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명세서에는 PROX1(prospero homeobox protein 1)과 텔로머라제 역전사효소(TERT;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TERT의 발현 조절용 조성물, TERT 발현 조절제의 스크리닝 방법, TERT 발현 상태 진단용 조성물, 진단용 키트,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또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PROX1은 TERT 프로모터, 특히 -124 또는 -146bp 위치에 염기의 치환이 발생한 돌연변이 TERT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TERT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고, 간암 중에서도 비-B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간암 내 TERT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TERT의 발현 조절용 조성물, B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간암 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PROX1(prospero homeobox protein 1)과 텔로머라제 역전사효소(TERT;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의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TERT의 발현 조절용 조성물, TERT 발현 조절제의 스크리닝 방법, TERT 발현 상태 진단용 조성물, 진단용 키트,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 방법 또는 암 진단을 위한 정보제공방법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PROX1은 TERT 프로모터, 특히 -124 또는 -146bp 위치에 염기의 치환이 발생한 돌연변이 TERT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TERT의 발현을 조절할 수 있고, 간암 중에서도 비-B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간암 내 TERT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TERT의 발현 조절용 조성물, B형 간염 바이러스 유래 간암 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등을 포함한 다양한 의생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대장균에서 외래단백질의 세포밖 분비 효율 향상을 위한 신호서열 펩티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신호서열 펩티드의 C-말단에 연결된 외래단백질로 구성되는 재조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대장균에서 상기 외래 단백질의 세포밖 분비 효율 향상을 위한 유전자 컨스트럭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재조합 단백질의 세포질 밖으로의 분비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에서 단백질의 과발현을 유도하는 신규 프로모터 HASP1, 상기 발현된 단백질의 분비를 유도하는 신규 단백질 분비서열인 신호 펩타이드 HASP1-SP, 상기 HASP1 및 HASP1-SP를 포함하는 발현벡터, 발현벡터가 숙주세포에 도입된 형질전환체, 상기 형질전환체를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 단백질의 생산방법, 상기 발현벡터를 숙주세포에 형질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목적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발현벡터를 숙주세포에 형질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 Phaeodactylum tricornutum )에서 단백질의 과발현을 유도하는 신규 프로모터 HASP1, 상기 발현된 단백질의 분비를 유도하는 신규 단백질 분비서열인 신호 펩타이드 HASP1-SP, 및 상기 HASP1 및 HASP1-SP를 포함하는 발현벡터를 이용하여 재조합 단백질의 생산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는 강력한 유전자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산채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산마늘( Allium microdictyon Prokh) 및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Rup. var. schnenkii) 추출물은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 프로스타글란딘 E 2 (PGE 2 ) 생성 억제 활성을 동시에 보유하여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사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산채류, 산마늘, 고광나무, 염증질환, 항염증, 질소산화물, 프로스타글란딘
Abstract:
PURPOSE: A processing method for sea cucumber byproducts is provided to have excellent industrial availability by utilizing water which is generated in a sea cucumber boiling process and discarded in a conventional method. CONSTITUTION: A processing method for sea cucumber water generated in a sea cucumber boiling process includes a step of obtaining butanol fractions by adding butanol in sea cucumber water generated in a sea cucumber boiling process. The sea cucumber water is the dry material of sea cucumber water. The processing method includes a step of obtaining butanol fractions by adding butanol in sea cucumber water after water is added in the dry material of sea cucumber. The processing method adds 10-30g of the dry material of sea cucumber water about 1L of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국화과 산채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멸가치(개머위, Adenocaulon himalaicum ) 또는 참쑥( Artemisia
dubia )의 추출물 또는 분획물은 암 예방 지표효소(marker enzyme)인 퀴논 리덕타제(Quinone reductase, QR)와 항산화반응인자(antioxidant response element, ARE)를 비롯한 간의 해독효소 활성을 증진시키며, 또한 세포독성이 없어 암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멸가치 (개머위, Adenocaulon himalaicum), 참쑥 (Artemisia dubia), 퀴논리덕타제(Quinone reductase, QR), 항산화반응인자(ARE)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쌍발 디크티오프테리스( Dictyopteris divaricata ), 고리매( Scytosiphon
lomentaria ) 및 패( Ishige
okamurae ) 추출물은 질소산화물(NO) 생성 억제, 프로스타글란딘 E 2 (PGE 2 ) 생성 억제, 유도성 질소산화물 합성효소(iNOS) 발현 억제, 프로스타글란딘 E 2 생산 효소인 사이클로옥시제나제-2(COX-2) 발현 억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루킨-1β(IL-1β), 종양괴사인자-α(TNF-α) 발현 억제 및 전염증성 인자의 전사 조절 단백질인 핵인자-κB(NF-κB)의 저해 단백질인 IκB 분해 억제 등의 활성 중 적어도 4가지 이상의 활성을 동시에 보유하여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효과를 나타내며,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염증관련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기능성 사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쌍발 디크티오프테리스(Dictyopteris divaricata), 고리매(Scytosiphon lomentaria), 패(Ishige okamurae),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질소산화물, 프로스타글란딘, 질소산화물 합성효소, 인터루킨-1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