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열차유지보수 교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차의 실사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교육실에 설치되어 열차의 실사 영상을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교육실의 교육생 움직임에 따른 3차원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인체운동감지수단과, 열차 교육을 위한 3차원 좌표에 따른 문자 또는 컴퓨터 그래픽으로 이루어지는 3차원 가상 영상을 저장하는 데이터저장수단과, 상기 인체운동감지수단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이용해 상기 데이터저장수단의 열차 교육용 3차원 가상 영상을 상기 표시수단을 통해 열차의 실사 영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연산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한 3차원 공간이 확보되는 교육샐 내에서 실사 영상에 교육용 가상 영상을 중첩하여 표시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현실감 있는 열차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교육생의 움직임에 따른 3차원 좌표 등에 따른 좀 더 상세한 열차 유지보수를 위한 교육 정보를 제공하여 교육에 대한 몰입도를 높여주어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신호를 이용한 열차 승차감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열차에 탑승중인 측정대상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생체신호측정수단과, 상기 생체신호측정수단으로 부터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승차감 평가를 위해 분석하는 데이터처리수단으로 구성되는 생체신호를 이용한 열차 승차감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열차의 내부에 탑승중인 측정대상자의 생체신호인 ECG(심전도), GSR(피부전기반응), EMG(근전도)를 측정하고 이를 시간에 따라 분석하여, 인체 신경계의 변화 정도와 각성 정도 및 근피로도 평가를 위해 분석하는 생체신호를 이용, 열차 승차감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차의 승차감 평가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인체공학적 모델링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인체로부터 ECG(심전도), GSR(피부전기반응), EMG(근전도)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실험적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하게 열차의 승차감을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열차, 승차감, 생체신호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measuring train ride using biological signals are provided to accurately evaluate the ride stability of a train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and the experimental analysis by performing the ergonomics modeling and detecting biological signals from a human body through the modeling. CONSTITUTION: A system for measuring train ride using biological signals comprise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100) and a data processing unit(200).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measures the biological signal of the target person on the train. The data processing unit collects the biological signal from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and analyzes the biological signal to evaluate the ride stability.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unit comprises a biological signal measuring part(110), an analog to digital converter(120), a signal transmiting part(130), and a controller(140). The analog to digital converter changes the analog signal measured through th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part into the digital signal. The signal transmiting part transmits the digital signal to the data processing unit.
Abstract:
본 발명은; 모션 베이스와 이미지 프로젝터를 조정하여 궤도차량에 실제로 탑승한 느낌을 받도록 하되, 상기 모션베이스와 이미지 프로젝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GUI환경이 제공되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틸팅장치를 제어하는 네트워크상에서 GUI환경을 이용한 궤도차량의 틸팅 주행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그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틸팅 시뮬레이션을 실제로 사용자가 느낄 수 있도록 시각화를 통해 이미지를 투사하는 이미지 프로젝터와, 틸팅 작용을 현실적으로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단에 형성되어 각각의 서보모터로 구동되는 6축 엑츄에이터가 구비되는 틸팅장치와; 상기 서보모터를 회전시키기 위한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모션구동기와; 상기 이미지 프로젝터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영상컴퓨터와; 상기 모션구동기에서 펄스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서보모터를 회전 가능하도록 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모션컴퓨터와; 상기 영상컴퓨터 및 모션컴퓨터로 네트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상기 영상컴퓨터로 이미지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모션컴퓨터로 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호스트컴퓨터와; 상기 호스트컴퓨터와 네트워크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컴퓨터에서 처리된 내용을 GUI환경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GUI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궤도차량의 틸팅운동을 적용시켜 실제로 궤도차량에 탑승한 느낌으로 궤도차량의 동적특성을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GUI컴퓨터상에서 파 악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뮬레이션을 통한 각종 중요 분석자료를 저장 관리하는 호스트컴퓨터를 직접 제어할 필요가 없으므로 임의로 데이터를 수정/변경/삭제 등을 통한 시스템의 정지와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을 기대할 수 있다. 틸팅, 궤도차량, 시뮬레이션, 액츄에이터, 서보모터, 모션베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