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래디언스(Radiance)와 같은 렌더링 시스템을 통해 얻어진 렌더링 결과를 이용하여 가상 공간에 대한 HDRI를 생성하도록 하는 가상 HDR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상 HDR 카메라의 촬영에 필요한 파라미터들을 설정하는 촬영 파라미터 제어 모듈과, 상기 설정된 촬영 파라미터 값들을 통해, 렌더링된 영상과 파라미터 값들을 제어 관리하는 제어 및 관리 모듈과, 상기 제어 및 관리 모듈로부터의 렌더링 결과 영상 및 촬영 파라미터 값들을 통해 가상 공간에 대한 HDRI를 생성하는 HDRI 생성 모듈과, 외부 툴 및 렌더러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툴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된다.
Abstract:
PURPOSE: A three dimensional VR(Virtual Reality) implementing client system and method is provided to process the X3D(eXtensible 3 Dimension) data, transmitted by a server, to display the processed data, and to reprocess a three dimensional VR screen according to an event, generated in the VR. CONSTITUTION: The client system comprises an applet(110), a communication module(130), a browser(140), and an ASP(Active Server Page) support module(120). The applet(110) enables the client system to communicate the X3D data with a server. The communication module(130), connected to the applet(110), makes possibl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system and the server. The browser(140) parses the X3D data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module(130) by the server, constructs a scene graph, renders the scene graph according to a preset type, and displays the rendered scene graph on a display. The ASP support module(120) processes the data, transmitted by the server, on an external window according to a user event, generated in the VR implemented by the browser(140).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모델에 대한 비사실적(Non-photorealistic) 효과를 위한 확장성 있는 스타일 구조를 기반으로 하는 렌더링 프레임워크의 구성 시스템 및 이러한 프레임워크의 구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워크의 구성 시스템은, 3D 모델에 대한 입력을 3D 데이터로 변환하여 장면그래프를 구성하고, 상기 장면그래프를 점, 면, 에지로 구조화하여 최적화하는 3D 모델 데이터 처리 수단, 상기 장면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3D 모델의 내부를 칠하기 위한 브러셔를 선택하는 내부칠하기 수단, 상기 장면그래프를 이용하여 3D 모델에 대한 라인정보를 추출하여 관리하는 라인그리기 수단, 내부칠하기와 라인그리기의 2가지 렌더링 방식에 동일하게 적용할 상기 3D 모델에 대한 렌더링 스타일을 생성하여 스트로크로 저장하는 스타일 표현 수단, 상기 각 수단의 상태 및 하기의 렌더링 수단의 상태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상태관리수단 및 상기 생성된 렌더링 스타일이 저장된 스트로크와 상기 선택된 브러셔를 결합하여 상기 내부 칠하기와 라인그리기의 2가지 렌더링 방식을 동시에 적용하여 렌더링하는 렌더링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비사실적 렌더링 및 애니메이션을 위한 툴 개발 및 새로운 비사실적 렌더링 스타일의 개발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스타일 기반 통합 프레임워크, 스트로크(Stroke), 브러셔(Brusher), 비사실 적 렌더링 및 애니메이션
Abstract:
A system and a method for mosaic-rendering a 3-dimensional model are provided to map texture pieces to meshes one to one by using the 3-dimensional model to generate a realistic mosaic image. A system for mosaic-rendering a 3-dimensional model includes an input module(100), a texture generation module(200), a mapping module(300), and a rendering module(400). The input module inputs the 3-dimensional model. The texture generation module generates a texture by using polygon information of the inputted 3-dimensional model. The mapping module maps the generated texture to each polygon of the 3-dimensional model by using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3-dimensional model. The rendering module renders the mapped mosaic imag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실험 영상에 대하여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 및 분석을 통해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에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실제 영상에 적용하여 사실감 예측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실험 영상에 대하여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을 수행하고 그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예측모델 생성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실험 영상에 대하여 상기 예측모델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영상 사실감을 예측하고 그 예측결과를 관찰자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예측모델 검증 수단; 및 실제 평가 영상(실제 영상물)에 대하여 상기 예측모델 검증 수단에서 검증한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사실감 예측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사실감 예측모델 적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예측모델 생성 수단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제1 실험 영상에 대하여 영상 변환을 수행하여 관찰자 실험에 사용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변환부; 상기 영상 변환부로부터 입력받은 변환 영상에 대하여 사실감 예측모델 생성을 위한 관찰자 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관찰자 실험부; 상기 관찰자 실험부로부터 입력받는 실험결과 데이터를 컬러 과학적 분석 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사실감 예측모델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실험결과 분석부; 및 상기 실험결과 분석부로부터 입력받는 실험결과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사실감 예측모델 생성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털 애니메이션, 디지털 영화, 디지털 방송, 광고, 또는 출판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분야 등에 이용됨. 영상 사실감 예측,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 사실감 예측모델, 생성, 검증, 적용
Abstract:
본 발명은 비사실적 렌더링 분야 중 3D 모델을 만화적으로 표현하여 렌더링하는 방법인 카툰 렌더링에서 셀 쉐이딩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카툰 렌더링에서 셀 쉐이딩의 특징은 모델을 간략화, 평면화하여 만화처럼 표현하는 것이다. 그런데 만화 이미지는 물체를 단순화하기도 하지만, 특징적인 모양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하여 표현하는 게 필요한 경우도 있다. 기존의 카툰 렌더링에서는 빛의 위치와 모델 정점의 노멀값을 가지고 빛의 받는 양으로부터 색깔을 결정짓기 때문에 물체의 모양을 고려할 수 없고, 사용자가 간략화되는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카툰 렌더링 효과 표현을 위한 렌더링 방법에 있어서, 정점의 칼라값을 결정할 때 기존의 셀쉐이딩에서 빛의 위치에 따라 정점의 노멀값을 가지고 빛의 양을 계산하여 이를 이용하였다면, 본 발명에서는 노멀값 뿐만 아니라 기하학적 속성 등을 이용, 사용자로부터 이의 반영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정점의 칼라값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쉐이딩 방법은 에니메이션 제작 혹은 게임 등에서 사용될 수 있다. 비사실적 렌더링, 카툰 렌더링, 툰 쉐이딩, 기하학적 척도, 곡률
Abstract:
A shape-based cartoon rendering method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control a parameter which considers the shape of an object in Toon shading to produce a real-time cartoon rendering tool which is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n object. Gaussian curvature and mean curvature which are geometrical attributes representing the shape of an object are obtained for each vertex. The obtained Gaussian curvature and mean curvature are analyzed to extract a parameter suitable for a user interface. The position of the object is re-computed through a parameter inputt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extracted curvatures. A normal value for each vertex is re-compu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on shading is applied to render the object by using the normal value without changing vertex position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시간 전역조명 효과를 위한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렌더링 방정식을 주파수 공간에서 정의하여 사용하고, 또한 실세계 조명 정보 및 물체 표면의 반사 속성 데이터를 이용함으로써, 3차원 물체에 사실적인 전역조명 효과를 실시간적으로 줄 수 있게 하는, 실시간 전역조명 효과를 위한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전역조명 효과 표현을 위한 렌더링 장치에 있어서, 전방향에 대하여 조명의 방향이 될 조명 샘플을 생성하여 각각 조명 샘플에 대하여 구면 하모닉 기초(Spherical Harmonics Basis) 함수를 생성하기 위한 구면 하모닉 처리 수단; 상기 구면 하모닉 기초 함수를 이용하여, HDRI 영상의 조명 정보(Radiance)를 구면 하모닉 조명 계수로 변환하기 위한 조명 모델링 수단; 상기 구면 하모닉 기초 함수를 이용하여, 전역 조명 모델을 위한 조명 정보(Radiance)의 전달 특성을 나타내는 가시성 및 기하 항(Geometric Term)에 대한 계수를 미리 계산하는 래디언스 전달 처리 수단; 물체 표면의 반사 속성 정보(BRDF) 데이터를 자료 구조화한 후, 스무딩 과정을 통하여 BRDF 데이터의 계수를 구하는 BRDF 처리 수단; 및 상기 구면 하모닉 조명 계수, 상기 가시성 및 기하 항(Geometric Term)에 대한 계수, 및 상기 BRDF 데이터 계수를, 벡터의 도트 프러덕트로 표현된 렌더링 방정식에 적용함으로써 렌더링을 수행하는 렌더링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실시간 전역조명 효과 표현을 위한 렌더링 등에 이용됨으로써, 게임과 같은 분야에 사용될 수 있음. 전역조명, 렌더링, HDR, 조명정보, BRDF, 구면 하모닉 기초 함수, 파라볼릭 맵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producing virtual reality are provided to easily produce virtual reality from a two-dimensional image. CONSTITUTION: A virtual reality producing system includes an image-based modeling unit(100) and an image-based rendering unit(200). The image-based modeling unit models a three-dimensional virtual object including color information using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images capture by a camera. The image-based modeling unit includes an image capture module(110), a camera calibration module(120), and a modeling module(130). The image-based rendering module provides an image-based rendering function and a model processing function and supports a user interface. The image-based rendering module includes a high dynamic range image analysis module(210), a rendering module(220), and an extended VRML node processing module(230).
Abstract:
인간이 페인트를 하는 방식은 사물에 대한 예리한 관찰, 그리고 붓과 재료를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또한 자신의 기술을 정확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경험이라는 요소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화가가 원하는 의도(intention)에 반하는 에러가 일어나게 되지만 오히려 이것이 바로 회화가 사진과 다른 부분이며 그 아름다움의 핵심이기도 하다. 인간이 사진과 같이 원하는 대로 그릴 수 없는 메커니즘, 이 제한(limitation)은 창조적 작품을 만드는 시발점이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의 에러를 재현하는 알고리즘과 스트로크 데이터 수집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객과 상호반응적인 전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주로 실험한 결과물은 근대 오일 페인팅 스타일 렌더링이지만 이 알고리즘의 입력데이터와 에러의 종류에 대한 변형으로 이후 매우 다양한 페인팅 스타일을 실험해 볼 수 있는 근본프레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사진, 페인팅, 회화, 렌더링, 전시시스템, 스트로크, 에러발생 포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