를 인식 또는 예측함에 따라, 위험 상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의 질환 발병 위험도 예측 시스템, 예측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WO2022114443A1
公开(公告)日:2022-06-02
申请号:PCT/KR2021/009529
申请日:2021-07-23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nventor: 박준욱
Abstract: 본 발명은 백; 상기 백에 마련되어, 환자의 신체에 장착된 기관내 튜브가 고정되는 제1결합부;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호흡용 공기를 제공하는 호흡기용 튜브가 삽입 또는 장착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백에 마련되어, 상기 기관내 튜브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시술 및 검사 도구가 인출입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백의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백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관내 튜브용 비말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WO2022108390A1
公开(公告)日:2022-05-27
申请号:PCT/KR2021/017097
申请日:2021-11-19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A61K31/155 , A61P19/02 , A61P29/00 , A61P19/00 , A61P37/00
Abstract: 본 발명은 SMILE의 발현 감소가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염증성 장질환 등의 자가면역질환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TNF-알파 억제제에 불응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이구아나이드(SD282)를 처리 시, SMILE의 발현을 증가시켜, TNF-알파 억제제 불응성을 개선할 뿐 아니라, 유익한 마이크로바이옴 증가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 증가를 유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염증성 장질환 뿐만 아니라, 대사이상이 동반된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우수함을 확인하여,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2108154A1
公开(公告)日:2022-05-27
申请号:PCT/KR2021/015116
申请日:2021-10-26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자궁 경부 영상을 이용한 절제 도구 정보 생성 방법은 분석장치가 환자의 자궁 경부 영상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분석장치가 상기 자궁 경부 영상을 학습 모델에 입력하여 병변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분석장치가 상기 병변 영역을 기준으로 마진 영역을 추가로 설정하여 절제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장치가 상기 절제 영역의 모양 및 크기에 따라 절제 도구 중 어느 하나는 선택하거나, 또는 상기 절제 영역의 모양 및 크기를 기준으로 절제 도구를 제작하기 위한 소스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22092881A1
公开(公告)日:2022-05-05
申请号:PCT/KR2021/015400
申请日:2021-10-29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C12Q1/6883 , G01N33/68 , G01N33/569
Abstract: 본 발명은 이식수술을 받은 환자의 면역상태를 측정하여 면역조절제의 유효량을 판별 또는 예측할 수 있는 마커 세트 조성물진단 키트 및 면역조절제의 유효량을 판별 또는 예측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GDF15의 발현량 및 Th17 세포, Treg 세포, Th1 세포, CD19+B 세포, Breg 세포 및 plasmacytoid DC 세포의 세포수를 측정하여 면역조절제의 유효량을 판별하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MG15 유전체 플랫폼인, (1) STAT3 gene 관련 5개 유전자(GLUL (Glutamate-Ammonia Ligase), BCL2 (BCL2 apoptosis regulator), HIF1α (Hypoxia Inducible Factor 1 Subunit Alpha), FcrRIIb (Fc fragment of IgG receptor Iib), Foxp3 (Forkhead box P3)), (2) Mitochondria gene 관련 2개 유전자(TSPO (Translocator Protein), IRGM (Immunity-related GTPase family M protein)), (3) Necroptosis gene 관련 4개 유전자(NLRP3 (NLR family pyrin domain containing 3), CASP1 (Caspase-1), ZBP1 (Z-DNA-binding protein1), RIPK3 (Receptor-interacting serine/threonine-protein kinase3)), (4) Chemokine gene 관련 4개 유전자(CCL3 (Chemokine (C-C motif) ligand 3), CCR1 (C-C chemokine receptor type 1), CCR5 (C-C chemokine receptor type 5), CCL2 (C-C motif chemokine ligand 2))를 포함하는 면역 모니터링 진단 마커 세트는, 간 이식 환자에서 바이구아나이드 화합물 복용 전/후, 화합물 복용전/후 시점, 약물 감량 전/후 시점에 대한 면역 조절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의 개체 내의 면역상태를 손쉽고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환자 개개인에 대한 면역 상태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바, 관련 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2092508A1
公开(公告)日:2022-05-05
申请号:PCT/KR2021/010920
申请日:2021-08-18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이마와 후두부의 적어도 일부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환자의 전두부 및 후두부를 둘러싸는 밴드부, 환자의 이마와 인접한 밴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완충지지부, 환자의 이마와 인접한 밴드부에 고정되는 탈착부 및 밴드부에 탈착부를 고정시키고 밴드부 중 완충지지부의 양측에 위치한 밴드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탈착부는 마취 써킷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밴드부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취 써킷을 고정하기 위한 밴드를 제공한다. 도 1
-
公开(公告)号:WO2022060179A1
公开(公告)日:2022-03-24
申请号:PCT/KR2021/012846
申请日:2021-09-17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명세서는,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인식하고, 인식한 영상 정보와 텍스트 정보 중 하나를 미리 정한 데이터 포맷으로 환자 정보와 임상정보, 치료에 따른 변화추이 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환자정보와, 임상정보와 치료에 따른 변화 추이 정보를 포함하는 개인건강기록을 요청에 따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그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
公开(公告)号:WO2022050569A1
公开(公告)日:2022-03-10
申请号:PCT/KR2021/009527
申请日:2021-07-23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은 콧구멍에 착용될 수 있으며, 비강과 연통되는 출입공을 갖는 코마개 몸체; 및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시술 및 검사기구가 상기 출입공에 출입할 때,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시술 및 검사기구에 밀착하여 상기 출입공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마개에 관한 것이다.
-
公开(公告)号:WO2022045766A1
公开(公告)日:2022-03-03
申请号:PCT/KR2021/011371
申请日:2021-08-25
Applicant: (주)제이엘케이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으로 말초동맥 질환을 진단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인공지능 기반의 말초동맥 협착 진단 장치는 말초동맥이 포함된 진단영역의 혈관조영 영상을 기반으로 하는 말초동맥 영상을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부와,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획득된 상기 말초동맥 영상의 모션 변화에 기초하여 학습기반 서브 말초동맥 영상을 구성하는 보간영상 학습모델을 구비하며, 상기 보간영상 학습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말초동맥 영상에 대응되는 서브 말초동맥 영상을 생성하는 말초동맥 영상 보간부와, 상기 데이터 입력부 및 말초동맥 영상 보간부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확인하여 유의한 말초동맥 질환을 분석하는 말초동맥 영상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
公开(公告)号:WO2022031006A1
公开(公告)日:2022-02-10
申请号:PCT/KR2021/010232
申请日:2021-08-04
Applicant: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IPC: C12Q1/6883 , G01N33/68
Abstract: 본 발명은 골관절염 진단용 조성물 및 골관절염 진단을 위한 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관절염 환자 유래 유도만등 줄기세포를 연골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 MMP1 및 MMP10의 발현 및 세포 비대화 마커인 COL1A1, RUNX2, VEGFA와 ACAN 및 AQP1의 발현이 증가하고, 유리연골 마커인 COL2A1은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연골세포 비대화를 포함하는 골관절염, 특히 골관절염 조기 진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골세포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대부분의 바이오마커들의 발현양상이 변화하였으며, IL-6 및 AQP1의 발현은 증가하고, COL2A1, SOX9 및 COL1A1 발현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다양한 바이오마커들의 발현량 변화에 따라 골관절염의 진행 단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골관절염 진행 단계에 따른 적합한 치료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