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extracting a foreground layer in an image sequence are provided to automatically track a layer area in subsequent frames through user's setting in a start frame in the image sequence in which the depth values of the foreground and the background are discontinuous, thereby extracting the foreground layer area in which the drift phenomenon and the flickering phenomenon are reduced. CONSTITUTION: An image sequenc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an original image sequence photographed by a camera. An initial area designating unit (120) designates a plurality of control points on a contour of a layer area in image data for each frame based on a selection input. A layer area tracking unit (130) generates a foreground layer area by connecting the designated control points and tacks the generated foreground layer for each frame. An alpha map generating unit (150) connects respective control point coordinates by a curve generation scheme in all frames in which the layer area is tracked, and generates an alpha map by determining an internal area as the layer area. [Reference numerals] (110) Image sequence receiving unit; (120) Initial area designating unit; (130) Layer area tracking unit; (140) Post processing unit; (150) Alpha map generating unit
Abstract:
PURPOSE: A stereoscopic image pre-visualization device is provided to offer a simulation result minimizing visual fatigue about a modified and produced part by generating production information about a part difficult to produce when producing a stereoscopic image through a stereoscopic free biz in a pre-production stage and comparing difference from pre-visualization in an image production process. CONSTITUTION: A visual fatigue adjustment unit(110) adjusts visual fatigue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cene according to a scenario or a continuity. A depth information generation unit(120) generates depth value information to be reflected in a stereoscopic image related to the scene using the adjusted visual fatigue. A stereoscopic image pre-visualization unit(130) performs a pre-visualization of the stereoscopic image an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ereoscopic image using the generated depth value information. [Reference numerals] (110) Visual fatigue adjustment unit; (120) Depth information generation unit; (130) Stereoscopic image pre-visualization unit; (140) Power supply unit; (150) Master control unit; (160) Stereoscopic set-up unit; (170) Stereoscopic simulation unit
Abstract:
PURPOSE: A three-dimensional image producing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minimizing the visual fatigue from three-dimensional images are provided to use human factor elements as a guide based on quantified data for produc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s. CONSTITUTION: A three-dimensional image producing system comprises the following: a human factor information unit(10) generating guide information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images based on elements generating the visual fatigue from the three-dimensional images; and a three-dimensional image producing unit(20) applying the obtained guide information to three-dimensional image data inputted for produc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s, and producing the three-dimensional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맵데이터를 이용한 간접조명과 다층 변위매핑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맵데이터를 이용한 간접조명 표현과 다층 변위매핑 시스템 및 방법에 있어서, 간접조명 표현을 위해 조명맵 데이터와 객체 상세 표현을 위해 다층 변위매핑을 활용하고, 맵데이터를 GPU 등의 대용량 그래픽 데이터 처리 프로세서를 이용함으로써 렌더링 속도를 향상시키고, 장면을 구성하는 각 객체에 대한 간접조명 표현과 상세 표현을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다. 맵데이터, 맵전처리, 맵연산, 간접조명, 다층 매핑, 다층 변위맵, 광원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실존 물체의 원본 이미지(또는 영상)들로부터 그 물체의 표현 특성을 획득하고, 그 특성을 이용하여 그 물체에 대한 사실적인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원본 실사 영상 획득에 이용될 장치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장치 특성 추출수단; 상기 이미지 센싱 장치 특성 추출수단을 통해 특성이 구해진 장치를 이용하여 실존 물체의 원본 실사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원본 실사 영상으로부터 물체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물체 특성 추출수단; 및 상기 물체 특성 추출수단을 통해 추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현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주로 디지털 콘텐츠 생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예로써 문화재의 재현, 모델 하우스 재현, 영화 및 광고상의 실존 물체 재현 등에 이용됨. 양방향 반사율 분포 함수(BRDF), 분광정보(spectral information), 텍스쳐 맵핑(texture mapping), 실사 영상(photographic image), 사실적인 영상(photorealistic imag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실존 물체의 원본 이미지(또는 영상)들로부터 그 물체의 표현 특성을 획득하고, 그 특성을 이용하여 그 물체에 대한 사실적인 합성 영상을 생성하는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을 이용한 실존 물체 이미지 재현 시스템에 있어서, 원본 실사 영상 획득에 이용될 장치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이미지 센싱 장치 특성 추출수단; 상기 이미지 센싱 장치 특성 추출수단을 통해 특성이 구해진 장치를 이용하여 실존 물체의 원본 실사 영상을 획득하고, 그 영상으로부터 물체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물체 특성 추출수단; 및 상기 물체 특성 추출수단을 통해 추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상황에 맞게 정확히 해석하여 사실적인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이미지 재현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주로 디지털 콘텐츠 생성에 이용될 수 있으며, 예로써 문화재의 재현, 모델 하우스 재현, 영화 및 광고상의 실존 물체 재현 등에 이용됨. 양방향 반사율 분포 함수(BRDF), 분광정보(spectral information), 텍스쳐 맵핑(texture mapping), 실사 영상(photographic image), 사실적인 영상(photorealistic image)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실험 영상에 대하여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 및 분석을 통해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에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실제 영상에 적용하여 사실감 예측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 사실감 예측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1 실험 영상에 대하여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을 수행하고 그 실험결과를 분석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생성하기 위한 예측모델 생성 수단;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 실험 영상에 대하여 상기 예측모델 생성 수단에서 생성한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영상 사실감을 예측하고 그 예측결과를 관찰자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예측모델 검증 수단; 및 실제 평가 영상(실제 영상물)에 대하여 상기 예측모델 검증 수단에서 검증한 영상 사실감 예측모델을 적용하여 사실감 예측결과를 획득하기 위한 사실감 예측모델 적용 수단을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디지털 애니메이션, 디지털 영화, 디지털 방송, 광고, 또는 출판 등과 같은 디지털 영상 콘텐츠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분야 등에 이용됨. 영상 사실감 예측, 심리물리학적 관찰자 실험, 사실감 예측모델, 생성, 검증, 적용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반사 에너지를 정확히 측정하고 조명에 불변하는 물체의 반사율을 획득하며 획득된 반사율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조명에 대한 물체의 이미지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물체의 반사율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원의 특성(주색광등, 형광등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광원변경장치, 광원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광원 위치 조절부, 광원의 빛이 물체에서 반사된 값을 감지하여 물체를 측정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센서 위치 조절부,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를 해석하여 반사율을 구하기 위한 반사 속성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그 물체를 모델링한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물체의 반사율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획득된 물체의 반사율 정보와 획득 환경의 조명 조건을 입력으로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조명 환경에 따라 매번 물체를 사진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재현(representation)해 낼 수 있다. 양방향 반사율 분포 함수(BRDF),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획득 시스템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반사 에너지를 정확히 측정하고 조명에 불변하는 물체의 반사율을 획득하며 획득된 반사율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조명에 대한 물체의 이미지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물체의 반사율을 획득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표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원의 특성(주색광등, 형광등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광원변경장치, 광원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광원 위치 조절부, 광원의 빛이 물체에서 반사된 값을 감지하여 물체를 측정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의 위치 및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센서 위치 조절부, 이미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이미지 데이터를 해석하여 반사율을 구하기 위한 반사 속성 처리 모듈을 포함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그 물체를 모델링한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물체의 반사율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획득된 물체의 반사율 정보와 획득 환경의 조명 조건을 입력으로 제공함으로서, 다양한 조명 환경에 따라 매번 물체를 사진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하지 않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의해 재현(representation)해 낼 수 있다.
Abstract:
A client system for implementing a 3D virtual reality by using X3D (extensible 3D) data provided from a service server includes an applet,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browsing means. The applet communicates with the service server to receive the X3D data and transmit the received X3D data. The communica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applet in order to provide a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ice server and a client. The browsing means parses the X3D data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construct a scene graph; conducts a rendering of the scene graph to have a predetermined form; and, then, displays the scene graph on a display window of the cl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