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디지털 홀로그래피에서 퓨리어 변환과 제거함수를 이용한 0차 회절광의 제거방법에 대해 개시한다. 본 발명은 퓨리어 변환, 역퓨리어 변환 그리고 퓨리어 변환 공간에서 새로이 도입한 제거함수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입력받는 물체와 참조광의 간섭무늬를 계산의 방법을 통하여 0차 회절광이 제거된 수치적 실상을 재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0차 회절광을 제거함으로써 0차 회절광 영역의 대상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영역으로 본 발명을 확장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모드 간섭형(Multi-Mode Interference : MMI) 구조 및 자기 광학 물질로 이루어진 클래딩층 이용하여 광 진행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반사광들을 제거하고 단길이 집적화가 가능한 MMI 구조의 집적 광 아이솔레이터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광학적 성질들이 변화하는 비가역적 위상변위 효과를 이용한다. 광도파로 형태의 광 아이솔레이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입력되는 광을 동일한 파워를 가지는 두개의 광도파로로 나눠야 한다. 즉, 광 아이솔레이터 소자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입력광을 두개의 도파로로 분리하는데 필요한 길이가 짧아져야 한다. MMI 구조의 광도파로는 입력광을 두개의 도파로로 나누는데 필요한 길이가 마하 젠더 형태의 광도파로보다 훨씬 짧기 때문에 광 아이솔레이터 소자의 길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MMI 구조는 제작상의 허용오차가 크므로 제작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Abstract:
PURPOSE: A watermark embedding method for a digital image by area division is provided to protect the CONSTITUTION: A watermark embedding method for a digital image by area division includes the steps of extracting a region of high semantic importance by region segmentation of an original image(1,2), embedding encoded watermark information to the extracted region(3), segmenting a partial region in which a user is interested in from the image in which the watermark is embedded(4), synthesizing the segmented partial area with a certain background image(5,6), and extracting the watermark from the synthesized image(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