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3차원 그물 형상 알루미늄 다공체의 셀 지름이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은 3차원 그물 형상 알루미늄 다공체 및 당해 알루미늄 다공체를 이용한 집전체, 전극, 그리고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집전체용의 시트 형상의 3차원 그물 형상 알루미늄 다공체로서, 당해 3차원 그물 형상 알루미늄 다공체의 셀 지름이 두께 방향으로 균일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그물 형상 알루미늄 다공체이다. 상기 3차원 그물 형상 알루미늄 다공체의 두께 방향의 단면을, 영역 1, 영역 2, 영역 3으로 이 순서로 3분할했을 때, 영역 1과 영역 3과의 평균의 셀 지름과, 영역 2의 셀 지름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Abstract:
정극 활물질과 고체 전해질과의 사이에 완충층으로서 LiNbO 3 막을 구비하고, 충분히 전기 저항값이 저감된 고체 전해질 전지를 제공한다. 정극층과 부극층 및 양(兩) 전극층 간에서 리튬 이온의 전도를 행하는 고체 전해질층을 구비한 고체 전해질 전지로서, 정극 활물질과 고체 전해질과의 사이에 LiNbO 3 막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층이 형성되어 있고, LiNbO 3 막에 있어서의 Li와 Nb의 조성비 (Li/Nb)가, 0.93≤Li/Nb≤0.9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전해질 전지. 완충층은, 상기 정극층과 상기 고체 전해질층과의 사이, 또는 정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완충층의 두께는 2㎚?1㎛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충방전 시에 리튬금속이 유기전해액과 반응해서 생기는 덴드라이트성장을 억제해서 사이클 특성과 안전성을 높인 리튬 2차 전지용의 부극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기재 위에 리튬금속막(3)을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무기 고체 전해질막(4)을 형성한 리튬 2차 전지 부극부재(5)의 기재를, 폴리에틸렌필름(1) 등의 전기적 절연체로 형성하였다. 금속기재와 리튬금속막의 계면에 전기적 절연체층을 형성한 것을 기재로서 사용해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충방전 시에 리튬금속이 유기전해액과 반응해서 생기는 덴드라이트성장을 억제해서 사이클 특성과 안전성을 높인 리튬 2차 전지용의 부극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기재 위에 리튬금속막(3)을 형성하고, 또한 그 위에 무기 고체 전해질막(4)을 형성한 리튬 2차 전지 부극부재(5)의 기재를, 폴리에틸렌필름(1) 등의 전기적 절연체로 형성하였다. 금속기재와 리튬금속막의 계면에 전기적 절연체층을 형성한 것을 기재로서 사용해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Abstract:
PURPOSE: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thin membrane with relatively high ion conductivity. CONSTITUTION: Thin membrane 2 formed of an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s formed on a heated base material 1 by vapor-phase growth method. This provides the thin membrane with higher ion conductivity than if a thin membrane is formed on an unheated base material. After the thin membrane formed of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s formed on the base material 1 held at room temperature or below 40°C, the thin membrane 2 formed of the inorganic solid electrolyte is heated to increase its ion conductivity.
Abstract:
x원자%의 리튬과, y원자%의 인과, z원자%의 유황과, w원자%의 산소를 함유한 고체 전해질로서, x, y, z 및 w는 하기식 (1)~(5)를 만족시키고, 20 ≤ x ≤ 45 ‥‥ (1) 10 ≤ y ≤ 20 ‥‥ (2) 35 ≤ z ≤ 60 ‥‥ (3) 1 ≤ w ≤ 10 ‥‥ (4) x + y + z + w = 100 ‥‥ (5) Cu의 Kα선을 이용한 X선 회절법에 의해서 얻어진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의 X선 회절 피크의 정점이, X선 회절 패턴에 있어서의 16.7° ± 0.25°, 20.4° ± 0.25°, 23.8° ± 0.25°, 25.9° ± 0.25°, 29.4° ± 0.25°, 30.4° ± 0.25°, 31.7° ± 0.25°, 33.5° ± 0.25°, 41.5° ± 0.25°, 43.7°± 0.25°, 및 51.2° ± 0.25°의 각각의 회절각 2θ에 존재하고, X선 회절 피크의 각각의 반치폭이 0.5°이하인 고체 전해질과 해당 고체 전해질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Abstract:
정극 활물질 입자와 고체 전해질 입자와의 접촉 계면에 고(高)저항층이 생성되는 것을 억제하여 계면 저항의 증가를 억제하는 비수 전해질 전지용 정극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수 전해질 전지용 정극체(1)는, 정극 활물질 입자(10a)의 표면에 Li 이온 전도성을 갖는 피복층(10b)이 피복된 피복 정극 활물질 입자(10)와, 황화물 고체 전해질 입자(11)가 혼합된 비수 전해질 전지용 정극체(1)에 따른 것이다. 피복층(10b)은, 산소 결손을 가진 비정질 산화물로 형성되어 있다. 피복층(10b)에 산소 결손을 가짐으로써, 피복층(10b)에 전지의 충방전에 충분한 Li 이온 전도성과 전자 전도성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Abstract:
Disclosed is a rechargeable battery with a nonaqueous electrolyte that can realize smooth exchange of lithium ions between a positive electrode and a solid electrolyte layer and has an improved internal resistance. The rechargeable battery with a nonaqueous electrolyte comprises a positive electrode (1), a negative electrode (2), and a solid electrolyte layer (3) interposed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1, 2). The positive electrode (1) is formed of a positive electrode sintered compact (10) produced by firing a powder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vering layer (11)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sintered compact (10) on the solid electrolyte layer (3) side. Preferably, the covering layer (11) comprises a compound having a layered rock-salt structure, and the c-axis direction of a crystal of the compound is not aligned perpendicularly to th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sintered compact. More preferably, a buffer layer (4) formed of LiNbO3 is provided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1) and the solid electrolyte layer (3) from the viewpoint of lowering interfacial resistance.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전해질층의 핀홀의 발생에 수반하는 모든 문제를 해소해서 고수율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박막 리튬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박막 리튬 전지는, 정극층(20)과, 부극층(50)과, 이들 두 극층 사이에 개재되는 고체 전해질층(40)과, 정극층(20) 및 부극층(50)의 각각 또는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집전체(10)가 적층된 박막 리튬 전지이다. 이 전지를 상기 각 층의 적층방향으로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 정극층(20)과 부극층(50)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고체 전해질층(40)에 핀홀이 생겨도, 이 핀홀에 의해 두 극층(20, 50) 사이가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