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행동 패턴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경적 요인과 사용자의 일상적 일정을 고려하여 상황정보 모델을 결정하고, 상황별 사용가능 서비스 지도를 작성하며, 심리 검사 기법을 바탕으로 사용자 성향을 분석하고, 사용자형-프로필 지도를 작성하여, 상기 사용자형-프로필 지도를 이용해 분석한 사용자 행동 특성에 따라, 상기 상황별 사용가능 서비스 지도로부터, 상기 사용자에게 가장 적절한 서비스를 선택함으로써, 효과적인 학습 엔진의 트레이너 또는 엔진 성능의 평가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 인식 시스템 환경 내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들을 기록한 이벤트 로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을 분류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황 인식 시스템 환경에서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이용될 정보로서, 일련의 이벤트 동작을 조건으로서 포함하는 행위 항목들이 행위 분류표 상에 분류된다. 본 발명의 행위 분류 장치는, 특정 시각에 발생한 이벤트 동작이 행위 분류표 상의 행위 항목 중 어떤 행위 항목에 연관되는지를 결정한 후, 그 이벤트 동작을 포함한 이후의 이벤트 동작들이 해당 행위 항목의 조건(즉 일련의 이벤트 동작)을 만족할 확률을 계산한다. 이렇게 계산된 확률은 관련 이벤트 동작에 첨부되어 행위 확률 리스트로서 작성된다. 행위 확률 리스트는 학습 엔진에 의해 학습되고, 학습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행동 패턴은 사용자에게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이용된다.
Abstract:
A learning apparatus of an intelligent system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confirm a rule generated through learning by user confirmation, thereby accurately grasping a user pattern by a very small amount of monitoring data. Event or service data inputted from an event source or a service terminal through a logging device are converted. And a rule corresponding to the converted data is extracted(S201). It is searched whether a corresponding rule is stored in a rule storage unit(S20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ule is the same as a rule stored in a rule storage unit(S203). If the corresponding rule is new, a rule related to or collided with the new rule is searched in the rule storage unit(S204). A query to which the new rule is reflected is written(S205).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mSCTP(Mobile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및 DNS 서버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 로봇 프레임워크를 구현함으로써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끊김없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성 지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끊김없는 이동성 지원 장치에 있어서, 이동 노드와 연관 노드 간에 끊김없는 이동성을 지원하는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 노드의 위치 및 이동을 탐지하여 끊김없는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이동 지원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 지원 수단은, 타 네트워크로 상기 이동 노드의 이동 시, 상기 이동 노드와 상기 연관 노드 간의 초기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이동 노드의 새로운 주소를 획득하기 위한 이동 탐지부; 상기 새로 획득한 이동 노드의 주소를 상기 연관 노드에게 알리고 상기 이동 노드의 프라이머리 주소로 설정하도록 하기 위한 핸드오버 관리부; 및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로 상기 이동 노드의 현재 주소를 반영하는 DNS 레코드를 갱신하도록 요청하기 위한 위치 관리부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유비쿼터스 시스템 등에 이용됨. 유비쿼터스, 소프트웨어 로봇 프레임워크, 끊김없는 이동성, 모바일 mSCTP, DNS
Abstract:
PURPOSE: A server system for polling a multithread socket is provided to cover a weak point of a single thread model and offer a performance better than a simple multithread model by keeping the processing threads and dynamically assigning the socket generated when a connection is requested to the processing threads. CONSTITUTION: A server socket thread(10) assigns one client socket(20) to one connection request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A socket pool(200) stores the client socket approved from the server socket thread. A thread pool(400) processes the multi-request of a client by having the threads(450-1¯450-n), and returns the client socket to the socket pool after each thread processes the request of the client socket having the data once. A polling thread(300) selects the client socket having the data from the socket pool depending on a registration order, and assigns the selected client socket to each thread.
Abstract:
Provided ar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which provide various personalized home screens for a plurality of users who use the same smart TV and provide the same home screen for a different smart TV using personal information stored in a cloud server. The apparatu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user identification unit for receiving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user, and transfer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home screen processing unit for comparing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o personal information of multiple users, and outputting a personalized home screen on a screen based on the identified user personal information. As a result, user can conveniently use a smart TV by being provided an appropriate home screen for the user, and can be provided the same home screen although the user use a different smart TV. [Reference numerals] (110) User identification unit; (120) Input unit; (130) Home screen processing unit; (140) Cloud server; (AA) User personal information request; (BB) User personal information; (CC)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DD) Control signal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기반 로봇 제어를 위한 로봇 클라이언트 관리 방법은, 로봇 클라이언트가 접속하면 인증과정을 통해 상기 로봇 클라이언트를 인증하는 단계; 로봇 클라이언트에 해당하는 로봇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로봇 클라이언트를 초기화하기 위한 정보, 로봇 클라이언트와 관련된 네트워크 정보, 및 로봇 클라이언트의 프로세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로봇 클라이언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된 프로파일 정보를 관리자 서버에 전달하여 로봇 객체가 관리자 서버에 등록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자 서버에 접속되는 로봇 클라이언트의 접속 및 프로파일링 절차를 통일하여 다양한 이기종 로봇 클라이언트들이 관리자 서버에 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양한 이기종 로봇 클라이언트들이 관리자 서버에 접속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센싱 기능과 프로세싱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네트워크 기반, URC, 프로파일, 로봇 서버, 센싱, 프로세싱
Abstract:
PURPOSE: A multi-robot diagnosis management servers are provided to support each robot about different functions and supplement function restriction of the robot. CONSTITUTION: A robot manager generates or deletes a virtual robot server. A management function module performs at least one among access management, authentication, diagnosis, and profiling about a connected robot(100). The virtual robot servers are generated as many as the number of models of connected robots generated by the robot manager. A virtual robot object is generated as many as the number of the connected robots. The virtual robot object is connected to a virtual robot server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type.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로봇 시스템 및 그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의된 환경 정보가, 실제 물리 공간을 추상화한 가상 공간에서의 개체를 나타내는 노드와 상기 노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통합 데이타 모델(UDM)로 표현된다. 입력된 센서 정보를 가공한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통합 데이터 모델(UDM)이 갱신되고, 이때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 값에 변화가 있는 경우, 이벤트 발생 정보가 작업 엔진에 전달되고 추론에 의해 해당 작업이 수행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의 서비스가 호출된다. 따라서, 외부 센싱 기능과 외부 프로세싱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로봇의 상황 인식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또 인식된 상황을 추론하고 고수준의 정보를 획득하여, 로봇 시스템으로부터의 능동적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네트워크, 로봇, 상황인식, 추론, 상황정보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기반 로봇 시스템 및 그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의된 환경 정보가, 실제 물리 공간을 추상화한 가상 공간에서의 개체를 나타내는 노드와 상기 노드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통합 데이타 모델(UDM)로 표현된다. 입력된 센서 정보를 가공한 상황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통합 데이터 모델(UDM)이 갱신되고, 이때 상기 상황정보 데이터 값에 변화가 있는 경우, 이벤트 발생 정보가 작업 엔진에 전달되고 추론에 의해 해당 작업이 수행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의 서비스가 호출된다. 따라서, 외부 센싱 기능과 외부 프로세싱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로봇의 상황 인식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또 인식된 상황을 추론하고 고수준의 정보를 획득하여, 로봇 시스템으로부터의 능동적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네트워크, 로봇, 상황인식, 추론, 상황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