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본 발명은 MAO-B 저해제로서 유용한 신규 헤테로아릴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이의 수화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제조방법, 상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헤테로아릴 아마이드 유도체 화합물은 MAO-B를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헌팅턴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예방, 경감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할로-(3-(페닐설포닐)프로프-1-에닐)피리딘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Nrf2 활성화제 및 Nrf2 활성 저하에 의해 유도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시리직애씨드(glycyrrhizic acid)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신경 척수염(neuromyelitis optica, NMO)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시신경 척수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신경 척수염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화된 비닐기를 포함하는 벤질 유도체 및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그리고 이들 화합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산화질소 생성 억제 및 NF-E2-related factor-2 (Nrf2) 활성 작용하여 신경세포 기능 장애 및 사멸로 인하여 야기되는 뇌신경 질환, 특히 파킨슨병, 알츠하이머 치매, 헌팅턴병, 루게릭병, 간질, 우울증, 불면증, 불안증 및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치료 및 예방제로 효과를 보인다.
Abstract:
본 발명은 살아있는 세포 내에서 타우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단백질 쌍, 이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쌍, 이를 포함하는 벡터 쌍, 상기 벡터 쌍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세포주, 및 상기 세포주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들에서 타우-타우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포내 타우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이분자 형광 상보성 아미노산 서열 쌍으로서, 전장 인간 타우 아미노산 서열의 C-말단에 비너스 아미노산 서열의 N-말단 서열이 결합된 제1 형광 상보성 아미노산 서열; 및 전장 인간 타우 아미노산 서열의 C-말단에 비너스 아미노산 서열의 C-말단 서열이 결합된 제2 형광 상보성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지는 이분자 형광 상보성 아미노산 서열 쌍, 이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 쌍, 이를 포함하는 벡터 쌍, 상기 벡터 쌍에 의해서 형질전환된 세포주 및 상기 세포주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세포들에서 타우-타우 상호작용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살아있는 세포들에서 타우-타우 상호작용을 직접적으로 가시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타우 올리고머화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정량할 수 있으며, 따라서 타우가 관여하는 질병의 발생을 연구하고 그 올리고머화 과정을 방지하고 되돌리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본 발명은 (S)-2-(((4'-트리플루오로메틸바이페닐-4-일)메틸)아미노)프로판아미드 메탄설포네이트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척수 손상 (spinal cord injury)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Abstract:
본 발명은 전이성 타우 단백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경세포내 타우 단백질 응집은 알츠하이머, 측두엽 변성증, 픽병, 피질기조퇴행 및 퇴행성 핵산 마비 등 다양한 타우병증 질환을 야기한다. 최근, 타우 단백질이 프리온 단백질처럼 세포간에 전이되어 정상 세포내의 타우 단백질 응집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이어지고 있으나, 타우 단백질 내에서 어느 부분이 전이성을 가지는지, 전이 메커니즘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이성을 가지는 타우 단백질 응집체의 분리에 관한 것으로, 타우 단백질 응집체의 전이 메카니즘을 밝히고,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의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