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A game driving system through exercise is provided to perform the game by united interaction of participants, who are participating through exercise, thereby exercising enjoyably. CONSTITUTION: An exercise information collector(321,322) collects exercise information generated from action behavior of a user. A game driving client(310) receives exercise information from an exercise information collecting unit. The game driving client converts the exercise information into input information of game. The game driving client transmits the exercise information to a game driving server(100). The game driving client output game state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집단 체험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수의 사용자가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진행에 직접 참여하는 동시에 다양한 출력 장치를 통하여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체험도를 높일 수 있는 집단 체험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집단 체험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공간 상태를 인식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 입력 장치와, 사용자들에게 공통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공간 출력 장치와, 상기 공간 입력 장치 및 공간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간 입력 장치 및 공간 출력 장치를 제어하는 환경 관리부와, 사용자들의 동작을 인식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입력 장치와, 사용자들에게 개별 콘텐츠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출력 장치와, 상기 개인 입력 장치 및 개인 출력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인 입력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개인 출력 장치에 개별 콘텐츠를 전송하는 하나 이상의 개인 장치 관리부와, 상기 개인 장치 관리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인 장치 관리부를 제어하는 사용자 관리부와, 집단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와, 상기 환경 관리부, 사용자 관리부 및 콘텐츠 저장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전송받은 집단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로부터 공통 콘텐츠 및 개별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환경 관리부 에 공통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관리부에 개별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구동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체험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개시한다. 인터랙티브 콘텐츠, 공간 입력 장치, 공통 콘텐츠, 개별 콘텐츠, 다수의 사용자.
Abstract:
PURPOSE: A system for providing group interactive contents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directly attend progressing of contents, thereby maximizing fun of the contents. CONSTITUTION: A content storage unit(180) stores group interactive contents. A content driving server(190) generates common contents and the individual contents from the group interactive contents. The content driving server transmits the common contents to an environment management unit(130).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게임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운동의 재미와 효과를 극대화하는 디지털 운동기구와 신체부착센서를 이용한 멀티게임 구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운동기구와 신체부착센서를 이용한 멀티게임 구동 시스템은 이용자들의 하나 이상의 신체부위에 장착되어 이용자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를 발생시키는 하나 이상의 신체부착센서, 상기 신체부착센서로부터 발생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이용자의 현재 상태와 동작을 인식하여 인식된 동작을 반영하여 게임 프로그램을 구동하고, 게임 프로그램의 출력 정보를 디지털 운동기구에 전달하는 개인정보처리기, 상기 개인정보처리기에 의해 운동량이 조절되는 디지털 운동기구 및 하나 이상의 상기 개인정보처리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게임 프로그램의 입출력 정보를 서로 연계하여 관리하는 게임구동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용자가 게임을 통하여 운동의 재미를 극대화할 수 있고, 신체부착센서를 통해 이용자가 동작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 있으며, 디지털 운동기구를 통하여 게임의 결과가 운동량에 반영되므로 재미와 동시에 운동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강관리센터, 운동기구, 센서, 게임, 게임 지원 시스템
Abstract:
An apparatus for vicarious service using a wide-area situational awareness, a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for are provided to supply various services at a low cost. An agent device(300) for a broadban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includes a situation data collector(310), a broadband situation monitoring engine(320), and a service agent unit(330). The situation data collector receives the broadband situation information from an additional broadban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r, and the broadband situation monitoring engine performs the monitoring for the received broadband situation information. The service agent unit receives a request on broadband situation recognition service provision from the additional broadband situation information provider and transmits the monitoring results to the service provider and a client.
Abstract:
A news service system for decreasing deflection to media by automatically arranging and offering different viewpoints for news to user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able the users to keep a balanced viewpoint and check the viewpoints opposite to a main viewpoint easily by making the users recognize and overcome the media deflection. A user terminal(100) receives news information from a news service server(300) through the network(200). The news service server collects/classifies the news information into each viewpoint and transmits/displays the classified news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e network connects the user terminal and the new service server.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현재 시선 방향을 인식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 단말기와 접속하기 위한 수단, 길안내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스테레오 헤드셋과; 상기 스테레오 헤드셋과 접속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의 출발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지리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사용자의 출발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이동 경로 및 상기 이동 경로에 따른 현재 위치에서의 진행 방향을 산출하기 위한 수단, 길안내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스테레오 헤드셋의 시선방향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를 처리하여 상기 스테레오 헤드셋에 길안내 정보를 전송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시스템이 제시된다. 시각장애인, 단말기, 헤드셋, 위치정보, 입체음향, 음성신호, RFID
Abstract:
RFID 태그 데이터, USN 프락시로부터 발생하는 데이터, 주식 데이터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스트림을 이용하는 서비스의 개발, 배치, 제공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미들웨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크게 스트림 기반 서비스의 개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서비스 모델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미들웨어 런타임(Runtime) 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자는 핵심 서비스 로직과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는 서비스 유닛(Service Unit) 만을 작성하여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즉 개발자는 스트림 소스와의 연결, 네트워크 입출력, 버퍼링 등 복잡한 스트림 처리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서비스 모델에서 제시하는 설정 파일들의 간단한 변경을 통해 동적으로 서비스에 연결되는 스트림 소스 및 서비스 동작 방식(풀과 푸쉬)을 변경할 수 있다. 런타임은 스트림 서비스에서 가장 핵심적인 데이터 스트림을 관리하고 처리하는 것에 대한 추상화 계층(Abstraction layer)을 제공한다. 런타임은 서비스 모델에 따라 작성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해 스트림 소스 연결, 네트워크 입출력 처리, 스트림 버퍼링 등의 스트림 관리 및 처리 작업을 실제로 수행하는 모듈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보다 추상화된 레벨에서 서비스를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인스턴스 관리 및 스케줄링 등 서버로서의 기능 및 프로그램의 배치를 도와주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를 배치 및 제공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다.
Abstract:
Naviga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blind persons are provided to guide a blind person to a destination by using cubic sound as well as a voice, and notifying obstacles on the movement path by using an obstacle recognizing sensor. A navigation service system for blind persons includes a stereo headset(102) and a user terminal(100). The stereo headset includes a unit for recognizing a current sight direction of a blind person, a unit for connecting to the user terminal and a unit for outputting the navigation information. The stereo headset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sight direction of a blind person to the user terminal. The user terminal compares an advancing direction on a movement path and the sight direction on a user's current position, and produces and transmits the navigation information to the stereo headset, which output the navigation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