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실리콘 함유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그 제조 방법 및 용도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실리콘 함유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은 내부 및 표면에 실리콘을 함유한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의 표면에, 상기 박막 표면에 존재하는 탄소 및 규소 원자와 상기 박막의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원자 (A) 사이의 화학 결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재질의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식품용기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나노구조체; 및 상기 나노구조체가 형성된 상기 표면 상측으로 코팅되는 제 1소수성박막; 을 포함하는 나노구조의 소수성 표면을 갖는 식품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수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가스차단능력을 보유할 수 있는 나노구조의 소수성 표면을 갖는 식품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with improved oxygen barrier properti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food container with improved oxygen barrier properties comprises a plastic container; a thin buffer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 thickness of 5-30 nm; and a thin oxygen blocking film formed on the thin buffer film. The present invention can highly increase oxygen barrier properties by depositing the thin oxygen blocking film on the porous plastic container having low surface energy through a plasma method without breaking.
Abstract:
A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porous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preparing step of preparing a substrate; and a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the nanoporous material forming the network by nano clusters connected to each other by using plasma vapor deposition having 300 mTorr or more of the deposition pressure on the substrate. By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a nanoporous material, which forms a porous material having the pore distributed to the surface and inner part of the material by one deposition process, and has the intended surface energy without the need to form an additional coating layer, can be manufactured.
Abstract:
본 발명은 초소수성 및 친유성 표면을 갖는 구조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분자 표면체는, 표면에 고종횡비 나노 구조들을 포함하고, 상기 고종횡비 나노 구조의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내지 100이고, 상기 고종횡비 나노 구조 상에 소수성 박막을 포함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고분자 표면체의 제조방법은, 고분자를 표면 개질 처리하여 폭에 대한 높이의 비율이 1 내지 100인 고종횡비 나노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 구조들을 포함하는 표면에 소수성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Abstract:
PURPOSE: A superhydrophobic/lipophilic surface structure including high aspect ratio nano-structur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be used as effective material for separating water from oil. CONSTITUTION: A superhydrophobic/lipophilic surface structure includes nano-structures at high aspect ratio. The ratio of height to width of the nano-structures at high aspect ratio is 1-100. A hydrophobic thin film is included on top of the nano-structures at high aspect ratio.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uperhydrophobic/lipophilic surface structure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surface treating the polymer in order to form the nano-structures having the ratio of height to width is 1-100; and forming the hydrophobic thin film on top of the surface including nano-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나노 엠보패턴 표면을 갖는 고분자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PDMS(polydimethylsiloxane)과 같은 고분자 표면에 탄소 나노박막(DLC)을 증착하여 고분자 표면에 나노 엠보(embossing)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 탄소 나노 엠보패턴 표면을 갖는 고분자 소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고분자 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PDMS를 포함하는 다양한 고분자 재료 표면에 탄소 나노 박막 증착을 이용하여, 탄소 나노 엠보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얼룩방지, 미끄럼 방지, 내마모성 및 색상이 향상된 고분자 소재를 제조함으로써, 자동차용 내외장재, 인공혈관, 바이오칩 및 각종 전자제품 내외장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분자 재료 상부에 형성되는 엠보패턴을 조절할 수 있어, 디자인적 자유도가 향상되어 각종 내외장재 등의 고급화 및 기능적 측면의 향상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적합성이 향상된 실리콘 함유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및 표면에 실리콘을 함유한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의 표면에, 상기 박막 표면에 친수성을 부여하는 원자 (A)가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박막의 표면에 C와 A의 결합 및 Si와 A의 결합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적합성이 향상된 실리콘 함유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의료용 재료를 제공한다. 실리콘 함유 다이아몬드상 카본 박막, 표면 개질, 플라즈마, 산소, 친수성
Abstract:
PURPOSE: Plastic with nano-embossed surfaces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sure resistances of plastic against stains by static electricity, slip, and scratch. CONSTITU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having nano-embossed surfaces is as follows. Ion beams are irradiated on the surfaces of a polymer material within a vacuum chamber while controlling the irradiation time and the magnitude of acceleration voltage so that a nano-size embossing pattern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olymer mate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