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복수개의 유압 잭 장치를 원하는 만큼 병렬로 연결 가능한 유압 잭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잭 장치는 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의해 작동체가 전후진하는 복수개의 유압 잭 및 상기 복수 개의 유압 잭 중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 사이에 서로 이웃하는 유압 잭을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병렬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연속체 메커니즘을 적용하고 케이지로부터 매립 진출이 가능하며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계된 기구와 별다른 섹션의 분할 없이도 C자 또는 S자형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수술용 연속체 로봇팔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술용 연속체 로봇팔은 전후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부와 하부에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연속체; 상기 복수개의 연속체 중 어느 하나의 연속체에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상부 또는 상기 하부의 관통홀을 통과한 와이어는 교차되어 반대편의 하부 또는 상부로 나가도록 교차 관통홀이 형성된 교차 가이드; 상기 복수개의 연속체 중 후방 연속체와 인접하는 복수개의 연속체의 상부 관통홀을 차례로 통과한 다음, 상기 교차 가이드의 교차 관통홀을 통과한 후, 인접하는 복수개의 연속체의 하부 관통홀을 차례로 통과하여 전방의 연속체에 단부가 고정된 제1와이어; 상기 제1와이어와 대응되는 방식으로 상기 후방 연속체의 하부 관통홀로부터 상기 교차 가이드를 통과하여 상기 전방의 연속체에 단부가 고정된 제2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Abstract:
로봇 관절 구동용 동력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로봇 관절 구동용 동력 전달 시스템은 로봇의 관절을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제1구동유닛 및 제2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구동부;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유연성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제1쉬스와, 상기 제1쉬스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로봇의 관절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구동유닛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제1힘전달부; 및 소정의 길이를 갖추고 유연성을 가지며 중공형으로 형성되는 제2쉬스와, 상기 제2쉬스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로봇의 관절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구동유닛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는 제2힘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동유닛이 상기 제1와이어 측에 제1방향으로 힘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제2구동유닛은 상기 제2와이어 측에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힘을 제공한다.
Abstract:
인명탐지 및 구호용 로봇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단위 관절로 구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가 전진하는 방향의 전방에 설치되며 복수의 집게부가 오므라들었다 펼쳐졌다 하며 물체를 집을 수 있는 그리퍼가 구비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가능하게 구비되어 본체부가 진입하기 어려운 협소한 공간에 진입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인명탐지 및 구호용 로봇을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원격 조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굴삭기의 붐 링크부와 연동되며, 조작자의 팔꿈치를 안착시키고 바닥면과 평행하게 회동가능한 붐 컨트롤부와, 굴삭기의 아암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붐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붐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아암 컨트롤부와, 굴삭기의 버킷 링크부와 연동되며 상기 아암 컨트롤부와 동일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아암 컨트롤부에 체결되는 버킷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햅틱조종장치와, 전후좌우 조작에 의해 굴삭기의 전후좌우 트랙구동을 수행시키는 제 1 조이스틱과, 좌우 조작에 의해 굴삭기 몸체를 좌우 스윙구동시키고 전후조작에 의해 크러셔를 구동시키는 제 2 조이스틱을 포함하여, 햅틱조종장치에 의하여 초보자라도 굴삭기의 동작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위치 제어를 기반으로 하여 조작자의 피로도를 줄여 편하게 조종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한 굴삭기의 조종이 가능하며, 하나의 조이스틱으로는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굴삭기의 트랙구동을 원격 조종하고, 또 하나의 조이스틱으로는 구동에 있어서 서로 연관성이 높은 스윙구동과 크러셔의 장착 구동을 연계하여 원격으로 조종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한 굴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에 결합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단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곡선형 니들과, 상기 곡선형 니들에 접촉되어 상기 곡선형 니들을 선회시키는 니들 드라이버와, 상기 곡선형 니들이 선회하도록 상기 니들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력 발생부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따라 상호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니들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내시경을 이용해 높은 봉합력으로 넓은 절개 범위의 연속적 봉합이 가능하게 된다.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시경을 이용해 절개 범위의 봉합 시술이 가능한 내시경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을 이용해 높은 봉합력으로 넓은 절개 범위의 연속적 봉합이 가능한 효과가 있고, 봉합 시술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봉합사를 이용한 봉합 방식으로 체내에 남는 이물질을 최소화시켜 이물질에 의한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내시경을 이용하여 봉합 부위의 범위에 상관없이 높은 신뢰도의 봉합이 가능하게 되므로, 단순 봉합 시술 뿐만 아니라 위장축소술 및 자연개구부를 이용한 노츠(NOTES)와 같은 다양한 내과적 수술에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용 비드, 봉합용 바늘, 사이드 석션 캡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출시 자연스럽게 장기 벽에 기대어 누울 수 있는 봉합용 비드와, 봉합용 비드의 배출을 제어할 수 있는 봉합용 바늘과, 시술시 다른 장기의 손상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사이드 석션 캡을 구비한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합용 비드의 배출이 가능한 봉합용 바늘; 상기 봉합용 바늘이 내부에 구비되는 내시경관; 상기 내시경관이 결합되는 결합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상기 흡입구의 말단에 설치되어 상기 장기가 밀리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밀림방지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의 반대편 측벽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거울부가 형성된 사이드 석션 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를 제공한다.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에 결합되는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의 전단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곡선형 니들과; 상기 곡선형 니들에 접촉되어 상기 곡선형 니들을 선회시키는 니들 드라이버와; 상기 곡선형 니들이 선회하도록 상기 니들 드라이버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와; 상기 회전 구동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내시경을 이용해 높은 봉합력으로 넓은 절개 범위의 연속적 봉합이 가능하게 된다. [대표도] 도 2
Abstract: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은 공기압에 의해 종이용기가 이송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으로서, 관; 관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관 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여 관 내에서 종이용기의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및 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가이드에 결합되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가이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