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메모리시스템은메모리컨트롤러, 제1 메모리모듈및 제2 내지제k 메모리모듈들(k는 3 이상의자연수)을포함할수 있다. 상기제1 메모리모듈은제1 메모리버스를통하여상기메모리컨트롤러와직접적으로포인트-투-포인트방식으로연결되며제1 데이터를상기메모리컨트롤러와교환할수 있다. 상기제2 내지제k 메모리모듈들은제2 메모리버스를통하여상기제1 메모리모듈과멀티-드롭방식으로연결되며, 제2 데이터를상기제1 메모리모듈을통하여상기메모리컨트롤러와교환할수 있다.
Abstract: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컨트롤러로부터 코맨드 및 액세스 어드레스를 수신하고, 액세스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선택 데이터, 비선택 어드레스에 상응하는 비선택 데이터 및 독출 패리티 데이터를 포함하는 독출 코드 워드를 메모리 장치 내의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 독출한다. 메모리 장치 내의 에러 정정 회로를 통해서 독출 패리티 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 데이터 및 비선택 데이터에 대한 에러 정정을 수행하여 정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패리티 셀 블록의 효율적인 사용은 패리티 셀 블록이 메모리 장치의 칩 면적에서 차지하는 오버헤드를 감소시켜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이 가능하다.
Abstract: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중에, 제2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이 표시되는 영역을 제1 영역에서 제2 영역으로 전환하여 표시하고, 제2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영역에 표시하는 어플리케이션 표시 방법이 개시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빔 형성기 및 빔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의 손실을 줄이고 전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빔 형성기 및 빔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빔 형성기는, 입력 신호를 다수의 경로로 분배하는 다수의 디바이더; 및 다수의 기판이 적층된 다층 구조를 가지며, 각각의 기판에는 디바이더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흐르는 전송 선로가 여러 개 형성되고, 전송 선로의 길이에 따라 전송 선로를 흐르는 신호의 위상을 변화시키는 위상 천이기;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빔 형성 장치를 단순한 구조로 만들 수 있고, 신호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이중 편파 또는 가변 빔 폭을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빔 형성기(Beamformer), 디바이더(Divider), 다층 기판(Multi-layer), 이중 편파(Dual-Polarization), 가변 빔 폭(Variable Beamwidth)
Abstract:
본 발명은 EBG(Electromagnetic Bandgap)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을 통한 전자기파의 누설 손실을 줄이기 위해 중심 신호선에 비아(via)와 플레이트(plate)를 기판과 이격시켜 주기적으로 형성한 오버레이(overlay) EBG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라인에서 연장된 비아 및 플레이트가 기판과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 형성되었기 때문에 전송라인을 통과하는 전자파가 기판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비아 및 플레이트의 수치를 조절하여 특이적인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추가적인 공정 없이 기존의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EBG(electromagnetic band gap), CPW(coplanar waveguide), 전송라인, 플레이트(plate), 비아(via), 고주파.
Abstract: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ouch screen and a control method are disclosed.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setting a plurality of window display spaces for displaying windows for executing applications respectively on the touch screen; displaying a launcher application, for displaying at least one icon to execute the application, on one among the window display spaces; inputting a new application executing command in the launcher application to execute the new application; and displaying a new window for executing the new application on one among remaining window display spaces except the window display space for displaying the launcher application based on the new application executing comm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