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점진적인 화소 확장에 의해 영상 내에 존재하는 선분을 찾아내는 선분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영상이 입력되면 캐니 테두리(Canny Edge)를 구하고, 동시에 기울기 영상(Gradient Image)과 방향 영상(Direction Image)을 구하는 단계; 테두리 화소 중 임의의 점을 선택하여 직선을 구하는 단계; 직선에서 중심을 구하여 임의의 반경 내에 있는 테두리 화소를 선택하는 단계; 직선과의 거리 오차와 기울기 각의 오차를 이용하여 선택된 각 점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단계; 가중치 합 비교에 의한 선택된 점들의 떨어짐 비교 단계; 가중치를 적용한 최소 자승법에 의한 선 맞춤(Line Fitting) 단계를 통해 영상에서 선분을 안정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한다. 캐니 테두리, 기울기 영상, 방향 영상, 가중치 최소 자승법, 선분 추출
Abstract:
An apparatus for extracting camera motion, and a system and a method for supporting augmented reality for an ocean scene using the same are provided to extract external parameters such as the tilt and the movement of a camera under the assumption that an internal parameter such as the focusing distance is known. An apparatus for extracting camera motion includes a camera rot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11) and a camera translation calculating unit(12). The camera rot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11) extracts a horizontal line of the ocean from an input image to obtain a tilt component and a yaw component. The camera rotation information extracting unit(11) obtains a pan component of a camera by using the yaw component and the feature of a long distance background image of at least two first natural feature tracking data existing in the input image. The camera translation calculating unit(12) calculates the translation of the camera by using a rotation angle found from the tilt component and tracking data of at least two natural features existing on the plane of an ocean.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구 투영기법을 이용한 인체 관절의 3차원 위치 추정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신체거리비율을 이용하여 인체 관절(예를 들어, 팔꿈치, 무릎, 어깨 등)이 구의 표면에 위치하게 하는 가상의 구(Virtual Sphere)를 생성한 후 그 가상의 구를 동작자의 2차원 영상에 투영하여 만나는 지점을 관절의 3차원 위치로 추정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인체 관절의 3차원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하는, 구 투영기법을 이용한 인체 관절의 3차원 위치 추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구 투영기법을 이용한 인체 관절의 3차원 위치 추정 방법에 있어서, 동작자를 마커프리 모션캡쳐하여 동작자의 다시점(Multiview) 2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동작자의 다시점 2차원 영상으로부터 신체 말단부위(End-effector)에 대응하는 2차원 특징점을 추출하는 2차원 특징점 추출 단계; 상기 2차원 특징점 추출 단계에서 추출된 신체 말단부위의 2차원 특징점을 3차원 정합하여 상기 신체 말단부위의 3차원 좌표를 복원하는 3차원좌표 복원 단계; 상기 3차원좌표 복원 단계에서 복원된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신체 말단부위의 3차원 덩어 리(blob)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3차원 덩어리의 중심점부터 관절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구(Virtual Sphere)를 생성하여 상기 2차원 특징점 추출 단계에서 획득된 동작자의 다시점 2차원 영상에 투영하는 가상구 투영 단계; 및 상기 가상구 투영 단계에서 투영된 가상의 구면과 상기 동작자의 다시점 2차원 영상과 일치하는 지점을 검색하고, 상기 일치된 지점에 대응하는 3차원 위치를 관절의 3차원 위치로 추정하는 관절 위치 추정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구 투영기법을 이용한 인체 관절의 3차원 위치 추정 등에 이용됨. 마커프리 모션캡쳐, 인체 관절, 팔꿈치 관절, 3차원 위치 검출, 사영행렬, 다시점 2차원 영상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2차원 평면상에서 실루엣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구조 복원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에서 실루엣 정보를 추출한 후 3차원 상에 큐브를 생성하고, 3차원 큐브의 여덟 꼭지점을 이미지 평면에 투영시켜 2차원 평면상에서 3차원 구조를 계산함으로써, 적은 계산량으로 짧은 시간에 3차원 구조를 복원하기 위한, 2차원 평면상에서 실루엣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구조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2차원 평면상에서 실루엣 정보를 이용한 3차원 구조 복원 방법에 있어서, 각 카메라에 상응하는 실루엣 영상을 획득하는 실루엣 영상 획득 단계; 상기 획득한 실루엣 영상을 이용하여 3차원 상에 큐브를 생성하는 큐브 생성 단계; 상기 생성한 3차원 큐브의 여덟 꼭지점들을 제 1 카메라의 2차원 영상 평면상에 투영시켜 2차원 영상 평면상의 꼭지점 좌표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큐브의 여덟 꼭지점을 연결하는 변들을 4등분하여 64개의 체적 화소(정육면체 영역)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2차원 영상 평면상의 좌표값을 연결하는 변들을 4등분하여 64개의 영역(정육면체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3차원 큐브의 각 정육면체와 상기 2차원 영상 평면상의 각 사각 영역(정육면체를 포함하는 영역)을 1:1 매칭시켜 순서값을 부여하는 순서값 부여 단계; 상기 각 사각 영역과 제 1 실루엣 영상이 만나는 영역의 순서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나머지 카메라에 대해 해당 실루엣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과정을 수행하여 공통 순서값을 찾아 3차원 구조를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3 차원 구조 복원 등에 이용됨. 실루엣 영상, 3차원 큐브, 2차원 영상 평면상에 투영, 순서값 부여, 공통 순서값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미지 확대를 위한 경계선 및 귀퉁이 기반 보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에서 디지털 이미지를 임의의 배율로 확대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경계선이 흐려지거나 겹침 잡음(aliasing) 등의 화질 열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경계선 및 귀퉁이 기반 보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에서 이미지 확대시의 보간 방법에 있어서, 배율 확대를 위한 원본 이미지 입력시, 해당 이미지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모든 픽셀을 중심으로 하는 m×m(여기서, m은 자연수임) 로칼 윈도우를 설정하여, 해당 로칼 윈도우의 방향성을 구하는 로칼 윈도우 방향성 계산 단계; 상기 로칼 윈도우 방향성 계산 결과, 뚜렷한 방향성(선형방향)이 존재하면, 경계선이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계선 확인 단계; 상기 로칼 윈도우 방향성 계산 결과, 뚜렷한 방향성(선형방향)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m×m 로칼 윈도우를 (m/2 × m/2) 서브 윈도우로 나누어, 각 서브 윈도우의 방향성을 구하는 서브 윈도우 방향성 계산 단계; 상기 서브 윈도우 방향성 계산 결과, 상위 윈도우의 중점으로 모이는 방향성이 존재하면, 귀퉁이(코너)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귀퉁이 확인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경계 선 및 귀퉁이에 대해, 그 방향을 지나는 가상 경계선 상에 놓여 있는 픽셀들만을 취하여 방향성 강도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새로운 픽셀값으로 정의하는 보간단계를 포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영상처리장치 등에 이용됨. 이미지 확대, 경계선, 귀퉁이(코너), 로칼 윈도우, 서브 윈도우, 마할라노비스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열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문자 영역에서는 축 방향 에지 화소와 사선 방향 에지 화소가서로 가까운 거리에 혼재해 있으며, 선이나 음영, 그림 영역과 같은 곳에서는 축 방향 에지 화소와 사선 방향 에지 화소가 서로 먼 거리에 존재하거나 한 종류의 에지 화소만이 존재한다는 특성을 이용하여 입력된 영상에 대해 방향성 에지를검출하여 축 방향 에지 화소와 사선 방향 에지 화소로 분리한 후, 각각의 에지 화소 영상에 대해 수학적 형태학(mathematical morphology)을 적용하여 방향이 서로 다르며 인접한 화소들을 검출하여 문자열의 좌표를 검출함으로써, 배경에 상관없이 문자열 추출이 가능하며, 문서 영상뿐만 아니라 실외 및 실내 영상과 같은 실제 영상에서의 안내 표지판,간판 등과 같은 곳에서도 문자열 위치 추출이 가능 하다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PURPOSE: A jig for measuring magnification of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magnification are provided to measure accurate magnification 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dispersion and diffraction of light and the shadow generated in the boundary of an object. CONSTITUTION: In a jig for measuring magnification of an image input by an image processing device, the ji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jig includes a flat plane having one or more rectangular grooves(2) in the frame(1). If an image is input by using an image input device, shadows are generated around the frame, so that the width of the frame is seemed to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width. A magnification is measured by the following formula; M=(A+B)/(a+d), wherein M denotes magnification, A and B denote the size of the actual jig, and a and d denote the size of the jig of the input image.
Abstract:
PURPOSE: An extraction method of character string is proposed toprovide a technique applicable to a document with or without text format. CONSTITUTION: A character string extraction method independent of text format is consistedof five steps. A first step is for extracting positions of character string from a digital document image inputted by an optical input device. A character position can beextracted using the square feature of bounding rectangle of Korean character. A second step is to extract character strings using the interval regularity of characters in a string, that is, if three characters consecutively disposed have equal spaces of interval each other, the characters are considered in same string. A third step is to extractcharacter strings using a consistency of character size. The consistency of character sizecan be confirmed by whether the sizes of consecutive characters in a character string issimilar or not. A fourth step is to extract character string using the proximity that characters in a string is adjacent to each other. A fifth step is for extraction of character string using the feature of straight line placement of three continuous characters in a st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