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adhesion of a railroad car in a steep slope section, which comprises: auxiliary wheels which are mounted in wheels of a railroad car; and auxiliary tracks which are installed in a steep slope section of a railroad in order to be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wheels. Therefore, the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adhesion of a railroad car can increase the adhesion of a railroad car in a steep slope section and can minimize the damage to steel wheels and a railroad by integrating auxiliary rubber wheels with the outer side of the steel wheels of the railroad car and adopting a method for installing concrete auxiliary tracks only in the steep slope section of the railroad in order to be in contact with the auxiliary rubber wheel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estimating a radius of the curvature of a curved section by using the numbers of the rotation of left-right vehicle wheels which includes a vehicle wheel rotation number measuring step which measuring the number of the rotation of inner and outer wheels of a railway vehicle with a wheel rotation number measuring member; and a curvature radius estimating step of estimating the curvature by substituting the rotation number measured by the vehicle wheel rotation number measuring member into a curvature radius estimating formul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perties of a curved line are measured on a real time basis when the railway vehicle is driven on the curved section as the number of the rotation of the inner and outer wheels of the railway vehicle can be measured so that the properties of the curved lin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curved line sensing and curvature radius estimating method for improving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railway vehicle. [Reference numerals] (130) Signal process member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대차간 상대변위를 이용한 철도차량용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도차량용 대차프레임에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토션바와; 상기 전방 토션바의 좌측 및 우측에 상하 대칭으로 연결되어 전방 좌측 및 우측 액슬박스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조향링크와; 상기 후방 토션바의 좌측 및 우측에 상하 대칭으로 연결되어 후방 및 좌측 및 우측 액슬박스에 각각 연결되는 제3 및 제4조향링크와; 상기 전방 토션바의 우측 및 후방 토션바의 좌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연결링크와; 상기 제1 및 제2연결링크의 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볼스터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자기조향방식의 미흡한 조향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륜과 궤도간 횡압을 저감하고 공격각을 저감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시험대를 이용한 관절대차의 주행안정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관절대차에 대한 주행을 모사할 수 있는 주행시험대와; 상기 관절대차에 연결되는 부수 차체 및 부수 반차체와; 상기 부수 차체의 후방 경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후방 경계조건 설정수단과; 상기 부수차체의 후방에 연결되어 차량의 주행방향 거동을 구속하기 위한 주행방향 구속수단과; 상기 부수 반차체의 전방을 구속하는 전방 구속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절대차를 주행시험대 상에서 시험이 가능하므로 관절대차를 주로 사용하는 고속철도차량의 주행안정성을 시험할 수 있어 동력객차 대차 등 단부대차만을 이용한 시험에서 관절대차에 대한 시험으로 확장하여 고속철도차량의 좀 더 정확한 주행안정성 시험 및 평가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시험대를 이용한 철도차량의 승차감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승차감 시험을 위한 시험대차에 대한 주행을 모사할 수 있는 주행시험대와, 상기 시험대차에 연결되어 승차감을 평가받기 위한 시험차체와, 상기 시험차체의 후방에 진동특성을 모사하는 진동모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험차체의 후측에 후방대차의 진동특성을 모사함으로 인해 차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실제 선로와 매우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어, 신규 철도차량 개발시의 시제차량 및 노후차량의 승차감 성능시험을 실제 선로에서 주행하지 않고서도 실내에서 가능하게 하여 승차감 시험을 위한 시간과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리브와 상기 리브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가볍고 변형이 쉬운 포상물질로 이루어지는 채움재와, 상기 채움재의 외부면에 구조적인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화섬유로 이루어지는 프리폼을 이용해 일체로 형성되는 스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와; 그와 같은 철도차량 대차프레임용 종축지지대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축지지대를 이루는 채움재에 굽힘 하중에 저항하기 위한 섬유강화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리브가 다수 포함되고, 그 외부에 복합소재로 이루어지는 스킨을 더 구비함으로서 구조 강도적인 측면에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철도차량, 대차프레임, 종축지지대
Abstract:
PURPOSE: A steer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a vehicle frame and a bogie is provided to improve insufficient steering performance of a self steering mode, to reduce lateral force between wheels and railroads, and to reduce attack angles. CONSTITUTION: A steering device for a railway vehicle using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a vehicle frame and a bogie comprises front and rear distortion bars(110,120), first and second steering links(130,132), third and fourth steering links(140,142),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150,152), and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160,162). The front and rear distortion bars are installed in a bogie frame for a railway vehicle. The first and second steering link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distortion bar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front left and right axle boxes(340,342). The third and fourth steering links are symmetrically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ar distortion bar to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rear left and right axle boxes(344,346).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distortion bar and the left side of the rear distortion bar.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ink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lster brackets.
Abstract:
PURPOSE: An induction power collecting apparatus for a high capacity electric vehicle for reducing core loss and an induction power feeding system are provided to compensate a reduction in a magnetic flux inter-linkage amount while using a low frequency by reducing leakage magnetic flux in a magnetic flux inter-linkage surface of an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thereby supplying low frequency power to the induction power feeding system or induction power collecting apparatus. CONSTITUTION: An induction power feeding part(10) includes an induction power feeding body(11) and is installed on a line. The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is coiled by a power feeding line in order to compensate an amount of mutual inductance attenuation according to a frequency reduction when a power source is replaced to a low frequency power source from a high frequency power source. An induction power collecting body generates electromotive force corresponding to the mutual inductance of the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A power collecting part(20) comprises the induction power collecting body. The induction power collecting body or induction power feeding body are manufactured with amorphous or nano-crystalline core.
Abstract:
PURPOSE: A side frame for a bogie frame of a railroad car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secure the reliability in structural strength of a side frame by forming a plurality of ribs and skin on a filler. CONSTITUTION: A side frame for a bogie frame of a railroad car comprises a filler(110) and a skin. The filler comprises a plurality of ribs(112) made of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and a foam material(116) which fills up in gaps between the ribs. The skin is integrally formed on the exterior of the filler using a reinforced fiber preform, thereby securing structural strength.
Abstract:
본 발명은 센터 피봇 요운동을 이용한 철도차량용 조향대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곡선구간 주행시 발생하는 센터 피봇의 요방향 변위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을 조향함으로써 철도차량의 곡선구간 주행시 레디얼 조향(radial steering)을 추종하고, 곡선반경에 의한 레일과 차륜 사이의 공격각(attack angle)을 저감하며, 차륜과 궤도 사이의 횡압을 저감시킬 수 있는 센터 피봇 요운동을 이용한 철도차량용 조향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용 조향대차에 있어서, 철도차량의 주행시 발생하는 센터 피봇의 요방향 변위를 이용하여 철도차량을 조향하는 조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철도차량, 조향대차, 센터피봇, 요운동, 구동장치, 조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