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design evaluation of mobile devices using virtual reality based prototypes are provided to project design factors such as color, material, style, etc. in a high quality 3 dimensional model and to enable a user to evaluate and estimate the preference of design based on human sensibility ergonomics in real time. A CAD model storing unit(100) stores a 3 dimensional data model of a virtual mobile apparatus, and a component database selecting unit(110) selects data files and components of the virtual data model in the CAD model storing unit and takes the data files and components form the storing unit. A design factor setting unit(140) sets up design factors in the selected virtual mobile device data, and a 3D model visualizing unit(120) visualizes the setup virtual mobile device in a 3D model. A product operation controlling unit(150) simulates the operation and function of the visualized mode, and a design preference result display unit(130) provides the design preference result of the visualized and simulated virtual article.
Abstract:
본 발명은 PC 클러스터 기반 멀티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프로젝터에 의해 동기화된 영상을 스크린에 투영하기 위해 복수 컴퓨터의 작동과 응용프로그램을 일괄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프로젝터의 ON/OFF와 동기화된 영상 투영을 위해 프로젝터를 일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초고해상도 영상표현이나 몰입형 가상환경표현을 직관적이고 일괄적인 운용할 수 있다. PC 클러스터, 프로젝터, 응용프로그램
Abstract: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stituting a character by a teeth-clenching are provided to allow the serious disabled to communicate with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cell phone and a computer through a message by inputting the character through left and right clenching operations. In an apparatus for constituting a character by a teeth-clenching, an electromyogram signal obtaining unit(10) has an electromyogram sensor(100) which is placed at both sides and generates an electromyogram signal according to an activation of muscle during a clenching operation to clench teeth and a ground electrode(110) which supplies a standard voltage by being contacted with a human body. An electromyogram signal processing unit(20) outputs the relative characters generated through a selective input of the characters by recognizing a teeth-clenching pattern of each block, corresponding to the teeth-clenching operation including a teeth-clenching position, a teeth-clenching duration, and a teeth-clenching continual operation with respect to the electromyogram signal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electromyogram signal obtaining unit(10).
Abstract:
키보드 상의 문자배열을 구역별로 구분하여 화면상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문자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생체 신호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장치는 인간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검출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및 상기 추출한 특징정보에 대응되어 마련된 미리 정해진 매핑관계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명령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컴퓨터 환경을 통한 상대방과의 통신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의 의사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키보드 상의 문자배열을 구역별로 구분하여 화면상에 제공하고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따라 단계적으로 문자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생체 신호를 이용한 텍스트 입력장치는 인간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 상기 검출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특징정보를 추출하는 생체신호 측정부; 및 상기 추출한 특징정보에 대응되어 마련된 미리 정해진 매핑관계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로 변환하는 명령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종래의 마우스, 키보드와 같은 인터페이스의 사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컴퓨터 환경을 통한 상대방과의 통신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의 의사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핸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품의 생산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 가상 생산 시스템은 가상 생산 환경을 3차원 그래픽 화면으로 만들어 입체영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 주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가상 생산 환경을 변화시키는 시나리오를 기록한 스크립트를 해석하여 상기 가상 생산 환경 그래픽 화면을 갱신하는 가상 생산 그래픽 처리부;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는 핸드 인터페이스에 따라 손의 움직임과 관련된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핸드 인터페이스 처리부; 및 상기 가상 생산 환경과 상기 핸드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한 손의 움직임간의 인터랙션 처리를 수행하여, 상기 핸드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통해 사용자가 느끼게 할 반력 또는 압력을 계산하여 상기 핸드 인터페이스 처리부에 전달하는 가상 생산 상호작용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가상 생산 환경하에서의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
Abstract:
마우스 포인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각각에 대응하여 화면상의 일정 위치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 명령을 생성하며, 제1 신호 및 제2 신호가 동시에 발생하면 포인터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명령을 생성한다. 이로써, 두 개의 스위치만을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제어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안면근 신호를 이용하여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전의 안면근의 근전도를 검출하는 방법은 얼굴에 전극을 붙이는 등의 측정방법이 사용되어 이를 사용하면 실생활에 있어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불편을 없애기 위해 뇌파측정수단에 의해 안면근 근전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원격기기의 방향 등을 제어하는 방향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생체신호에서 안면근 근전도 특징만을 추출하고 지시하는 방향을 판단하여 방향지시신호를 출력하는 연산처리 수단은, 생체신호 데이터를 입력 받는 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데이터 수집단계에서 입력된 데이터로부터 특징점을 추출하는 데이타 분류 단계; 상기 데이터 분류단계에서 추출된 특징점에 대하여 필터링을 거쳐 안면근 근전도 신호만을 추출하는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 단계에서 필터링 된 안면근 근전도 신호를 정규화 시키는 정규화 단계; 상기 정규화 단계로부터 출력된 정규화된 안면근 근전도 신호로부터 지시하고자 하는 방향을 판단하는 방향판단 단계; 방향지시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장애자를 위한 휠체어와 같은 이동 및 방향제어 시스템에 응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TV와 선풍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ON/OFF 제어 등에도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개인별 뇌파 보정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뇌파 유발 자극을 기초로 생성되는 표준뇌파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데 이용된 상기 뇌파 유발 자극을 사용자에게 적용하여 뇌파를 측정한 후 상기 표준뇌파와 비교하여 그 차이가 소정의 유의수준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유의수준내에 존재하면 상기 측정된 뇌파를 보정하고, 상기 유의수준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의 뇌파 측정 및 차이를 측정하여 상기 유의수준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반복 판단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용자는 효과적으로 자신의 뇌파를 초기에 캘리브레이션하여 표준 뇌파 정보에 가까운 뇌파를 유발하여 효과적인 뇌파의 패턴 분류가 가능하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에서는 이렇게 분류된 뇌파를 이용하여 원하는 이벤트를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초기에 안정적인 뇌파 신호를 유발하게 함으로 적응 시간을 줄이고 표준 뇌파 정보에 근접한 뇌파 신호를 유발함으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
Abstract:
PURPOSE: A software framework for supporting a haptic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nd a computer game system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support the haptic interface on a Windows OS(Operating System) based computer game giving an experiencing effect by applying the haptic interface to the computer game without modifying a game engine. CONSTITUTION: A haptic game device class layer(41) represents a hierarchical framework of each target haptic game device generating a vibr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force-feedback by loading a preset haptic effect. A haptic effect class layer(42) generates/manages various haptic effect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A device COM(Component Object Module) object management class(43) manages the COM devices for collectively representing the device for the PC peripheral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