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항암제 내성 유방암에 대한 항암제 민감성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 진단키트, 진단 방법 또는 항암효과 증진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유방암 세포에서 LY6K의 발현을 억제하거나 miR-192-5p를 저해하면 타목시펜 등 항암제에 대한 민감성을 회복하게 되어 원활한 종양 치료를 도울 수 있다. 또한 유방암 세포에서 miR-500a-3p의 발현을 유도하거나 miR-500a-3p를 가하면 타목시펜 등 항암제에 대한 민감성을 회복하게 되어 원활한 종양 치료를 도울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자들은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의 후성적 변이와 그들의 기능적 관련성을 결정하기 위해 다낭신 및 비-다낭신 개체를 게놈 전체에서 무작위적으로 메틸화 프로파일링하여 분석하고 그들의 발현 데이타와 비교하였다. 흥미롭게도 이온전달 및 세포접합과 관련된 PKD1 및 다른 유전자들은 유전자 몸체 부분에서 과메틸화되었고, 그들의 발현은 다낭신에서 하향조절되었다. 특히, PKD1 은 다낭신 유전자 몸체 부분에서 과메틸화되었고 이것은 MBD2 (methyl-CpG-binding domain 2) 단백질 결합과 연관되어 있었다. 뿐만 아니라, DNA 메틸화 저해제 처리는 Pkd1 발현의 상향조절을 수반하며 MDCK (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의 낭포 형성을 지연시켰다. 따라서, 본 발명은 PKD1 과 낭포형성과 관련된 조절 유전자들의 과메틸화가 낭포 형성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함을 보여주며, 상염색체 우성 다낭신의 치료용도로 이용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열병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 에너지의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태양광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최소의 동력을 사용하여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열 에너지를 회수하여 활용할 수 있는 태양열병합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열병합발전 시스템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된 수조부, 태양광의 가시광선 영역 에너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전지셀이 구비된 태양전지모듈, 태양전지모듈에서 생성된 폐열을 전달받아 열교환 과정을 통해 수조부의 유체를 가온하는 열교환수단, 및 태양광의 반사를 위해 설치되는 반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만성간질환 진단용 바이오마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간 환자와 비알콜성지방간염 환자 사이에서 발현의 차이를 나타내는 유전자들을 바이오마커로 선별하기 위해, DEG(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기법을 통해 선별된 유전자들과 특징부 세트(feature set)로 선별된 유전자들을 추합하여 정밀도(accuracy)가 높은 CAPG, HYAL3, WIPI1, TREM2, SPP1, 및 RNASE6 유전자 세트를 선별하고, 환자군 기반의 데이터 임상모델에서 선별된 유전자 세트로 지방간 및 비알콜성지방간염을 높은 정확도로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CAPG, HYAL3, WIPI1, TREM2, SPP1, 및 RNASE6으로 구성된 유전자 세트를 만성간질환 및 비알콜성지방간염의 진단을 위한 바이오마커로 제공된다.
Abstract: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패치, 특히 금속-유기 골격체 및 실리콘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리콘 패치 및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는 인공 피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패치 및 인공 피부는 피부에 난 흉터에 부착 시 흉터 면적이 감소하는 등 상처 치유능이 있으며, 특히 금속-유기 골격체를 포함하지 않은 패치 또는 인공 피부를 부착한 대조군에 비하여 흉터 면적이 약 50% 정도로 감소하는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가 있어, 세포 재생 또는 피부 상처 치유용 패치, 특히 실리콘 패치로 활용 가능하고, 나아가 인공 피부로도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FOP의 원인으로 알려진 기존 ACVR1-R206H 돌연변이 외에 FOP 유사 표현형의 신규 사례로서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발굴하고 이를 골 형성 분화를 통한 골 질환 치료에 활용 가능한 기술과, 기존 ACVR1-R206H 돌연변이와의 결합 발현 시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골 형성 분화를 통한 골 질환 치료에 활용 가능한 기술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BMPR2(bone morphogenetic protein type 2 receptor)를 코딩하는 BMPR2 유전자의 376번째 자리의 아미노산이 글루탐산(E)으로부터 라이신(K)으로 돌연변이된 BMPR2-E376K 돌연변이체와, ACVR1(activin A type I receptor)을 코딩하는 ACVR1 유전자의 206번째 자리의 아미노산이 아르기닌(R)으로부터 히스티딘(H)으로 돌연변이된 ACVR1-R206H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돌연변이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BMPR2(bone morphogenetic protein type 2 receptor)를 코딩하는 BMPR2 유전자의 376번째 자리의 아미노산이 글루탐산(E)으로부터 라이신(K)으로 돌연변이된 BMPR2-E376K 돌연변이체를 포함하는 세포로부터 역분화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유청 발효 시 항비만 활성을 나타내는 수탁번호 KACC 81116BP의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KI13 균주; 상기 균주로 바이오컨버전(bioconversion)된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식품 첨가제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사료 조성물;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P. pentosaceus KI13 균주로 바이오컨버전된 유청 발효물은 췌장 리파아제 활성 억제, α-아밀라아제 및 α-글루코시다아제 활성 억제, 비만세포 분화 억제를 통해 체중 증가율을 감소시키고, 간 등의 장기 및 지방 조직에서 비만 및 염증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비만 및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생체에 주입되어 항암 물질을 생성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장치는 외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외부 신호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전기 에너지 변환 모듈, 상기 전기 에너지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생체 내부의 체액에 전기분해를 일으키는 적어도 하나의 전극 쌍 및 상기 전기 에너지 변환 모듈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기분해에 의한 부산물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 모듈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